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ion of Alunite and Schwertmannite under Oxidized Condition and Its Implication for Environmental Geochemistry at Dalseong mine

산화환경하에서 명반석, 슈베르트마나이트의 형성특징과 환경지구화학적 의미: 달성광산

  • 추창오 (안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농업과학기술연구소 및 지구환경과학과) ;
  • 이진국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 ;
  • 조현구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Sulfates such as alunite and schwertmannite formed under oxidation condition play a important role in geochemical processes taken place at waste dumps and a creek from Dalseong mine, Daegu. Water chemistry shows pH decreases from upstream toward downstream creek, mainly due to formation of schwertmannite that is the most abundant phase along the creek. The removal of Al from the creek is preferentially attributed to formation of Al-bearing minerals and Al-sulphates. Among them, alunite is the most important Al-sink phase that occurs at higher pH than $pK_1$, Al hydrolysis constant. With high saturation index, alunite formed at the creek has a spherical form, commonly associated with schwertmannite. Secondary minerals formed on the surface of altered or weathered surfaces of heavy metals from the wasted dump that underwent severe oxidation, where alunite has characteristic habits which are spheric, radiating, and botrytis-like aggregates. Natroalunite occurs in association with alunite, or as mixtures of both of them. Because the pH decreases with distance due to formation of schwertmannite, although total contents of dissolved ions slowly lessen at least in the AMD, it is expected that the minerals precipitated at the creek can be exposed to subsequent dissolution, which may induce possible environmental problems.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달성광산의 폐광석과 하천수에 형성된 황산염 광물인 명반석과 슈베르트마나이트의 특징과 수질변화를 통하여 산화환경하에서의 환경지구화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산성광산배수는 하류로 갈수록 pH가 감소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슈베르트마나이트의 형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Al광물들의 침전작용에 의하여 하천수로부터 Al이 제거되는데,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Al-황산염광물인 명반석은 Al의 가수분해 상수인 $pK_1$ 이상의 높은 pH환경에서 잘 형성된다. 명반석은 SEM하에서 뚜렷한 구상의 결정체로서 슈베르트마나이트와 수반되고, 높은 포화지수를 나타낸다. 지표환경에 노출된 폐금속광석에서는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다양한 이차광물이 기존의 광물표면에 성장하거나, 피복 되어 있다. 명반석은 특징적으로 구형, 싸리버섯 같은 정벽(botrytis-like habit), 또는 방사상의 결정집합체로 나타난다. 또한, natroalunite를 수반하거나, 이 둘의 물리적 혼합체(mixture)를 형성한다. 본 산성광산배수의 유해성분들이 하천을 따라 다소 저감되기는 하나, 슈베르트마나이트가 지속적으로 형성되므로 하류로 갈수록 pH가 감소한다. 그러므로 하상침천물은 쉽게 다시 용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AMD에서 자연저감효과는 미미하며, 여전히 잠재적인 위해 요소를 가지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웅, 홍영국, 김택남 (1996) 달성광산 주변지역에서의 중금속 오염과 이의 제거방안.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9, 57-63.
  2. 김경웅 (1997) 달성광산 지역 토양의 중금속함량분석 결과의 평가. 지하수환경학회지, 4, 20-26.
  3. 서승조 (1975) 달성-자인지역 몬조나이트내 흑운모와 장석의 원소분포양상과 광화작용에 관한 지구화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p.
  4. 원종관, 김기태 (1966) 달성광산부근의 지질과 광화 작용에 대하여. 지질학회지, 2, 52-68.
  5. 이재영, 김종근, 이인호, 이진국 (1993) 경북지역 폐금속광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광산지질학회지, 26, 465-472.
  6. 이지은 (2003) 달성 폐광산 침출수 및 갱내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과 비교.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p.
  7. 이지은, 김영규, 추창오 (2003) 달성 폐광산의 침출수 및 갱내 유출수의 수리지구화학적 특성과 비교. 지질학회지, 39, 519-533.
  8. 이진국 (1993) 경상분지 백악기 화강암류의 광화작용 및 관련 폐금속광산에 대한 환경지화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p.
  9. 정명채 (1996) 달성 Cu-W광산주변 수계의 하상퇴적물과 자연수의 Cd, Cu, Pb 및 Zn 오염. 자원환경지질학, 29, 305-313.
  10. Allison, J.D., Brown, D.S., and Novo-Gradac, K.J. (1991) MINTEQA2. A Geochemical Assesment data base and test cases for environmental systems: Verse. 3.0 user’s manual. Report EPA/600/3-91/-21/Athens, GA. USEPA.
  11. Bigham and Nordstrom (2000) Iron and aluminum hydrooxysulfates from acid sulfate waters. In: Alpers, C.N. Jambor, J.L., and Nordstrom, D.K. (eds.), Reviews in Mineralogy and Geochemistry, Vol. 40, Mineral. Soc. America, 351-403.
  12. Choo, C.O. and Lee, J.K. (2002)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ontrols on the formation of schwertmannnite and goethite in the wetland at Dalseong tungsten mine, Korea. Geosciences Jour., 6, 281-287.
  13. Choo, C.O. and Lee, J.K. (2004) Formation of schwertmannnite and its importance of environmental role in decreasing pH, Dalseong tungsten mine, Korea. Env. Sci. Tech. (submitted).
  14. Dill, H.G. (2001) The geology of aluminum phosphates and sulphates of the alunite group minerals: a review. Earth-Science Rev., 53, 35-93.
  15. Kim, J. J., Kim, S. J., and Tazaki, K. (2002)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ferrihydrite and schwertmannite, and non-biogenic Al-sulfate precipitates from acid mine drainage in the Donghae mine area, Korea. Env. Geol. 42, 19-31.
  16. Kim, J.J., Kim, S.J., and Choo, C.O. (2003) Seasonal change of mineral precipitates from the coal mine drainage in the Taebaek coal field, South Korea. Geoche. Jour.37, 109-121.
  17. Nordstrom, D.K. and Ball, J.W. (1986) The geochemical behavior of aluminum in acidified surface waters. Science, 232, 54-56.
  18. Yu, J.Y. Huh, B., Choi, I.K., Cho, J.P., and Chang, H.W. (1999) Apparent solubilities of shwertmanntie and ferrihydrite in natural stream waters polluted by mine drainage. Geochim. Cosmochim. Acta 63, 3407-3416.
  19. Yu, J.Y., Park, M.S., and Kim.J. H. (2002) Solubilities of synthetic schwertmannite and ferrihydrite. Geochem. Jour., 36, 116-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