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he Ingredients at Powdered Green Teas Commercialized in Korea and Japan

한일 말차의 성분 비교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Green tea, a leaf of the plant Camellia sinensis, is one of the most consumed traditional oriental beverages. Green tea has been considered a medicine and a healthful beverage since ancient times, but recently it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because of its antioxidants like polyphenols. Moreover, green tea contains amino acids, carbohydrates, proteins, chlorophyll, volatile compounds, minerals, and phytochemical components that are essential or helpful to human health.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green tea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mong these, powdered green tea can be effective in the absorption of ingredients compare with other types of green tea since we take the beverage with powder itself.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general ingredients (moisture, proteins, fat, carbohydrates, and ash), minerals (Fe, Mg, Ca, Na, K, and P), hunter color values, and alcohol insoluble substance were determined in total of six powdered green teas commercialized in Korea and Japan.

시판되고 있는 말차를 가격에 따라 상품, 중품, 하품으로 구분하여 색도, 수분,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Ca, Mg, P, Na, K, Fe 등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도는 'L' 값은 $58.66{\sim}60.69$, 'a'는 한국 중급인 S2(-7.18)와 한국 하급인 S3 (-7.48)의 순으로 한국 말차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b'는 S5(일본 중)가 37.21, S6 (일본 하)가 35.47순으로 일본의 말차가 더 진한 황색-청색을 띠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의 말차의 색상이 더 푸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 일반성분 중 수분 함량은 $1.36{\sim}3.77%$로 P<.001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11.14{\sim}32.56%$의 분포로 한국산은 S1(상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본산은 S6(하급)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P<.01의 유의차를 보였다. 지방은 $5.74{\sim}11.14%$의 분포로서 P<.05 수준의 많은 유의차로 나타났고, S1(한국 상)이 11.14%로 가장 높았고, 탄수화물도 $48.89{\sim}76.89%$의 분포로 S1(한국 상)이 60.88%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P<.001). 회분 $4.87{\sim}7.36%$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S4(7.36%), S6(6.84%), S5(6.76%)의 순으로 일본말차에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내어 P<.001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무기성분은 Ca $157.69{\sim}279.29mg$의 함량으로 S3(279.29mg), S1(188.23mg), S2(180.52mg), S6(179,60mg)의 순으로서 S3(한국하), S1(한국상), S2(한국중)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한국 말차가 Ca 함량이 더 높았다. Mg의 경우는 시료 100g당 $346.63{\sim}590.03mg$로 S3(590.03mg), S4(530.00mg), S2는 346.63 mg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의 함량은 S4 (398.47mg), S5(373.90mg), S6(371.55mg), S2(355.40mg), S1(346.66mg), S3(237.38mg)의 순으로서 $237.38{\sim}398.47mg$의 분포를 보여 S4(일본 상), S5(일본 중)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Na은 $141.78{\sim}231.54mg/100g$로서 S2(231.54mg), S1(292.95mg), S5(191.31mg)로 의 순으로 한국산 말차에 함량이 높았고, K은 $1,357.70{\sim}2,716.12mg/100g$으로 S4(2,716.12mg), S5(2,254.20mg), S6(2,221.45mg), S1(2,148.16mg), S2(1,842.36mg), S3(1,357.70mg)의 순으로 일본산이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Fe함량은 $17.60{\sim}24.34\;mg/100g$으로서 S6 (24.34mg), S5(21.43mg), S4(20.02mg), S2(19.98mg), S1(19.25mg), S3(17.60mg)으로서 S6(일본 하), S5(일본 중), S4(일본 상), S2(한국 중)의 순으로 일본산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말차속의 무기질 함량 중 Ca과 Na은 한국산 말차가 더 많았고 Mg, P, K, Fe의 함량은 일본의 말차속에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말차의 모든 무기질함량은 P<.001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불용성 물질(A.I.S.)은 한국산 $57.70{\sim}63.52g%$, 일본산 $56.59{\sim}59.51g%$의 분포로서 S3(63.52g%), S4(59.51g%), S5(58.84g%)의 순으로 거의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한국산에 조금 높았고, P<.05 수준의 유의차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산 말차의 경우 차 잎이 더 많이 자라 잎맥의 형성이 더 많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Keywords

References

  1. 金在生, 山林保護, p.37-141, 大韓山林組合聯合會,1968
  2. 大石貞男, 畑明美, 林榮一, 健康食お茶, 第一版, H本農山漁村文化協會, 1987
  3. 석성우 茶道, 백양출판사, p. 20, 1981
  4. 富田勳. 綠茶の 有效成分と 新機能硏究, p.110-130. 月刊フ-ドケミカル, 1991
  5. Jong-Bang Eun, Jour. Korean for.Soc,p.66, 54-63, 1984
  6. 金富軾, 三國史記, 卷十, 高麗, 仁宗, 서거정, 정효항, 동국통감, 11, 1484
  7. 李盛雨, 韓園食品文化史, 敎文社, p238,1984
  8. 유태종, 차와 건강, p.9, 1988
  9. 신미경.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10. Sin MG : Sdence of Green Tea, Korean J. Dietary Cultuie, 9(4): 433-445, 1994
  11. 金在生. 金鍾萬, 한국산 茶樹의 形態에 관한 연구, 晋州農科大學, 10, 1969
  12. Chen Zongmao, 한국식품과학회 2차 국제녹차세미나 초록, 1993
  13. Jang-Hyun Park and Keun-cheol Urn, Growth and Constituents of Tea Shoots for Powder Green T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5): 379-383,2002
  14. Mee Gyung Sin, Sung, Woo Lee, Studies on the Amounts of Solubilized L-Ascorbic Add in Green Tea by Extrac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 Nutrition, 12(1), 1983
  15. Mee-Gyung Sin, Mi-Kyung Chang, and Eun-Sook Seo, Chemical Properties on the Quality of Marketed Roasting Green teas, Korean J. Soc. Food Sci. 11(4), November, 1995
  16. Youn-Hee Kim, and Jin-Bog Koh, The Mineral Contents of Green Tea Made with Different Drawing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nurt. 14(3): 289-295,1985
  17. Jeong-Ryae Jeon, and Geum-Soon Park,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s and Chemical Compositions, Koiean J. Soc. Food Sci 15(2), May, 1999
  18. Jang-Hyun Park ets,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nstituents of leaves in domestic tea plant, J. Kor. Tea Soc. 1(1): p.161-173, 1995
  19. 食品鑑別劍法 : 食品鑑別檢査法硏究會編(建帛社),726,1979
  20. AOAC(1990): Officiat Methods of Anatysis, I5thed., Assod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21. 大阪府立大學農學部圍藝利用學敎室編. 園藝學實驗室習, 養賢堂, 1981
  22. 신효선, 식품분석, 신광출판사, p.87-88, 1994
  23. 鈴木正己 : 原子吸光分析法,共立出版, 1984
  24. 정충영, 최이규 :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무역경영사, 2001
  25. 이서태, 신효선 : 최신식품화학 302-307, 신광출판사, 1994
  26. 송재철 : 식품재료학, 88-89, 교문사, 1994
  27. 佐伯俊子, 中西洋子, 九山悅子, 梶田武俊 : 綠葉. のクロロフイル 熱安定性に 關する 硏究, 調理科學, 20(2): 125-129, 1987
  28. Sin MG, Lee SW, Studies on the Amounts of Soluhilized L Ascorbic Acid in Green Tea by Extrac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 Nutntion. 12(1), 1983
  29. 梶田武俊, お茶の 話, 調理科學, 25(1), 1992
  30. www. inhwadang.com, 녹차의 성분과 효능, 2003, 10, 6
  31. Jong-Bang Eun, Chong-Ouk Rhee and Dong-Youn Kim, Study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ea Shoots in Native Tea Plant in Korea, J. Korean Agiicultural Chemical Sodety, 28(3), Sep, 1985
  32. www.kyocha.or.jp/study/seibun.html 2003, 5, 6 (京都府茶協同組合, お茶の 主な 成分, 四訂日本食品標準成分表, 科學 技術廳)
  33. 정해랑,. 권기화, 식품과 영양, 5(1), 29, 1984
  34. 下田吉人 : 調理と 化學, 新日本調理科學 講座1. 朝倉書店, 東京, 84,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