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Vote Behavior of the Voters- Focused on the June 13 Local Election(2002) and April 15 General Election(2004) -A Study on Vote Behavior of the Voters- Focused on the June 13 Local Election(2002) and April 15 General Election(2004) -A Study on Vote Behavior of the Voters - Focused on the June 13 Local Election(2002) and April 15 General Election(2004) -

유권자의 투표행태 연구 - 6.13 지방선거(2002)와 4.15총선(2004) 비교 -

Song, Geon-Seop
송건섭

  • Published : 20040000

Abstract

본 연구는 4.15총선(2004)과 6.13지방선거(2002)를 대상으로, 선거에서 드러난 투표행위를 분석하고, 후보자인지 및 선택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비교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2차에 걸쳐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동일한 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1차 2002년, 2차 2004년), 연구결과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였다. 선거의 관심도와 중요성, 전체적인 선거태도 등은 지방선거보다 총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자 인지 및 선택요인에서 총선은 언론매체, 인물됨을, 지방선거에는 선거공보‧홍보물, 지역발전기여도 등을 들었다. 그러나 향후 영향요인으로는 총선은 언론매체와 정당요인, 지방선거는 개인접촉과 정당요인 등으로 나타나, 선거 간 투표행태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태. (2004). 17대 총선과 지역주의: 영남권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12(1): 83-104
  2. 강용기. (2001). 우리나라 지방선거체제 개편방안: 지역정당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3. 김영하. (2000). 6.4지방선거에 나타난 대구.경북지역 유권자의 후보자 선택기준. “2000년도 하계학술세미나 및 제9회 한일지방자치학회 국제세미나 자료집“. 한국지방자치학회
  4. 박기동. (1994). “조직행동론“. 박영사
  5. 박찬욱. (1992). 유권자의 선거관심도. 후보인지능력과 투표참여의사: 제14대 총선전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6(3): 153-174
  6. 박창규. (2002). 지방선거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자의식조사를 토대로. 2002년도 동계학술발표회. 대한정치학회: 185-209
  7. 손혁재. (2002). 한국의 역대 지방선거의 평가 및 분석.“지방자치정보지“. 135호
  8. 손혁재. (1998). 6.4 지방선거: 그 그늘과 빛. 학단협 정책토론회 발표문
  9. 송건섭.박성만.정진홍.권윤희. (2003). 6.13지방선거에서 유권자들의 후보자 인지요인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6(4): 85-101
  10. 안병만.김인철.서진완. (1995). 6.27지방선거에 나타난 유권자의 자치정향과 투표행태. “한국정치학회보“. 29(4). 373-392
  11. 육동일. (2003). 6.13지방선거의 평가와 과제에 관한 연구. 충남대.“사회과학연구“. 14:195-224
  12. 윤용희. (1997). 대구광역시의회의원 선거공약의 실현가능성 연구. “지방자치연구“경북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창간호
  13. 윤종빈. (2004). 선거법 개정과 17대 총선. 명지대. “사회과학논총“. 22: 96-112
  14. 윤천주. (1989). “투표참여와 정치발전: 속 우리나라의 선거실태 증보판“. 서울대출판부
  15. 이준웅. (1998). 후보 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15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3(2). 243-284
  16. 이중천. (1995). 한국유권자의 인물지향적 투표행태분석 비판적 고찰. “연세대 동서연구“. 17
  17. 이현우. (1998). 6.4 지방선거와 유권자 형태: 동시선거제도에 따른 유권자의 선택 제한. “98년 연례학술회의 논문집“. 한국정치학회
  18. 조현걸.박창규. (2000) 6‧4 지방선거에서 선거공약이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미친 영향분석. “대한정치학회보“. 8(2): 209-245
  19. 조현걸.박창규. (1999). 6‧4 지방선거 입후보자의 선거와 관련한 정치의식조사: 대구경북지역의 출 마자를 중심으로. “민주화와 정치발전“ 제2집. 한국정치발전연구원
  20. 주용학.황아란. (2002). 지방선거에 있어서 정당과 민주주의: 법.제도의 개혁과제. “2002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85-698
  2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0). 유권자 의식 조사: 제16대 국회의원선거
  2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98). 유권자 의식 조사: 제15대 대통령선거
  2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96). 유권자 의식 조사: 제15대 국회의원선거
  24.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98). 유권자 의식 조사: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6.4)
  25.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95). 유권자 의식 조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6.27)
  2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0). 제16대 국회의원선거 유권자의식조사
  2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2). 6.13지방선거 유권자의식조사
  28. 최상철. (2002). 월드컵과 지방선거. “지방자치정보지“. 제135호
  29. 한상우. (2002). 6.13 지방선거의 의의와 과제. “지방자치정보지“. 135호. 지방자치연구소
  30. Dunham, R. B. (1984). Organizational Behavior: people and Process in Management, Irwin, Inc, 179
  31. Lewis-Beck, M. S. & T. Rice. (1992). Forecasting Elections(Washington D.C.: Congressional Quarterly)
  32. Nie, Norman H., Sidney Verba. & John R. Petrocik. (1979). The Changing American Voter. 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 47-73
  33. Nimmo, D. D. & R. L. Savage. (1975). Candidates and Their Images: Concepts, Methods, and Findings(C.A.: Goddyear)
  34. Patterson, Thomas. (1993). Out of Order. New York: Knopf
  35. Wattenberg, Martin P. (1994). The Decline of American Political Parties. 1952-1992.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