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 of the Structure of Green Space by the Change of the Floor Area Ratio in Apartment Complex

용적률 변화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내 녹지구조 변화특성

  • 김정호 (서울시 강서구청)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김정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change of green area and gre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loor Area Ratio(FAR) of apartment complex. The survey site was selected two each of apartment complex after due consider three type that is, the FAR below 100%, the FAR below 250% and the FAR over 250%. Green rate is 40.23~44.23%, green width is 3~15m, green volume is 1.06~1.71㎥/$m^2$, planting density of cannopy layer is 0.04~0.06tree/$m^2$, planting density of understory layer is 0.06~0.20tree/$m^2$ in case of Hwagok 2nd Jugong apartment(FAR 99%) and Gaepo Jugong apartment(FAR 73%) constructed in the 1970~1980. Green rate is 24.16~26.16%, green width is 3~7m, green volume is 0.84~1.54㎥/$m^2$, planting density of cannopy layer is 0.18~0.31tree/$m^2$, planting density of understory layer is 0.15~0.35tree/$m^2$ in case of Deungchon Jugong aparment(FAR 226%) and Gaehwa apartment(FAR240%) construsted in the mid-1990's. Green rate is 23.47~25.53%, green width is 2~6m, green volume is 1.06~2.12㎥/$m^2$, planting density of cannopy layer is 0.25tree/$m^2$, planting density of understory layer is 0.22~0.37tree/$m^2$ in case of Hanbo Guam apartment(FAR 269%) and Donga 3rd apartment(FAR 376%) constructed in the last-1990's. As the results of analysis of green structure according to changes of the Floor Area Ratio(FAR), the greater the FAR, the higher the rate of green area. The green volume and planted density is low without the change of the FAR and planted structure was simple-layer structure composed of alien woody species.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 용적률변화에 따른 녹지면적 및 녹지구조의 변화파악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지는 용적률 100%이하, 용적률 250%이하, 용적률 250%이상의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로 2개소씩 선정하였다. 1970~1980년에 조성한 용적률 99%인 화곡제2주공아파트와 용적률 73%인 개포주공아파트는 녹지면적 비율 40.23~44.23%, 녹지 폭 3~ 15m 녹지 량 1.06~1.71㎥/$m^2$, 교목층 식재밀도 0.04~0.06주/$m^2$ 관목층 식재밀도 0.06 ~0.20주/$m^2$이었다. 1990년대에 조성한 용적률 226%인 등촌주공아파트와 용적률 240%인 개화 아파트는 녹지면적비율 24 16~26.16%, 녹지폭3~7m, 녹지량 0.84~l.54㎥/$m^2$, 교목층 식재밀도 0.18~0.31주/$m^2$, 관목층 식재밀도0.15~0.35주/$m^2$이었다. 1990년대말에 조성한 용적률 269%인 한보구암아파트와 용적률 376%인 동아3차아파트는 녹지면적비율 23.47~25.53%, 녹지폭 2~6m, 녹지량1.06~2.12㎥/$m^2$, 교목층 식재밀도 0.25주/$m^2$, 관목층 식재밀도 0.22~0.37주/$m^2$이었다. 용적률변화에 따른 녹지구조 분석결과 녹지면적은 용적률이 높을수록 넓었으나, 녹지량과 식재밀도는 용적률의 변화와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낮은 상태이었고 식재구조는 외래종위주의 단층구조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기(1983) 사선제한하에서 달성가능한 용적비 : 용적률에 관한 연구(I).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18(1): 3-10
  2. 강병기. 최봉문(1988) 도로와 인접대지경계선에서의 사선제한을 동시에 받는 단일대지의 용적률.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23(2): 21-40
  3. 권태식, 김용수(1990) 대구시 아파트단지의 외부공간구성 및 만족도에 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8(1): 53-68
  4.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모델.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8쪽
  5. 김현수. 안태경, 변혜선(1996) Green Town 개발사업 I (연구개요 및 건축분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97쪽
  6. 서울특별시(2000) 도시계획 용어집. 310쪽
  7. 이영웅(1998) 도시지역의 용적률 기능과 도시계획적 운용방안 연구. 대한국토 . 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34(5): 51-67
  8. 이옥하(1997) 조경수목의 생육환경을 고려한 적정 식재 간격의 연구. 서울시립 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쪽
  9. 장윤배. 이성룡, 안건혁(2000) 아파트단지에서 대지의 조건이 용적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35(5): 115-123
  10. 최일홍(1999) 공동주택단지의 식재밀도 계획기준 연구.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0쪽
  11. 최장순, 최찬환(1995) 고층아파트 주거밀도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6쪽
  12. 최찬환(1997) 공동주택 단지의 환경지표 개발에 관한연구. 242쪽
  13. 渡辺達三(1989) 綠地植物および綠地植物保全 · 植物仁する硏究, 基礎的二 · 三の考察, 造園雜誌 第52券 第5號
  14. 中島(1992)植栽設計.施工,管理,濟調査會.東京610pp
  15. Rothenberger, R.(1988) Spacing of Landscape Plants, Joumal of Aboriculture, Vo1.14, No.8
  16. Xavier, M(1995) La fabrication des villes. G.E.V.R. 3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