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ccurrence and Control of Black Root Rot of Peony (Paeonia lactiflora) on Continuous Cropping

작약 검은뿌리썩음병 발생실태와 방제

  • 최성용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 박경석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신물질연구소) ;
  • 김기재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 김재철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Occurrence and soil fumigation effect on black root rot of peony was investigated. Peony was severely infected to black root rot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in continuous cropping field, but in first cropping field was less infected. To control black root rot, soil improvement, soil fumigation and the root dipping in chemicals were trialed in peony continuous cropping field. Black root rot was not decreased by soil improvement, but incidence of black root rot of peony cultivated in continuous croping field of peony was decreased by soil fumigation with Dazomet GR. and dipping of peony root in chemicals.

작약검은뿌리썩음병은 연작을 할 경우 현저히 발생이 증가하였으며, 태백작약 품종에 비해 의성작약 품종에서 좀 더 심한 발병을 보였다. 종구로 사용하는 뇌두를 약제에 침지시 병원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물에만 침지한 경우 병원균이 검출되었다. 연작지의 토양개량시 검은뿌리썩음병의 방제는 효과가 없었으나 다조메입제로 토양을 훈증소독할 경우 토양훈증처리구에서 주근중과 근장이 단순연작구와 비교하여 50% 정도 증가하였으며 검은뿌리썩음병의 발병율은 무처리구의 경우 40.6% 정도 발병되었으나 토양훈증처리구는 4.7% 정도로 발병되어 아주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종구소독과 훈증처리를 병행시 발병율은 더욱 낮아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재길. 1992. 천연물대사전. p. 503
  2. 농림부. 1999. 98특용작물 생산실적
  3. 농약공업협회. 2003. 농약사용지침서. p. 951
  4. 박소득, 김세종 김재철, 김기재, 신종희, 최부술. 1997. 작약지상부 고사가 뿌리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양용식물학회지 5(3): 206-210
  5. 박소득, 김기재, 유오종, 김세종, 김재철, 선종희. 1996. 작약의 주요 병해 발생. 한국약용식물학회지 4(3): 236-240
  6. 박소득, 김기재, 김세종, 류정기. 1998. 작약지상부고사대책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사시험연구보고서 p.390-399
  7. 성낙술, 강승원, 이성우. 2003 인삼 기술개발 성과분석 및 금후 연구추진 방향.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p.96

Cited by

  1.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Distribution in the Continuous Cropped Field with Paeonia lactiflora vol.44, pp.5, 2011, https://doi.org/10.7745/KJSSF.2011.44.5.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