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chthyofauna and Community of Fish in Lake Yeongcheon

영천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Byeon, Hwa-Geun;Lee, Wan-Ok;Kim, Dong-Seop
변화근;이완옥;김동섭

  • Published : 20040000

Abstract

The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Lake Yeongcheon was investigated from August 2002 to October 2003. During the surveyed period 25 species belonging to 10 families were collected. There were 9 Korean endemic species (36%), including Coreoleuciscus splendidu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qualidus gr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Niwaella multifasciata, Pseudobagrus brevicorpus, Coreoperca herzi, Liobagrus mediadiposalis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Exotic fish were not found in the Lake Yeongcheon. 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 (St. 1, 2), Pseudorasbora parva (St. 3), Channa argus (St. 4) and Z. temmincki (St. 5, 6, 7). It was revealed by the analysis of community structure that St. 1, 2, 6 were the most diverse of all study stations. There had been no stocking of fry or fertilized eggs in this lake until recently. Channa argus, Silurus asotus and Coreoperca herzi of carnivors fish was much in Lake Yeongcheon than in Lake Andong.

2002년 8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영천호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10과 25종이었으며 이중 한반도 고유종에 속하는종은 C. splendidus, S. chankaensis tsuchigae, S. gracilis majimae, M. yaluensis, N. multifasciata, P. brevicorpus, L. mediadiposalis, C. herzi, O. platycephala 등 9종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각 조사 지점별 우점종은 Z. platypus (St. 1, 2), Pseudorasbora parva (St. 3), Z. temmincki (St. 5, 6), Channa argus (St. 4) 등이었다. St. 1, 2, 6에서 종다양도 지수가 높아 다소 안정적인 어류군집을 유지하고 있었다. 영천호는 지금까지치어방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안동호에 비해 육식성 어종인 C. argus, S. asotus, C. herzi 등이 다량 출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 36-71
  2.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 168-144
  3.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4.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5. 김익수. 1996. 댐저수지의 외래어종 분포 및 영향에 관한 연구(섬진강댐). 한국수자원공사 pp. 139-150
  6.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pp. 21-520
  7. 변화근∙전상린∙김도한. 1997. 소양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 30(4) : 325-335
  8. 손영목∙송호복∙변화근∙최재석. 1997.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9(1) : 141-152
  9. 송호복∙권오길. 1992. 댐 건설에 따른 의암호의 어∙패류상 변화. 강원대학교 논문집, 과학∙기술연구, 31 : 178-186
  10. 양홍준. 1996. 댐저수지의 외래어종 분포 및 영향에 관한 연구 (안동호, 임하호, 합천호). 한국수자원공사, pp. 102-139
  11. 이충렬∙김용호. 2002. 진양호 일대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4(3) : 173-182
  12.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pp. 14-49
  13.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14. 정 준∙양홍준. 1981. 영천인공호 예정지의 육수생물학적 연구. 경북대논문집(자연과학), 31 : 249-267
  15. 최신석. 1996. 댐저수지의 외래어종 분포 및 영향에 관한 연구(충주호). 한국수자원공사, pp. 67-91
  16. 최신석∙송호복∙황수옥. 1997. 대청호의 어류 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0(2) : 155-166
  17. 최재석∙이광열∙장영수∙고명훈∙권오길∙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2) : 95-104
  18. 최기철. 1971. 춘천호∙의암호 및 아침못의 어류동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육수학회지, 4 : 43-62
  19. 최기철∙전상린∙김익수∙손영목. 2002. 개정원색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20. 최기철∙이지영∙김태용. 1977. 금강에 건설중인 대청댐을 중심한 어류조사-목록과 분포에 관하여-한국육수학회지, 10 : 25-32
  21. 최충길. 1996. 댐저수지의 외래어종 분포 및 영향에 관한 연구(주암호). 한국수자원공사, pp. 92-101
  22. 內田惠太郞. 1939. 조선어류지.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보고, 6:1-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