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a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the Experimental Practice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가 중학생의 과학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이지현 (김해 영운중학교) ;
  • 남정희 (부산대학교 사번대학 화학교육과) ;
  • 문성배 (부산대학교 사번대학 화학교육과)
  • Published : 200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pplication of the experimental practice which is one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s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For this study, two classes were chosen from a co-ed middle school in Gimhae, and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Prior to the instructions, a science achievement test and a affective domain test were administered. After the instructions, post-tests which were similar to the pretests were also administe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an experimental practice was more effective of enhancing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affective domain test between the two groups. For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 test in affective domain. It means that there was a negative change in affective domain of the control group.

이 연구는 현재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수행평가 가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과학과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의 방법이 중학교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로부터 볼 때, 과학성취도의 평균이 동질한 두 집단에서 수행평가를 적용한 실험집단의 과학 성취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사전 과학성취도가 중, 하위권인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상위권 학생은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성적이 약간 향상되었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긍정적으로 변화를 보인 반면, 비교집단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였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에서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 중 자아개념과 학습습관의 변화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학습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는 효과가 없었다. 실험집단의 과학성취도가 상 중 하인 집단 별 정의적 영역점수의 향상정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교분석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하위요소 중 학습에 대한 태도에서 중, 하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학습습관에 있어서는 하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과학과에서 실험실습법에 의한 수행평가의 실시가 중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성적이 중, 하위권인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교육평가원(1996).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화사
  2. 김영순(1992). 초등학교 자연과 수행평가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성훈(1993). 새로운 교육평가를 위한 인지심리학적 교육측정의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20, 131-154
  4. 박승재, 조희영 (1995), 과학론과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5. 백순근(1995). 학력평가를 위한 새로운 대안, 교육개발. 97(9), 44-48
  6. 백순근(1998).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서울: 원미사
  7. 엄기영(1999). 수행평가가 학업성취와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윤동영(1999). 수행평가피드백이 아동의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왕경순(1998). 다중지능에 기초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학업 성취도 및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조희형(1998).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그 시사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83-200
  11. 허경철(1988), 객관식 일변도의 평가방식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교육과정연구, 7, 155-182
  12. Doran, R., Chan. F., & Tamir, P. (1998). Science educator's guide to assessment.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Arlington. Virginia
  13. Ebenezer, J. V., & Haggerty, S. M. (1999). Becoming a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Meri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14. Herman, J. L., Aschbacher, P. R., & Winter. L.(1992).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U.S.A: University of California
  15. Hibbard, K. M. (2000). Performance-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Eye On Education: Larchmont, 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