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xamination of the Validity of a Vertically Upward Shifting of the Landscape Control Point(LCP) for the Management of Cities Mountain Landscape

시가지내 산악경관관리를 위한 조망점의 수직상향 동의 검증

  • 정정섭 (청주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권상준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조태동 (강릉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ffective destination management strategies for three typical tourist destinations in Kangwon province based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performance levels of 21 management attributes in three destination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importance levels of the attributes. 6 attributes place in Concentrate Here, 4 attributes in Possible Overkill, 6 attributes in Keep Up Good Work, and 5 attributes in Low Priorit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level among three destinations, while performance levels are the lowest at Naksan & Kyungpo beaches, and highest at Ganhyun area. Findings of the survey expect to be used as fundamentals in management policy making process for each destinations.

본 연구는 관광지의 유인속성과 관리속성에 대한 중요도-성취도분석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관광객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보다 효율적인 강원 관광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설악산국립공원. 경포대 및 낙산해수욕장, 그리고 원주시 간현국민관광지를 목적지로 선택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입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399매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관리속성으로서 사회환경, 자원환경. 관리환경, 시설환경의 21개 속성들에 대해 방문객들이 느끼는 중요도와 현재의 질적 상태를 의미하는 성취도를 측정한 결과 전 속성에서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각 관광지별 전체 속성에 대한 중요도는 유사했으나 성취도는 경포$.$낙산 지역이 가장 낮았고 간현국민관광지의 경우는 보통 이상 수준을 보였다. 속성별로 실행격자상에 위치화한 결과 지속적인 관리노력이 필요한 속성은 6개(자연자원의 상태. 휴식 및 숙박시설의 상태, 환경오염 정도, 관리자의 친절도, 관광지 안전문제)로 나타났으며 우선 시정되어야할 속성이 4개(위생 및 편의시설의 상태. 관광지 물가수준, 교통시설 이용 편의성), 저 우선순위가 7개(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수준 관광안내시설의 상태, 관광객의 혼잡수준, 다른 관광객들의 행위, 호객행위, 특징적인 먹거리 및 살거리), 과잉노력 지양 속성이 5개(역사문화 자원, 휴양기회 제공의 다양성, 이용규제 수준. 안내시설, 지역주민의 환대성)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측정도구. 조사지역과 조사시기의 제한으로 인한 연구의 한계점에도 불구. 강원도 소재 관광지의 단위별 관리전략의 수립에 있어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1998) 도시경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 권상준(1996) 도시의 쾌적성과 도시경관계획. 호서문화 연구 14 : 67-105
  3. 김기호(1996) 게쉬탈트 이론을 적용한 도시경관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1(3) : 143- 157
  4. 문경도(1990) 고층건물의 경관영향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서울특별시 (1998) 조망가로조성사업 계획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4) 서울시 도시경관 관리방안연구 I
  7. 안양시(2001) 안양시 도시경관형성 기본계획 수립연구
  8. 안양시(2003) 안양시 도시경관형성 실시설계
  9. 양병이(2002) 도시내 조망보호를 위한 경관관리방안,환경논총 40 : 149-169
  10. 오규식(1994) 경관영향평가 기법개발의 과제. 한국조경학회지 22(1) : 228-232
  11. 오규식(1996) 도시경관의 시각적 한계수용능력(VTCC) 설정과 그 활용,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31(2) : 97-110
  12. 이용자(1993) 컴퓨터 시각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경관의 선호도 조사연구.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춘석(1998) 역사경관 보전을 위한 진주시 고도규제의 물리적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논문집, 37 : 61-69
  14. 임승빈(1998)조경이 만드는 도시 , 서울대학교출판부 295쪽
  15. 임승빈, 신지훈(1995) 경관영향평가를 위한 물리적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0) :157-166
  16. 임재현(2000) 스카이라인 경관의 유형별 이미지와 평가 요인의 계량적 분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순오, 한표환(1996) 도시경관보전을 위한 토지이용규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8(3) : 17-34
  18. 정정섭, 권상준(2004) 시가지내 산악경관의 시점높이별 조망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 게재예정
  19. 정정섭 , 권상준. 신병철 , 조태동(2003) 도시내 산악경관 조망에 있어서 시각량과 조망요소와의 관계, 생태공학적 댐호수 건설과 환경보전 국제심포지엄. 2003 한국 환경생태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PP.218-221
  20. 채병선. 서종주(1994) 시각특성을 통한 건축물 규제기준 과 경관통제점 설정에 관한 연구. 도시 및 환경연구 9 : 134-149
  21. 청주시(1997) 청주 스카이라인 보전 ·관리에 관한 연구
  22. 최윤, 조동범 (1994) 도시주변 능선녹지를 배경으로 하는 아파트 경관의 시각적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2(2) : 81-103
  23. 흥형순(1998) 도시경관 정체성을 형성하는 심상풍경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쪽
  24. 환경부(2000)경관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127- 128쪽
  25. Ashara Osamu(1982) 土木景觀計劃, 배현미 등 역 (1999)경관계획 의 기초와실체, 대우출판사
  26. Kwon Sang Zoon(1995) A Study on Visual Analysis of the Townscape Perservation by Control Line Method in Historial Cities, IFLA발표논문 95-1,171- 182. IFLA Eastem Regional Conference
  27. Kwon Sang Zoon(2003) Comparisons of the Building Skyline Control Tool to Apartment Sites and Ecological Landscape Desig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1): 9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