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rimination of Angelicae Radix Based on Anatomical Characters

당귀의 해부형태학적 특징에 따른 기원판별

  • Published : 2004.03.31

Abstract

For discrimination the origins and the commercial herb medicines of three Angelicae Radixes (Danggui), anatomical characters of leaves, petioles, and root cross-section were investigated and those were compared each other. The key for discrimination of these herb medicines was made by below simple characters: development of periderm, absent and present of collenchyma under the periderm, and distribution of latex tube in cortex. The result of discrimination for the commercial herb medicines based on the discrimination key, Angelicae gjgantis Radix (Angelica Gigas Root), Angelicae Radix (Japanese Angelica Root), and Radix Angelicae Sinensis (Danggui) were correctly identified for Angelica gigas Nakai, A acutiloba Kitagawa, and Angelica sinensis (Oliv.) Diels., respectively. Consequently, anatomical characters could be utilized for useful method to discriminate three Angelicae Radixes (Danggui).

당귀류 약재의 기원식물에 대해 해부형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이를 통하여 당귀 기원 및 국내유통 당귀류 약재의 판별에 이용코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원식물 뿌리의 해부형태특징은 정상 2기생장, 주피발달, 유세포내 전분함유 등이 공통점이었고, 후각세포층은 참당귀와 왜당귀에서 관찰되었으며 피층의 유실분포는 참당귀와 중국당귀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참당귀에서만 속성후벽세포가 다량 관찰되었다. 잎의 표피세포는 중국당귀가 가장 컸으며 세포표면의 형태는 참당귀와 중국당귀는 거친 주름이져 있었고, 왜당귀는 완만한 굴곡이 관찰되었다. 3종의 기공은 모두 불규칙형 부세포를 가지고 있었고 참당귀가 $mm^2$당 600개 이상으로 가장 많은 기공이 분포하고 있었다. 모용은 참당귀에서만 원뿔형으로 관찰되었다. 엽병은 3종식물에서 모두 유조직이 잘 발달된 형태였고 환상으로 병립유관속이 발달하고 있었다. 국내 유통 당귀류 약재의 판별에 있어서 해부형태적 특징을 정리하여 간단한 동정 KEY를 적용하여 만든 검색표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다. 검색표를 이용하여 전국 7개 지점에서 수집한 약재를 판별한 결과, 당귀 (국산) 또는 토당귀로 유통되는 약재는 참당귀 (A. gigas)로 동정되었고, 일당귀로 유통되는 약재는 왜당귀(A. acutiloba)로 동정되었다. 중국당귀는 현재 시중 유통되지 않고 있으며 본연구에서 사용된 약재 중국당귀는 중국 현지에서 직접 구입해 온 것으로 중국당귀 (A. sinensis)의 뿌리와 동일한 횡단면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현재 국내 유통되는 당귀류 약재는 (토)당귀의 경우는 KP에서 규정하는 것과 동일기원이었으며, 일당귀는 일본약국방(JP,2001)에서 규정하는 것과 동일한 기원으로 당귀류 유통약재의 기원상에 오류는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ang KH, Yu HS, Koo DH, Cho JH, Park HW, Seong NS, Park SI, Kim HS (2002) Selection of RAPD marker to discriminate the bolting-resistant varieties and commercial dried medicinal materials of Angelica speci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1):46-50
  2. Esau K (1977) Anatomy of Seed Plants. 2nd Editio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 550
  3. Lee MY, Im SH, Ju YS, Han KS, Jeong GJ, An DG, Kang HC, Ko BS (2000) Discrimination of the three Angelica species using the RAPDs and internal root structur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3):243-249
  4. Lee MY, Im SH, Kim HK, Han KS, Choi YH, Ju YS, Oh SE, Ko BS (2002) The Discrimination of Coisis Semen and Coisis lacrima-jobi Semen by th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s and anatomical characeristic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1):17-23
  5. Solereder H (1908) Systematic Anatomy of The Dicotyledons. Oxford. p. 419-426
  6. 國家藥典委員會(2000)中華人民共和國藥典. 北京:化學工業出版社
  7. 衬上孝夫(1991)中國有用植物圖鑑. 동경:廣川書店
  8. 厚生勞動省(2001)日本藥局方 제14개정. Japenese Pharmacopoeia. p.924
  9. 김창민,신민교,이경순 안덕균 (1998) 완역 중약대사전 (전10권 부록1권) 3권. 도서출판 정담. .P 1159-1168
  10. 안덕균(주해) (1983) 향약채취윌령. 사단법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48
  11. 약업신문편집부 (2002) 대한약전 제8개정. 약업신문
  12.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3.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한국의약품시험연구소 (2003) 한약재감별 주해. 도서출판대명. p. 170-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