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ical Responses on the Auriferous Mineralized Bone in Sambo Mine

삼보광산 금 광화대에 대한 전기탐사 반응

  • 유영준 (대한광업진흥공사 자원탐사처) ;
  • 유인걸 (대한광업진흥공사 자원탐사처) ;
  • 김정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탐사연구실)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Self-potential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s were conducted for locating the auriferous mineralized zone, called Jija Vein, of Sambo mine, Limsu-ri, Haeje-myeon, Muahn-gun, Jeollanam-do. The host rocks of the mineralization include gneiss, rhyolite and felsic dyke. Ore vein is mainly fissured-filling type and sulfide minerals, such as pyrite, are disseminated in country rock. By the electrical responses from SP and surface resistivity methods., the mineralized zone is supposed to extend about 360 m directed N5W with the width of 20 m to 30 m. From resistivity tomograms using inclined borehole to surface, the ore body shape is interpreted as the width of 20 m in depth 40 m to 50 m.

전남 무안군 해제면 임수리 소재 삼보광산에서 편마암류 또는 유문암내에 열극을 충전한 함금은 광상을 대상으로 지표에서 자연전위탐사와 전기비저항탐사를, 경사 시추공을 이용한 시추공대 지표 비저항 토모그래피 탐사를 실시하였다. 광상은 함금은 석영맥으로 모암 내에는 황철석 등의 황화광물이 광염상으로 배태되기도 한다. 탐사 결과 전기적이상 반응으로 보아 광화대는 N5W 방향으로 폭 $20\~30\;m$, 길이 약 360 m 정도 발달하며, 토모그래피 단면상 지표하 심도 $40\~50\;m$ 깊이에 폭 20 m규모의 이상반응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호, 이명종, 조성준, 정승환, 송윤호, 1997, 전기, 전자 탐사법에 의한 지하 영상화 기술 연구 -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의 분해능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연구소 KR-97(C), 3-54
  2. 김정호, 2003, Tomo DC Vl.0, 한국지질자원연구
  3. 대한광업진흥공사, 2003, 삼보광산 기술조사보고서(미발간)
  4. 대한광업진흥공사, 2003, 무안지구 정밀조사 보고서 , 73 p.
  5. 유인걸, 1998, 맥상 황화광체에 대한 전기 및 전자탐사 반응, 물리탐사, 1, 110-115
  6. 조인기, 정승환, 김정호, 송윤호, 1997,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에서의 전극배열 비교, 자원공학회지, 34, 1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