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on Growth and Yield in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질소 분시 비율에 따른 도라지의 생육 및 수량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per method of nitrogen application for increasing the growth stability and quality in ballon 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In growth characteristics by split ratio of nitrogen application, stem diameter, number of branching roots and number of leaves were higher at the split ratio of 50:50 (nitrogen were splitted a half with basal application and the other half in autumn) than at 70:30. Root length, root diameter and number of branching root were higher at 50:50 than those of 70:30. The root yield was increased by 30% (230 kg/10a) at 50:50 compared with that of the 70:30. The crude saponin contents of root from 50:50 was 4.68%.

도라지 재배시 질소 분시 비율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도라지 수량 면에서는 2년생 생근과 건근이 50:50 2회 추비 구에서 각각 898 kg, 230 kg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30:70의 추비 구에서 가장 많았다. 1년차에서의 분시비율은 기비 50%, 추비 50%로 하되, 추비 50%를 2회 나누어 시비하고 2년차는 추비만 시비하는데 이 때 50:50로 2회 나누어 주면 수량 증대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결과에서 지상부 생육은 년수 간에는 1년생보다 2년생이 출현기, 개화기가 더 빠르고 경장, 경태가 더 크며 분지수, 엽수도 모두 더 많아 전체적인 생육이 양호하였다. 질소 분시 비율 차이에 따른 지상부 생육은 2년생 근에서는 50:50 2회 추비구가 다른 추비구보다 경태가 굵고, 분지수, 엽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2년근 지하부 생육은 50:50 2회 추비 구에서 주근장도 가장 길고 지근수도 가장 많아 수량도 건근 230 kg/10a로서 70:30 추비 구 보다 30%의 수량 증대를 보였다. 조사포닌 함량에서도 50:50 추비구가 4.68%로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도라지 질소 분시 비율은 1년차는 기비 50%와 추비 50%로 하고 2년차는 추비를 50:50 비율로서 2회로 나누어 시비하는 것이 수량과 품질면에서 모두 바람직하며, 특히 2년생 이상을 수확하는 것이 수량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ho JT (1985)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on the Ctunese bell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DC. J. Kor. Soc. Hort. Sci. 26 (1):22-28
  2. Kim YG, Lee BE, Kim KJ, Lee YT, Gho KB, Chung YC (1998)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thePtatymdon grandiftorum cultivated for more than 20 years.Yakhak Hoeji 42:382-387
  3. Konishi T, Tada A, Shoji J, Tanaka O (1976) The structures ofplatycodin A and C, monoacetylated saponins of the roots of PIatycodon grstndiflorum Chemical and PharmaceuticalBulletin 26(2):668-670
  4. Lee GY, Hwan EI, Lim ST (1998) Effect of Pfatycodongra.ndiftorum DC extract on the growth of cancer cell Lines.Korean Journal of Pood Science Technology 30(1):13-21
  5. Lee, ST, Kim MB, Kim DK, Ryu JS, Lee HJ, Heo JS (1998)Production of Curd Yogurt from Platycodon grandiflorum(Jacq.) A. DC.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4):265-270
  6. Saeki, T., Koike, K., Nikaid, T (1999) A comparative study oncommercial, botanical gardens and wild samples of the rootsof platycodon grandifIorum by HPLC analysis. Planta Medica.65:428-431 https://doi.org/10.1055/s-1999-14021
  7. Tada A, Kaneiwa Y, Shoji J, Shibata S (1975) Studies on thesaponins of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Bofum A. De Candolle.I. Isolation and the structure of platycodin D. Chemical andPharmaceutical Bulletin 23(11):2965-2972 https://doi.org/10.1248/cpb.23.2965
  8.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1997)완역 중약대사전. 정담. p.797-803
  9. 성재덕 (1998) 영남농업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전작,부산원예분야)
  10. 성재덕. 김현태. 펀금숙. 한상익. 꼭용호 (1999) 토성에 따른 길경생육 및 사포닌 함량. 한약작지. 7(4):282-287
  11. 成煥音 (1989) 건강生藥. 한국메디칼 인덱스사. p. 49-50
  12. 손세호 (1975)작물시험장 시험연구보고서
  13. 이승택, 채영람 (1996)약용작물재배. 향문사. p.61-65
  14. 정연선, 황형백 (1994)경상북도 농촌진홍원 시험보고서
  15. 障存仁 (1982) 蠻說 漠方醫藥大事典(II卷). 中騷藥學大典. P.274-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