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bility of Thermal Structure and Heat Flux in the Juam Reservoir

주암호의 계절별 수온 구조와 열수지 변화

  • Sun, Youn-Jong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Cheol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Byong-Chun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Huh, In-A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Yoon, Jun-He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ang, Nam-Ik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a, Sung-Sik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Yang-Ki (Faculty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3.09.30

Abstract

Temperature profiles were observed to understand seasonal variation of thermal structures in the Juam reservoir from March 2000 to May 2001. Heat flux which affects thermal structures was calculated by observed water temperature and meteorological data. Temperature became homogeneous vertically by convection due to the surface cooling in winter. Maximum heat loss through the surface (109.45W/$m^2$) occurred in December. There was a horizontal gradient of water temperature in winter. The temperature was $3^{\circ}C$ at upstream and $5^{\circ}C$ near the dam. The surface temperature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solar radiation in spring and summer. Maximum heat gained through the surface was 101.95 W/$m^2$ in July. Maximum surface temperature was $29^{\circ}C$ in August, whereas the bottom water was $7^{\circ}C.$ Surface mixed layer became thicker and its temperature decreased by surface heat loss in fall and winter.

주암호의 수직 수평적 수온 구조의 계절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2000년 3월부터, 2001년 5월까지 수온을 관측하였다. 관측된 수온자료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수온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열수지를 정량적으로 계산하였다. 겨울에는 호수가 대기로 열을 빼앗겼는데, 12월에 최대 109.45w/$m^2$의 열을 잃었다. 표층수의냉각으로 대류가 일어나, 수직적으로 균일한 수온을 보였다. 수평적으로는 수온의 차이를 보여, 호수로 물이 유입되는 상류 쪽은 수온 $3^{\circ}C$, 댐 부근에서는 약 $5^{\circ}C$의 물이 존재했다. 봄이 되면서 주로 표층을 통해 얻는 열로 인해 표층 수온이 상승하여, 수직적인 온도 차이를 보였다. 여름에는 표층을 통해 유입되는 열의 양이 증가하여, 7월에 최대 101.95w/$m^2$였다. 표층 가열과 함께, 상류로부터 크게 증가한 유량으로 인해 주암호 내부의 열이 증가하여 8월에는 표층 수온이 최대 $29^{\circ}C$ 이상이 되었다. 그러나 저층수는 약 $7^{\circ}C$였다. 가을이 되면서 표층을 통해 열을 잃게 되어 표층수의 수온이 낮아졌고, 표면혼합층은 두꺼워졌다. 기온이 더 낮아지는 겨울에는 표층을 통한 열 손실이 더 증가하여 2월에 수온이 가장 낮아졌고, 수직적으로 균일한 수온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수온구조는 3월까지 지속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샘잔강 홍수통제소 2000 샘잔강흥수경보
  2. 콩동수, 윤엘맹, 류재근 1996 팔당호의 물수가 벚 수문특성한국육수학회지 29: 51-64
  3. 국립환경연구원 영산강 수칠 경샤소 2000 주암호의 오엽뭉칠 거동과 생태계 변화에 관한 연구(1)
  4. 감 t챙 춘 1999 냥해 앨수지에 관한 연구 석샤학위논문 전남대학교
  5. 류홍엘, 콩동수, 천세액, 빅택1 경 , 손영환, 류재근, 강종만 1995호소내 오엽하천 유압부의 식물에 의한 정화처리 연구(1) 국립환경연구원 NIERNo.95-17-461
  6. 요순희 2001 주암호의 수십별 수온과 유속 석샤학위논문전남대학교
  7. 융간엘, 황규흥, 정현향, 산만용, 암준택, 산잔청 1997 주암 다목적댐 건설에 따른 국지기후 변화가 농작물 생산성에마치는 영향 한국기상학회지 33: 3
  8. 。1 종범 1981 춘천지방의 연콩호에 의한 안개 벚 운량의 변화 한국기상학회지 17: 18-26
  9. 。1종범 1985 의암호 수면상의 정지경제층내의 열 벚 수증기의 수지 해석 한강 유역환경의 종합적 연구 ( 11 ) . 12-25
  10. 。1종범 1989 소양호의 수온 수직분포에 관한 앨수지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2( 1): 29-41
  11. 한국수자원콩샤 1998 주암호 수걸관리 전략개발에 관한 연구
  12. An, K.-G. 2001. Seasonal patterns of reservoir thermalstructure and water column mixis and their modificationsby interflow current. Korean. J. Limnol. 34: 9-19.
  13. Budyko, M.I. 1974. Climate and life. Academic Press.
  14. Carmack, E.C., C.B.J. Gray, C.H. Pharo and R.J. Daley.1979. Importance of lake-river interaction on seasonalpatterns in the general circulation of Kamloops Lake.British Columbia. Limnol.Oceanogr. 24(4): 634-644.
  15. Eichenlaub, V.L. 1979. Weather and climate of the greatlakes reg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6. Gill, A.E. 1982. Atmosphere-ocean dynamic. AcademicPress. 30pp
  17. Haney, R.L. 1971. Surface thermal boundary condition forocean circulation models. J. Phys. Oceanography. 1:241-248.
  18. Imberger, J. 1998. Physical processes in lakes and oceans.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ton D.C.
  19. Knauss, J. 1997. Introduction to physical oceanography.Prentice-Hall.
  20. Kraus, E.B. and C. Rooth. 1961. Temperature and steadystate vertical heat flux in the ocean surface layers.Tellus. 13: 231-238.
  21. Okuda, S., J. Imberger and M. Kumagai. 1995. Physicalprocesses in a large lake; Lake Biwa, Japan. American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C.
  22. Seckle, G.R. and F.H. Beaudry. 1973. The radiation fromsun and sky over North Pacific Ocean (abstract). Trans.Amer. Geophys. Union. 54: 1114.
  23. Talling, J.F. 1957.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somefreshwater plankton diatoms in relation to underwaterradiation. New Phytologist. 56: 2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