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y Trip Purpose and Walkway Function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설정

Im, Jin-Kyung;Shin, Hye-Sook;Kim, Hyung-Chul
임진경;신혜숙;김형철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Generally, LOS for pedestrians has been defined quantitatively by the capacity of a walkway in terms of the amount of available space (inverse of density) per pedestrian at the maximum flow conditions (Fruin, 1971; Highway Capacity Manual,2000). The amount of space per pedestrian is typically expressed by the pedestrian area module (Fruin, 1971) and i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walking speeds of pedestrians and flow rate in relation to the width of the walkway available for walking. However, current KHCM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2001) does not offer any specific analysis method for pedestrian space. In addition, pedestrian LOS (Level of Service) is evaluated to the unity criteria about all walkway, and it has problems which the criteria itself is emphasizing a physical mobility such as speed, density, flow rate and etc.,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only walkway (sidewalk) among the pedestrian facilities. The purpose is as follws. First, to investigate pedestrian theory and current KHCM for specific problem recognition, and then to deduce the necessity of new pedestrian LOS criteria. Second, to classify walkway according to function, trip purpose, land use, peak hour and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 particularly. Third, to determine LOS thresholds from A to F through speed-flow relationship and pedestrian flow-space relationship, and to make a comparative study by the walkway type. Finally, to analyze people psychology through a picture questionnaire survey according to LOS which is first determined by the type and then to suggest a New LOS.

본 연구는 "과연 보행자가 적을수록, 보행속도가 높을수록 서비스수준이 높은 것인가, 모든 보행자도로에서 보행자가 느끼는 서비스수준이 동일한 물리적 특성에 대해 같을 것인가" 라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즉, 보행자 도로의 특성에 상관없이 일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현행 보행서비스수준 평가기준(도로용량편람)에 대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보행자 도로의 유형 분류 및 각 유형별 보행교통류 특성 연구와 각각의 서비스수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보행자도로 의 경우에도 역시 일반 자동차 도로와 마찬가지로 그 기능이나 유형에 따라 분류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토지이용 보행목적 보행행태 등에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동일한 서비스수준 산정기준에 의해 평가되고 있다. 특히 토지이용 측면에서 살펴보면, 용도지역에 따라 피크시의 보행활동이나 보행행태 등이 다를 것임에도 불구하고, 도시의 중요 요소인 토지이용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은 채 단일 기준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각 유형에 따라 다른 기준이 사용되어야 하고 보행자의 심리적 측면까지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단지 보행교통류율, 점유공간, 밀도, 속도에 의해 일괄적으로 산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합리적인 보행 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하여, 보행자도로를 보행자도로의 기능, 주변 토지이용, 보행행태, 보행 집중시간대 등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보행교통류의 특성을 파악하여, 각각의 유형에 맞는 보행 서비스수준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보행자도로의 계획 지표로써 활용이 가능하며, 보다 합리적인 보행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로써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도로용량편람 건교부
  2. 대한교통학회지 v.20 no.1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김정현;오영태;손영태;박우신
  3. 보행목적에 따른 보행교통류 특성에 관한 연구 박동주
  4. 도시 보행자 공간 설계를 위한 Service Level 설정에 관한 연구 박성현
  5. 보행교통류 특성 및 보행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서인국
  6. 보행자특성 및 통근.통학자의 보행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양경희
  7. 보행자 교통특성과 보행환경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이찬호
  8. 도시 보행환경의 평가에 관한 연구 이태진
  9. 보행자도로의 용량 산정 임정실
  10. 都市造成과 步行空間 : 都市空間의 創造 今野博;이양재(譯)
  11. 보행자 공간: 이론과 디자인 Fruin, John J.;유태열(譯);김용성(譯)
  12. Highway Copacity Manual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