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oration Effects Confirmed in the Environmental Forests Created on the Bases of Ecological Principles

생태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창조된 환경림에서 확인된 복원 효과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환경ㆍ생명학부) ;
  • 이안나 (서울여자대학교 환경ㆍ생명학부)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e restoration effects in two sorts of forests created and managed on the bases of ecological principles in Sihwa industrial complex and Mt. Surak respectively were evaluated in both viewpoints of species composition and diversity. Species composition of the forests created based on the ecological design was move similar to that of the natural forests compared wit h the forest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landscape architectural method. The increased species diversity in the ecologically created forest reflected the effect as well. Black locust plantation managed by applying the ecological principle showed move similar species composition to the surrounding natural forest than the forest left without any management. Furthermore, the former forest showed higher species diversity than the latter one. The methods, which create and manage a forest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revealed several problems, such as lack of specialty of project operators and inspecting officers, construction regulations without the ecological background, absence of the endemic young trees to be introduced in diverse natural environment, etc. Preparation of guidance for ecological planting and systematic environmental education including revision of construction regulation were recommended as the measures to solve such problems.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시화공업단지 내 주식회사 진도종합건설 시화소각장 주변을 생태적으로 건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태적 설계에 바탕을 두고 복원사업을 실시하였고, 서울시 노원구의 수락산에 인공 조림된 아까시나무 임분을 복원생태학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관리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생태학적으로 창조된 숲은 조경 방법을 적용하여 조성된 숲과 비교하여 주변의 자연림과 더 유사한 종 조성을 나타내었고, 종 다양성도 높아 생태적 복원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생태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관리된 아까시나무 임분은 그러한 관리없이 방치된 것과 비교하여 인근의 자연림과 더 유사한 종 조성을 나타내었고, 종 다양성도 높아 여기서도 복원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생태적 복원은 사업시행자 및 감독자의 전문성 결여, 생태적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건축조례, 묘목의 부재 등 여러 가지 현실적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건축조례의 개선을 포함하여 해당지역의 자연환경에 토대를 둔 식재 지침 마련, 묘목의 준비 및 국민의 의식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우리 나라의 자연 환경 현황 분석 연구 김종원
  2. 한국의 전통 생활환경 보전림 산림청;임업연구원
  3. 제2차년도 보고서 서울시 산림생태계 정밀조사 서울시
  4. 경관생태학 이도원
  5. 자연보존 v.94 복원생태학의 원리를 이용한 자연보전 이창석
  6. 대구대학교 주최 2003 한국육수학회·한국환경생물학회·한국생태학회 공동 춘계 학술발표대회 초록집 Restoration planning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toward eco-city 이창석
  7. 한생태지 v.24 미래를 위한 생태학으로서 복원생태학의 발전과 전망 이창석;유영한
  8. 자연환경 복원의 기술 이창석;홍선기;조현제;오종민(역)
  9. 財團法人 國際生態學セソタ一. 構浜 環境保全林形成のための理論と實踐 國際生態學セソタ一
  10. Restoration Ecol. v.1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degraaded ecosystems in arid and semi-arid lands. Ⅰ. A review from the South Aronson,J.;C.Florest;E.Le floc'h;C.Ovalle;P.Pontainer https://doi.org/10.1111/j.1526-100X.1993.tb00004.x
  11. Terrestrial Plant Ecology Barbour,M.G.;J.H.Burk;W.D.Pitts;F.S.Gilliam;M.W.Schwartz
  12. Landscape Planning v.11 Ecological principles and land reclamation practice Bradshaw,A.D. https://doi.org/10.1016/0304-3924(84)90016-9
  13. Grundze der Vegetaionskunde Pflanzensoziologie Braun-Blanquet J.
  14. Science v.277 Hopes for the future: Restoration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Dobson,A.P.;A.D.Bradshaw;A.J.M.Baker https://doi.org/10.1126/science.277.5325.515
  15. Landscape Ecology Forman,R.T.T.;M.Godron
  16. Environmental ecology: The impacts of pollution and other stress on ecosystem structure and function. (2nd ed.) Freedman,B.
  17. Restoration and recovery of an industrial region Gunn,J.M.(ed.)
  18.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Hill,M.O.
  19. Korean J. Ecol. v.24 Creation of an environmental forest as an ecological restoration Lee,C.S.;Y.H.You
  20. Korean J. Ecol. v.24 Landscape structure in the greenbelt zone around the Seoul, the Metropolis of Korea Lee,C.S.;S.K.Hong;J.S.Moon;Y.H.You
  21. Ecological diversity and its measurement Magurran,A.E.
  22. Fundamentals of ecology Odum,E.P.
  23. The SER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SER(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