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Fermented Feedstuff with Wet Brewer’s Grain and Soybean on Fattening Performance and Carcass Grade in hanwoo Steers

맥주박 발효사료 및 대두의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육성성적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 Park, B.K.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Gil, J.M.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J.B.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ong, B.J.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Ra, C.S.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J.S.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s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eeding effects of FFWBG (fermented feedstuff with wet brewer’s grain) and GS(grinding soybean) in Hanwoo steers. For this research, total twenty steers(average body weight : 455.7$\pm$25.9kg) were grouped into control(formula feed), T1(formula feed:FFWBG=60:40), T2(formula feed:GS=80:20), T3(formula feed:FFWBG:GS=50:40:10), and T4(formula feed: FFWBG:GS=40:40:20), each treatment was allocated to four steers. There was a tendency to be increased average daily gain in T1, T2, T3 and T4 compared with the control even thoug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The feed conversion of T1, T2, T3 and T4 were beneficially better than that of control(P<0.05; 8.25, 9.44, 6.69 and 7.71 vs 11.90, respectively). The blood urea nitrogen concentration of T4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P<0.05), but the creatinine concentration of T4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P<0.05). The glucose concentration of T1, T2, T3 and T4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P<0.05; 59.39, 62.44, 62.17 and 54.00 vs 51.00mg/$d\ell$, respectively). The back-fat thickness of T3 was thicker than that of control, T1, T2 and T4. The rib-eye area of T1, T3 and T4 was wider than that of control. Appearances percentage of ‘A’ ranked meat quantity were 66, 33, 75 and 33% in control, T1, T2 and T4, respectively.

본 연구는 한우 거세 비육우에 맥주박을 이용하여 개발한 발효사료 및 분쇄대두의 급여가 육성성적, 혈액성상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한우 사육농가에서 평균 체중 455$\pm$25.9㎏의 한우 거세 비육우 20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모든 처리구에 배합사료와 볏짚을 기본사료로 급여하였으며, 배합사료를 전량 급여하는 대조구(Control), T1(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60:40), T2(배합사료:분쇄대두=80:20), T3 (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분쇄대두=50:40:10) 및 T4(배합사료:맥주박 발효사료:분쇄대두=40: 40:20)로 구분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비록 통계적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지만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효율의 경우 대조구, T1, T2, T3 및 T4에서 각각 11.90, 8.25, 9.44, 6.69 및 7.71로 나타나 T2를 제외한 처리구들에서 대조구에 비해 사료효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혈중 BUN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T4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반면에 혈중 creatinine 농도의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해 T4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 0.05). 대조구, T1, T2, T3 및 T4의 혈중 glucose 농도는 각각 51.00, 59.39, 62.44, 62.17 및 54.00mg/$d\ell$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등지방두께의 경우 T3에서 대조구 및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다소 두꺼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최장근단면적의 경우 T1, T3 및 T4에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 T1, T2 및 T4의 A등급 출현율은 각각 66, 33, 75 및 33%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맥주박 발효사료를 단독 급여하게 되면 사료단가는 낮추면서도 비육우의 증체율 및 도체등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대두와 맥주박 발효사료를 혼합 급여하게 되면 증체율 및 사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맥주박 발효사료와 적정 비율의 분쇄대두(농후사료 급여량의 10%)는 거세우를 위한 비육사료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맥주박 발효사료 제조과정에서 사료에 대한 발효처리는 맥주박 발효사료의 저장성을 크게 높여주기 때문에 맥주박과 같이 고수분부산물을 가축의 사료자원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의미하는 바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lcohol 飼料化硏究推進委員會. 1993. 飼料用 Alcohol.
  2. Anderson, H. R., Ingvartsen, K. L. and Klastrup, S. 1984. Influence of energy level, weight at slaughter and castration on carcass quality in cattle. Livestock Prod. Sci. 11P:571-586.
  3. Armentano, L. E., Herrington, T. A., Polan, C. E., Moe, A. J., Herbein, J. H. and Umstadt, P. 1986. Ruminal degradation of dried brewers grains, wet brewers grains and soybean meal. J. Dairy Sci. 69:2124-2133.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86)80644-0
  4. Armentano. L. E, Herrington, T. A. and Polan, C. E. 1983. Ruminal degradation of dried brewers grains, wet brewers grains and soybean meal in situ and in vitro. J. Dairy Sci. 66(Suuppl. 1): 171(Abstr.).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83)81769-X
  5. Enright, W. J., Quirke, J. F., Gluckman, P. D., Breier, B. H., Kennedy, L. G., Hart, I. C., Rochecoert, J. F. and Allen, P. 1990. Effects of long-time administration of pituitary-derived bovine growth hormone and estradiol on growthin steers. J. Anim. Sci. 68:2345. https://doi.org/10.2527/1990.6882345x
  6. Garcia-De-Siles, J. L., Wilson, L. L., Ziegler, J. H. and Watking, J. L. 1982. The effects of slaughter age on growth and carcass traits in an intensively managed crossbred beef herd. Livestock Prod. Sci. 9:375-388. https://doi.org/10.1016/0301-6226(82)90043-4
  7. Ham, G. A., Stock, R. A., Klopfenstein, T. J., Larson, E. M., Shain, D. H. and Huffman, R. P. 1994. Wet corn distillers byproducts compared with dried corn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as a source of protein and energyfor ruminants. J. Anim. Sci. 72:3246-3257. https://doi.org/10.2527/1994.72123246x
  8. Hathch, C. F., Perry, T. W., Mohler, M. T. and Beeson, W. M. 1972. Effect of corn distillers solubles and brewers dried grains with yeast in urea-containing rations on steer performance. J. Anim. Sci. 34:326. https://doi.org/10.2527/jas1972.342326x
  9. Itabashi, H., Kobayashi, T., Takenaka, A. and Matsumoto, M. 1991. Influence of ethanol on ruminal microbes and fermentation pattern, hydrogen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and meat quality of beef cattle. 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Nutrition of Harbivores. Malaysia.
  10. Jacobs, J. A., Hurst, C. E., Miller, J. C., Howes, A. D., Gregory, T. L. and Ringkob, T. P. 1977. Bulls versus steers. I. Carcass composition, wholesale yields and retail values. J. Anim. Sci. 46:695.
  11. Martin, T. G., Perry, T. W., Mohler, M. T. and Owens, F. H. 1978. Comparison of four levels of protein supplementation with and without oral diethylstillbestrol on daily gain. Feed conversion and carcass traits of bulls. J. Anim. Sci. 48:1026.
  12. Morrison, F. B. 1956. Feeds and Feeding (22nd Ed.). The Morrison Publishing Co., Ithaca, N.Y. 450-451.
  13. Neal Merchen, Torn Hanson and Terry Klopfenstein. 1979. Ruminal bypass of brewers dried grains protein. J. Anim. Sci. 49: 192. https://doi.org/10.2527/jas1979.491192x
  14. Porter, R. M. and Conrad, H. R. 1975. Comparative nutritive value of wet and dried brewers grains for dairy cattle. J. Dairy Sci. 58:747(abstr.).
  15. $SAS^{\circledR}$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5 Edition. 1985. SAS Inst., Inc., Cary, NC.
  16. Stern, M. D. and Satter, L. D. 1980. In vivo estimation of protein degradability in the rumen. F. N. Owwens, ed. Misc. Publ. 109, Oklahoma State Univ., Stillwater.
  17. Whitney Rounds and Terry Klopfenstein. 1975. Brewers dried grains in ruminant rations. J. Animal Sci. 41:415(abstr.).
  18. Young, L. G. 1973. Unextracted soybeans versus soybean meal for animal feeding. Effect of processing on the nutritional value of feeds. NAS, Washington, D.C.
  19. 米持千里, 高木久雄, 大湧浩靖, 管 京城, 花積 三千人, 網勝利朗, 西陸德, 米道慾强, 森淸一. 1990. アルコール給與ガホルスタイン種去勢肥肉牛の發育及び健康狀態等に及ぼす影響. 肉用牛硏究會第28回大會講演要旨. p. 45.
  20. 津吉 炯, 深谷幸作, 飯原愼一, 中原信夫, 熱田眞由美, 針生程吉. 1990. 黑毛和程肥肉牛 の仕上期におけるアルコ-ル給與ガその肉質に及び肉質への效果影響. 肉用牛硏究會 第 28回大會講演要旨, p. 51.
  21. 板橋久雄, 小林 剛, 竹中沼雄, 松本光人, 加藤貞雄, 千國幸一, 小石川常吉, 小堤恭平. 1990. エタノ-ル給與ガ肥 肉牛のル-メン醱酵と産肉性及ぼす影響. 日畜學會第83回大會 講演要旨, p. 108.
  22. 和田 宏. 1990. 脂肪交雜の生理. 九州束海大學. 追錄第9号.
  23. 강수원, 정연후, 손용석, 김용곤, 나승환. 1995. 비육기간이 한우 육성 비육우의 도체특성 및 장기발육에 미치는 영향. 한영사지 19(1):56-68.
  24. 백봉현, 김용곤, 신기준, 이근상, 김강식. 1989. 한우의 수소 거세 및 암소 육성비육시 육생산성과 육질 및 사료이용성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축산편) 31(4):1.
  25. 신종서, 김종복, 성경일, 여인서, 김기은, 박연수, 홍병주. 1994. 고품질 쇠고기 생산을 위한 한우 사육기술. 1. 소 성장호르몬과 알코올발효사료의 처리가 증체율, 사료효율, 혈액성상, 육조성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한영사지. 18(5):363-372.
  26. 신종서 김종복, 성경일, 여인서, 김기은, 홍병주. 1994. 고품질 쇠고기 생산을 위한 한우 사육기술. 2. 소 성장호르몬과 알코올발효사료의 처리가 도체품질 및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영사지. 18(5):373-381.
  27. 신종서. 1995. 발효사료 급여, 성장호르몬 투여 및 거세가 고품질 쇠고기 생산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엄창국. 1998. 한우육의 품질고급화를 위한 알코올발효사료 급여효과.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와이젠버거. 1988. 동물사료로서 전지대두의 이용효과. 한영사지. 영양사료기술세미나교제:59-61.
  30. 임광철, 김창혁, 오상집, 성경일, 김현숙, 김종복, 홍병주, 신종서. 2001. 알코올발효사료 급여가 한우의 육성성적 및 혈액의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과학회지. 43(6):881-894.
  31. 임광철. 2001. 알코올 발효사료의 한우 반추위내 영양대사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조병대, 이근상, 나기준, 백봉현, 김형철, 홍성구, 김용곤, 이병석. 1992. 한우의 산육특성과 양질 쇠고기 생산기술 개발 연구. 축산시험장 연구 보고서.
  33. 조병대. 1993. 고급육 생산기술개발. 한우연구회. 한우연구회 제 1회 심포지움. p. 32.
  34. 최영선. 1995. 식이지방급원으로서의 대두유의 영양학적인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28(9):946-947.

Cited by

  1. Effect of dietary level of brewer's dried grain o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vol.9, pp.2, 2008, https://doi.org/10.5762/KAIS.2008.9.2.564
  2. The effect of fermented apple diet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vol.80, pp.1, 2009, https://doi.org/10.1111/j.1740-0929.2008.00598.x
  3. Effects of Total Mixed Fermentations with Bean Curd Dregs on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 Hanwoo Heifers vol.21, pp.10, 2011, https://doi.org/10.5352/JLS.2011.21.10.1460
  4. Effects of Brewers Grain, Soybean Curd and Rice Straw as an Ingredient of TMR on Growth Performance, Serum Parameter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vol.55, pp.1, 2013, https://doi.org/10.5187/JAST.2013.55.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