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Profiles of Temperature by Green Area of Apartments in Gangnam, Seoul

서울 강남지역 아파트단지의 녹지면적에 따른 온도변화 모형

  • 홍석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es to variation of temperature. The inside temperature of each site was estimated by analyzing Landsat ETM+ image data. The factors on variation of temperature were landcover type, building density, and Normalis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The results of correlation between inside temperature of apartment complex and land cover type showed that the green area ratio had negative(-) correlation and impermeable pavement ratio had positive(+) correlation. Building-to-land ratio was not significant with inside temperature.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value of permeable pavement ratio added up green area ratio was higher than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value of permeable pavement ratio added up impermeable pavement ratio. Thus we may define that permeable pavement area decrease urban temperature with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 Floor area ratio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side temperature. Inside temperature was decreased as the NDVI was increased. To establish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odel in a development apartment complex,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inside temperature as dependent variable and permeable pave ratio+green area ratio, green area ratio, building-to-land ratio and NDIT as independent variables, only permeable pavement ratio added up green area ratio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accepted fur regression equation in both two seasons and adjuste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41.4 on September, 2000 and 40.4 on June,2001.

아파트단지 내부녹지가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서울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등 한강 이남지역에 위치한 아파트단지중 36개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파트단지 내부온도는 Landsat ETM+영상 2scene을 분석하여 추정하였으며 온도변화 영 향요인으로는 토양피복유형과 건물밀도, 식생활력도로 구분하였다. 토양피복유형과 아파트단지내 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녹지율은 음(-)의 상관관계를, 불투수포장율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폐율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투수포장지를 녹지면적과 불투수포장면적에 각각 합산한 값과 온도값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투수포장면적을 불투수포장면적에 합산하여 산출한 상관계수보다 녹지면적에 합산하는 것이 상관계수가 보다 높게 나타나 투수포장지역도 녹지지역과 함께 도시온도를 낮추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물밀도의 요소로 선정한 용적율은 온도값과 유의성이 없었으며 NDVl는 값이 높을수록 온도가 낮았다. 아파트단지내 온도분포모형 구축을 위해 투수+녹지율, 녹지율, 건폐율, NDVI값을 독립변수로, 대상지온도를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 두 시기 영상 모두 독립변수 중 투수+녹지율만이 회귀식에 채택되었으며 회귀식의 수정 결정 계수($R^2$)는 각각 41.4(2000년 9월)와 40.4(2001년 6월)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훈. 정성관(1999)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3): 35-45
  2. 서울특별시(2000a) 서울시 기상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기법연구. 275
  3. 서울특별시(2000b) 서울시 비오톱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림. 245쪽
  4. 오성남. 부경온(2000) 1999년 서울지역 기온의 시공간 분포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6(4): 499-506
  5. 윤용한(2000) 공원에 의한 고온성 저감효과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1): 83-90
  6. 윤용한(2001) 녹지에 의한 열섬현상의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풍속과의 관련성에 관해서-. 대한국토 ·도시계 획학회지 36(2): 187-196
  7. 이경재(1993) 환경이 보존되는 범위내의 개발과 이용.지속가능한 개발(ESSD)을 위한 학제간 대토론회. 한국환경행정학회. 삼성지구환경연구소. 141-153쪽
  8. 이용식(1990) 도시열섬 분석에 있어서 원격탐사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9쪽
  9. 이은엽(1995) 도시녹지의 온도영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2쪽
  10. 이혜선(2001)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한 녹지의 도시온도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3쪽
  11. 조명회, 이광재. 김운수(2001)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한 도시 표면온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1): 57-66
  12. NASA(2002) The Landsat-7 Science Data User' s Hand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