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t alpine and sloped-land in Gangwondo, Korea

강원도 고랭지 배추경작지의 토양 및 수질 중 농약 오염 실태

  • Park, Dong-Sik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Han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g-Soo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Min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Song-Mun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ur, Jang-Hyun (Division of Biological Environ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박동식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 김태한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 김성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 이상민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 김성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 허장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학부)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Alpine and sloped-land in Gangwondo, Korea is the most important land type for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However, farmers in these regions have major problems with insect pests, weeds and disease. Over use or inappropriate use of agrochemicals occurs frequently. No intensive study of pesticide contamination in this area has been done. The work presented in this paper addresses this deficiency. We measured pesticide residues within soil and water samples using multiresidue analysis. Samples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April to October, 2002 at three sites with to sampling spots. At the three sites, Pyeongchang, Jeongseon and Taebaeck, pesticides most frequently detected (>30% of samples) in soil samples were endosulfan, fluazinam, diniconazole, alachlor, prothiofos and dimethomorph. The amount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soils was ranged from 0.004 to $0.412\;mg\;kg^{-1}$ in these samples. Non-registered pesticides were also detected in these samples, indicating illegal use of pesticides. No pesticide were detected in th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ose sites. The results showed that pesticide residues might be dependant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pesticides, application history and soil propertie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appropriate pesticide use on alpine and sloped-land in Korea.

강원도 고랭지의 주요 소득원 중 하나인 배추재배는 그 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는 농약으로 인한 고랭지 농업환경 오염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정 강원도 고랭지 지역인 평창, 정선 및 태백지역의 배추경작지 토양과 수질 중 시기별 잔류농약의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지역에서 2002년 4월부터 10월까지 2개월 간격으로 토양 및 수질 시료 각각 240점과 84점을 채취하여 시료 중 농약 잔류량을 다성분 동시 스크리닝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지역 및 시기별 잔류농약 조사 결과, 토양 중 농약의 잔류량은 평창 및 정선의 경우 18종의 농약이 $0.004\sim0.412\;mg\;kg^{-1}$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평창의 횡계리에서 10월에는 농약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태백의 경우에서도 검출농약의 종류가 다른 지역과 비슷하였으며, 4월, 6월 보다는 8월 및 10월에 $0.002\sim0.663\;mg\;k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평창 및 정선에서는 살충제 endosulfan이 35%의 검출빈도를 보였으며, 태백에서 높은 검출빈도를 보인 약제로는 endosulfan이 최고 100%, 살균제 dimethomorph, diniconazole이 85%, 살충제 prothiofos와 살균제 fluazinam이 30% 이상 이였다. 또한 배추 경작지 미등록 농약(diniconazole, alachlor, carbendazim, alpha-cypermethrin, carbofuran, prothiofos)들도 $0.004\sim0.412\;mg\;kg^{-1}$ 범위로 조사되어 농약 오용의 실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채취된 모든 수질 시료에서는 농약이 검출되지 않아 토양 중 농약잔류가 수계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EI-Kabbany, S., M. M. Rashed and M. A. Zayes (2000) Monitoring of the pesticide levels in some water supplies and agricultural land, in El-Haram, Giza(A.R.E.). J. Hazardous Materials. 72:11-21
  2. Hamer, T., J. L. Wideman, L. M. M. Jantunen, T. F. Bidleman and W. J. Parkhurst (1999)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Alabama soils. Environ. Poll. 106:323-332
  3. TomLin, C. D. S. (2000) The pesticide manual. The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p.1250
  4. 고령지농업시험장 (2002) 고랭지 채소재배기술. 개정판. p.561
  5. 김성문, 이석종, 허장현, 한 대성, 신현포 (1997) 고냉지 감자경작지의 잡초방제법. 문화출판사. p.68
  6. 김성문, 최해진, 김희연, 이동경, 김태한, 안문섭, 허장현 (2002) 강원도 고냉지대 배추 경작자들의 농약 사용 실태. 한국농약과학회지 6(4):250-256
  7. 농약공업협회 (2002) 농약사용 지침서. p.911
  8. 농촌진흥청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p.202
  9. 송승석 (1995) 배추좀나방의 약제 방제상 문제점과 대책. 여름배추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농약정보. 5.6월호. 농약공업협회. pp.2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