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시도의 사망원인별 사망력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An analysis on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for policy formulation and makes it possible to draw hypotheses regarding various diseases and causes of death. Although the mortality level and causes of death at the provincial level are determined by the multiple effects of socioeconomic, cultural, medical and ecological factors, this study primarily intends to exa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Utilizing the registered death and the registered population as of 1998, the delayed death registration and unreported infant deaths were supplemented at the provincial level and age-standardized death rates and life tables were calculated. Regarding the mortality level due to all cause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For both sexes as a whole, Seoul showed the lowest mortality level, and Jeonnam showed the highest mortality level; and (2) The differences of the mortality level among provinces were greater for males than females and for those less than 65 years than those 65 years and over. Regarding the cause-specific mortality level revealed in all indicators (cause-specific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and the probability of dying at birth due to a specific cause for males, females, and both sexes combined respectivel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1) The mortality level due to heart diseases was the highest in Busan and the lowest in Gangweon; (2) The mortality level due to liver diseases was the highest in Chonnam; and (3) The mortality level due to traffic accidents was the highest in Chungnam and the lowest in Inchon. As the mortality differentials at the provincial level are related to various factors, exploratory statistical analysis is attempted for the 25 explanatory variables including socioeconomic variables and 90 mortality variables. Mortality due to all causes are related to socioeconomic variables. Among cause-specific mortality, mortality due to liver diseases and traffic accidents is related to socioeconomic variables. Finally, the ne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eath certificate is discussed.

시도의 사망원인별 사망력 분석은 정책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각종 질병 및 사망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게 한다. 사회경제적, 문화적, 의료적, 생태학적 이유 등 다양한 원인이 시도의 사망원인별 사망수준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지만, 이 연구에서는 시도의 사망원인별 사망력에 대한 설명보다는 공통점과 차이점 파악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8년 기준 사망신고 및 주민등록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시도별로 지연신고와 영아사망 신고누락을 보완하고, 연령표준화사망률과 생명표를 작성하였다. 모든 사인에 의한 사망수준 관련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녀전체를 합하여 서울이 가장 낮은 사망수준을 전남은 가장 높은 사망수준을 보였다: (2) 시도간 사망수준의 차이가 여자보다 남자에게서, 65세 이상보다 604세 이하 연령층에서 더 컸다. 사망원인별 사망력 관련 남녀별 및 남녀 전체를 합하여 연령표준화 사망률이나 출생시 사망확률이라는 지표 모두에서 일관된 유형을 보이는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수준은 부산에서 최고, 강원도에서 최저를 나타냈고: (2) 간질환에 의한 사망수준은 전남에서 최고를; (3) 운수사고에 의한 사망수준은 충남에서 최고 인천에서 최저로 나타났다. 시도의 사망수준 차이에는 다양한 요인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사회경제적 변수를 포함한 25개의 설명 변수와 총90개의 사망력 변수에 대한 탐색적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사인에 의한 사망력은 사회경제적 변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사망원인별로는 간질환 및 운수사고에 의한 사망력이 사회경제적 변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사망신고 자료의 질 개선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흥.이창수.전홍석 (1996), <사망원인 생명표>, 통계청
  2. 김정근.이주열.김무채 (1995), '한국의 지역별 생명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0(1): 55-82
  3. 김정순 (2001), <한국인의 건강과 질병양상>, 신광출판사
  4. 김두섭.박효준 (2003), '사망력 수준의 시.군별 편차 및 그 변화추이, 1990-2000,' <한국인구학> 26(1): 1-30
  5. 김윤신.고응린 (1990), '1986-89년 한국인의 평균수명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통계학회지> 15(1): 48-60
  6. 박우성 외 (2003), '우리나라 사망통계에 대한 질적수준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용역보고서>, http://www.mohw.go.kr
  7. 박종순 (2001), '사인제거모델을 통한 우리나라 평균수명 길이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6(1): 50-57
  8. 박경애 (2001), '영아사망 수준 추정 자료에 대한 고찰,' <한국인구학> 24(1): 67-90
  9.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7), <93 영아사망 조사보고서>.(1998), <96 영아사망 조사보고서>
  10. 윤병준.이준협 (2000), '종합적인 건강지표의 비교 고찰,'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5(1): 48-58
  11. 윤병학 (1994), '사망진단서에 기재된 심혈관질환에 대하여,' <보험의학회지>13: 79-92
  12. 이병철 (1993), '뇌졸중에 의한 사인과 유형별 발생빈도의 추이,' <대한의학협회지> 36(3): 285-291
  13. 이영환 (1994), '사망통계의 정규편차,' <한국보건통계학회지> 19(1): 46-50
  14. 임달오.김정근 (1989), '우리나라 주요사인의 특징과 생명표에 의한 사인분석,' <한국보건통계학회지> 14(1): 1-16
  15. 전태윤 (1985), '한국지역생명표 작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조은희.김광애 (1994), '국제질병분류(ICD) 코딩적용상의 문제점 확인과 시정방안모색,' <한국보건통계학회지> 19(1): 108-117
  17. 최귀숙 (1999), '원인별 순 사망확률과 조 사망확률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4(1): 1-6
  18. 통계청 (1999a), <1998년 사망원인통계연보>
  19. 통계청(1999b), <1971-1997년 생명표>
  20. 통계청(1999c), <1998년 인구동태통계연보>
  21. 통계청(2001), <1999년 생명표>
  22. 통계청(2002a),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23. 통계청(2002b), (2001년 사망원인통계연보>
  24. 통계청 (2003), http://www.stat.go.kr
  25. Arriaga, E.E., P.D. Johnson, and E. Jamison (1994), Population Analysis with Microcomputer VoI. I. Presentation of Techniques, Bureau of the Census, USAID, and UNFPA
  26. Arriaga, E.E., P.D. Johnson, and E. Jamison (1994), Population AnaIysis with Microcomputer Vol. II. Software and Documentation, Bureau of the Census, USAID, and UNFPA
  27. Chiang, C.L. (1984), The Life Table and Its Applications, Malabar, Florida: Robert E. Krieger Publishing Company
  28. Kitagawa, E. M. and P. M. Hauser (1973), Differential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A Study in Socioeconomic Epidemi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29. Manton, K.G. et al. (1991), 'Limits to Human Life Expectancy: Evidence, Prospects, and Implication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7(4): 603-637 https://doi.org/10.2307/1973599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Japan (1999), Abridged Life Tables for Japan 1997
  31.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1998a), 'Age Standardization of Death Rates: Implementation of the Year 2000 Standard,' National VitalStatistics Reports Vol. 47, No. 2
  32.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1998b), US Decennial Life Tabtes for 1989-1991, Vol. 1, No. 2, MethodoIogy for the National and State Life Tables, http://www.cdc.gov/nchs/data/lifetables
  33.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1998c), US Decennial Life Tables for 1989-1991, Vol. 1, No. 4, Eliminating Certain Causes of Death, http://www.cdc.gov/nchs/data/lifetables
  34.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2001), 'Deaths: Final Data for 1999,'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Vol. 49, No. 8
  35. Park, K.A. (1988), 'Sex differential Mortality: Geographic Variations i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and Health Studies 8(1): 130-147
  36. Park, K.A. and W. B. Clifford (1989), 'Sex Differentials in Cardiovascular Mortality: An Ecological Analysi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29(7): 869-876 https://doi.org/10.1016/0277-9536(89)90086-5
  37. Shryock H.S., J.S. Siegel, and Associates (1976), The Methods and Materials of Demography, New York: Academic Press
  3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Reducing Risks, Promoting Health Life, Geneva: W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