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Pyeongtaek Reservoir and Its Main Tributaries

평택호와 유역 주요 하천의 수환경 및 오염도 평가

  • 황순진 (건국대학교 지역건설환경공학과) ;
  • 조경제 (인제대학교 환경시스템학부) ;
  • 신재기 (인제대학교 낙동강유역환경연구센터)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e water quality of the Pyeongtaek Reservoir and its main streams has been eval uated far water pollution state in 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2000.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NH_4$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TN in the inflow streams. In the reservoir, TN and $NH_4$ are the more present in the winter season and less in the summer season, with $1.6{\sim}2.4$ times of $NO_3$ and $5.3{\sim}11.4$ times of $NO_2$ found in December and June compared with other seasons. The concentration of each component is different between streams: $NH_4$ among inorganic nitrogen has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the upstream, and $NO_3$ is more prevalent in the downstream. SRP accounts for $25{\sim}69%$ of TP in the stream. Unlike N component, P component in the reservoir rapidly decreases from upstream toward downstream, except in the summer. Average SRSi slightly increases in the fall, i.e., immediately after rainfall. In the stream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ranges from 9 to $33{\mu}g/l$, and is relatively high in the downstream. In contrast, in the reservoir, it is the highest in the upstream where $NH_4$ and SRP are frequently found. In particular, diatom and cryptomonad algae are bloomed in March, and blue-green algae in September; their maximum values are $108{\mu}g/l$ and $130{\mu}g/l$,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concentration of N and P nutrients, pollution loads can affect the Pyeongtaek Reservoir in the downstream in this order: Ansong Stream

평택호와 유역 주요 하천을 대상으로 수질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해 2000년 3월부터 12월까지 계절별로 4회 조사하였다. 유입하천에서 TN중 $NH_4$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저수지에서 TN과 $NH_4$는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았으나, $NO_3$$NO_2$는 다른 시기에 비해 각각 12월과 6월에 $1.6{\sim}2.4$배, 5.3${\sim}$11.4배 더 많았다. 정점간에 농도는 성분에 따라 차이가 있어 무기 N중 $NH_4$는 상류에서 가장 풍부하였고 $NO_3$는 큰 차이가 없거나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하천에서 SRP는 T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5${\sim}$69% 범위이었다. 저수지에서 P 성분은 N 과는 달리 하계를 제외하고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급감하는 경향이 현저하였다. SRSi는 평균값으로 볼 때, 강우가 있은 직후인 추계에 다소 증가하였다. 하천에서 chl-a의 평균 농도가 9${\sim}$33${\mu}g/l$ 범위이었고, 하류에서 비교적 농도가 높은 반면에, 저수지는 $NH_4$와 SRP가 높은 상류에서 가장 높았다. 특히, 3월에는 규조류와 은편모조류가, 9월에는 남조류가 대발생한 시기로서 최대값이 각각 108 ${\mu}g/l$와 130 ${\mu}g/l$를 기록하였다. N과 P영양염의 농도로 볼 때, 하류에 위치한 평택호에 미칠 수 있는 오염 부하는 안성천<오산천+진위천<성환천<서정천 및 황구지천 순으로 컸다. 유역에 위치한 주요 하천의 수질악화는 하수처리장과 미처리된 생활하수의 배출수가 주오염원으로 나타났다. 평택호의 수질오염은 유역의 상류하천으로부터 과다한 N ${\cdot}$ P영양염이 유입되어 야기되는 전형적인 부영양화현상으로 볼 수 있었고, 동 ${\cdot}$ 하계의 계절적 특성이 뚜렷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생물교육학회지 v.6 아산호를 다녀와서 권오길
  2. 기후 자료(수원, 천안) 및 민원 자료(평택, 안성) 기상청
  3. 물관리백서 수질개선기획단(수개단)
  4. 한국육수학회지 v.35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신윤근;김영길
  5. 한국육수학회지 v.35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이화학적 특성과 영양상태 신윤근;전상호
  6.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v.10 탐진강댐 상류하천에서 수환경과 담수조류 신재기;조경제
  7. 한국육수학회지 v.33 경안천~팔당호의 부영양화와 수질오염 특성 신재기;조주래;황순진;조경제
  8. 춘천교육대학 과학교육연구지 v.2 담수화 과정에 있는 아산호 및 남양호의 육수학적 양상에 관하여 조규송
  9. 한국육수학회지 v.9 아산호산 어류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1. 안성천의 어류상에 관하여 최기철
  10. 한국환경농학회지 v.1 경기지방의 농업공해에 관한 조사연구, 제1보 황구지천 유역의 오수유입담에서 질소 수준과 토양 개량제가 수도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최영진;조광동;박영규;박준규
  11. 한국육수학회지 v.9 아산호의 육수학적 연구 홍사욱;조현영;나규환
  12. 경기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경기도 인공호수의 수질개선과 효과적인 관리방안-평택호를 중심으로 황순진;이상훈
  13.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18th ed.) APHA;AWWA;WEF
  14. Limnology: Inland Water Ecosystems Kalff, J.
  15. Arch. Hydrobiol. Beih. (Ergebn. Limnol.) v.14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for chlorophyll and phaeopigment determination Nusch, E.A.
  16. Eutrophication of Waters: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ECD
  17. Laboratory Manual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Wastewater, and Soil Rump, H.H.;H. Krist
  18.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3rd Edition) Wetzel, 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