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maternal mortality ratio and the causes of death in Korea during 1995-2000

1995년-2000년 한국의 모성사망비 및 모성사인의 변화

Seo, Kyung;Park, Moon-Il;Kim, Suk-Young;Park, Joong-Shin;Han, Young-Ja
서경;박문일;김석영;박중신;한영자

  • Published : 20041200

Abstract

Objective : To examine the changes of maternal mortality ratio and the causes of death in Korea during 1995-2000. Methods : Maternal mortal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wo stages: collection of registration data and maternal mortality survey at medical institutions. The cause of death was judged by agreement of three obstetrician. Results : Maternal mortality ratio decreased from 20 (per 100,000 live births) in 1995 to 18 in 1999 and 15 in 2000. The mortality ratio was higher for women 35 years and older. Postpartum hemorrhage, hypertensive disorders of pregnancy, and obstetric embolism are three main causes of maternal death which comprised about half of all maternal death. Conclusion : Maternal mortality ratio decreased during 1995-2000. All causes of maternal death decreased since 1995. However obstetric embolism appeare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cause of death in 1999-2000.

목적 : 1995-2000년 한국의 모성사망비 및 모성사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인구동태신고자료 (통계청), 주민등록자료 (행자부), 국민건강보험 자격 장제비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를 이용하여 15-49세 여성 사망자의 명부를 작성하였다. 이들 사망자 중 모성사망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이용하여 임신 및 분만과 관련하여 진료 받은 사실이 있는 여성의 명부를 분리하여 작성하였다. 의료기관에 대한 모성사망자 확인 조사는 조사 대상자가 있는 의료기관은 모두 포함하였으며, 조사 대상자가 없는 의료기관이라도 보건소 및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의료기관의 모성사망 조사표는 대상자의 특성, 임신 및 출산력, 산전관리, 분만, 사망시기 및 사인, 부검 유무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가능한 사망자의 사망진단서 및 퇴원요약지를 첨부하도록 하였다. 사인 선정은 3명의 산부인과 전문의가 협의하여 사망과 인과관계가 성립되는 가장 중요한 사인을 원사인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모성사망비는 1995년 출생아 10만명 당 20에서 1999년에는 18, 2000년에는 15로 5년 동안 25%의 감소가 있었다. 직접 산과적 사망비의 경우 1995년 출생아 10만명 당 16에서 2000년에는 13으로 감소하였으며 간접 산과적 사망비의 경우 1995년 출생아 10만명 당 4에서 2000년에는 2로 감소하였다. 모 연령별 모성사망비를 보면 20세 미만 연령에서 모성사망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35세 이후부터 모성사망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1995-1996년 모성사망의 원인 중 단일 원인으로는 분만 후 출혈이 21.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단백뇨 및 고혈압성 장애 16.3%, 산과적 색전증 15.7%로서 위 3가지 원인이 53.2%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1999-2000년의 경우 분만 후 출혈이 20.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산과적 색전증 16.5%, 단백뇨 및 고혈압성 장애 12.6%로서 3가지 원인이 49.5%로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결론 : 우리나라는 최근 5년간 모성사망비가 감소하고 있다. 이중 임신 중 고혈압성 장애로 인한 모성사망이 많이 감소하였으며 분만 후 출혈도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자궁 외 임신 및 유산으로 인한 사망의 분포가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산과적 색전증은 2000년도에 약간 감소하고 있으나 최근에 이르러 전체 모성사망 중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자궁 외 임신 및 유산으로 인한 사망의 상대적 분포가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1993.
  2. WHO, UNICEF & UNFPA. Maternal Mortality in 1995: Estimates developed by WHO, UNICEF and UNFPA. 2001.
  3. 한영자, 도세록, 박정한, 이승욱. 모성사망비 추정 및 사망원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1997.
  4. 한영자, 서경, 장영식, 김동진. 1999-2000년도 모성사망수준 및 사망원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2002.
  5.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2권 지침서. 1994.
  6. 통계청. 1999년 사망원인통계연보. 2000.
  7. 통계청. 2000년 사망원인통계연보. 2001.
  8. 곽현모, 강신명 장윤석, 김승조, 홍성봉, 이재현 등. 한국 임산부 사망에 관한 연구(1974-1980). 대한산부회지 1984; 27(5): 600-8.
  9. 우복희, 손영수. 한국 모성사망에 관한 연구(1980-1988). 대한산부회지 1994; 37(10).
  10. 이명화, 우복희, 강신명. 모성사망 25년간(1961-1985) 연구. 대한산부회지 1987; 30(12).
  11. WHO. Maternal Health Around the World. 1997.
  12. Berg CJ, Atrash HK, Moonin LM, Tucker M. Pregnancy-related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1987-1990. Obstet Gynecol 1996; 88(2): 161-7. https://doi.org/10.1016/0029-7844(96)00135-4
  13. Kaunitz AM, Hughes JM, Grimes D, Smith JC, Rochat RW, Kafrissen ME. Causes of maternal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Obstet Gynecol 1985; 65(5): 605-12.
  14. Nagaya K, Fetters MD, Ishikawa M, Kubo T, Koyanagi T, Saito Y, et al. Causes of maternam mortality in Japan. JAMA 2000; 283: 2661-7. https://doi.org/10.1001/jama.283.20.2661
  15. Clark SL, Hankins GDV, Dudley DA, Dildy GA, Porter TF. Amniotic fluid embolism: Analysis of the national registry. Am J Obstet Gynecol 1995; 172: 1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