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end on the Change of the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기온 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시기의 변화 경향

  • Received : 2003.02.10
  • Accepted : 2003.02.27
  • Published : 2003.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end on the change of the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by selecting regions that have long periods of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data as cases. With the flowering time data, the distribution of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time series change and change rate of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were analyzed.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and the temperature was analyzed. The flowering of cherry blossom is earlier in metropolitan areas, and in the east coastal region than the west coastal region. The trend on the change of the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is very similar to change the temperature. The change rate of the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is rising up in the whole regions under study, and is relatively high in metropolitan areas. Especially, the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festinated greatly in Pohang that is one of the heavily industrialized cities. From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and temperature elements, the cherry blossom flowering time is highly related with mean temperature of March, which the month is just before the beginning of flowering.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식, 1994, 지구온난화와 동반된 한반도 기온 변화의 시나리오 연구(1), 한국기상학회지. 30(2). 247-200.
  2. 공우석, 2001, 대나무의 시 . 공간적 분포. 대한지리학회지. 36(4), 444-457.
  3. 권현수. 1996, 남한의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 건국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광식, 1965. 우리나라에서의 벚꽃과 복숭아 개화일예상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1(1), 14-17.
  5. 김맹기. 강인식. 곽종흠, 1999, 최근 40년간 한반도 도시화에 따른 기온 증가량의 추정, 한국기상학회지. 35(1), 118-126.
  6. 김백조. 권원태,김경환. 백회정. 2000. 한반도 기온 변화에 나타난 도시화 효과 검출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6(5). 519-526.
  7. 노재식. 강용균. 1985. 과거 30년간(1954-1983) 한국기온의 연변화 및 연별 변동. 한국기상학회지. 21(3), 1-10.
  8. 류상범,문승의,조병길,1993. 남한의 도시화 에따론 기온변동, 한국기상학회지, 29(2), 99-116.
  9. 심교문,이정택,윤성호, 황규홍, 2000, 가을 보리 재배기간중의 기상변화,한국농림기상학회지, 2(3), 95-102.
  10. 윤성호,임정남,이정태,심교문,2001,기후 변화와 농업생산의 전망과 대책,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4). 220-237.
  11. 이명인, 강인식, 1997. 한반도 기온변동성와 온난화, 한국기상학회지, 33(3), 430-442.
  12. 이변우, 신진철. 봉종현. 1991. 대기중 C02 농도 증가에 따른 기후변화가 농업기 후자원,식생의 순 l차생 산력 및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36 ( 2), 430-442.
  13. 이병곤, 문영수, 1985, 우리나라 주요도시와 그 인접지역에서의 기후변동경향, 경북대 논문집, 39, 51-63.
  14. 임양재, 임문교, 심재국, 1983, 한국의 온도기후와 생물의 계절변화, 식물학회지. 26(2), 101-117.
  15. 정영호, 엄규백. 1961. 기후적 질서로 본 오대산 선식물상, 식물학회지. 4(2), 33-39.
  16. 조하만. 정귀원, 조천호. 1988. 서울의 도시화에 따른 기온의 변화. 한국기상학회지. 24(1). 27-37.
  17. 홍영남, 남정원, 이혜연, 1995, 광량과 온도변화에 따른 고추(Capsicum annuum L.) 잎 광계 2의 광억제. 식물학회지. 38(4). 373-380.
  18. Withrow, R. B. and J. P. Biebel, 1941, Plant physiology, 11, 807-819 https://doi.org/10.1104/pp.11.4.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