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hlorella Extract on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Yoghurt Starter

Chlorella 추출물 첨가가 Yoghurt Starter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 조은정 (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남은숙 (경원대학교 식품영양학) ;
  • 박신인 (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e effect of chlorella extract on the growth and acid production of yoghurt starter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prepare the yoghurt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The various levels of chlorella extract powder were added to skim milk medium and the medium was fermented by single or mixed culture of 4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The changes in acid production(pH, titratable acidity) and number of viable cells of the medium during fermentation in skim milk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powder have determined. When chlorella extract powder was added to skim milk medium at the levels of 0.5%, 1.0%, 2.0%, and 3.0%, the addition of 0.5% chlorella extract powder with the single culture of Str. thermophilus, Lac. casei, and Lac. bulgaricu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after 9 hours incubation. And also all single cultures of the yoghurt starter produced the higher amounts of acid with the addition of 0.5% chlorella extract powder. When chlorella extract powder was added to the medium at the levels of 0.25%, 0.5%, 1.0%, and 2.0%, the addition of lower lever(0.25∼0.5%) of chlorella extract powder with the mixed culture of the lactic acid bacteria showed more the acidity of pH and the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Among the treatments tested, the addition of 0.25% chlorella extract powder with the mixed culture of Str. thermophilus and Lac. casei produced the highest number of viable cell counts after 12 hours incubation. Therefore it was suggested to manufacture the yoghurt with the addition of 0.25% chlorella extract powder and the inoculation of mixed culture of Str. thermophilus and Lac. casei for on the stimulation of growth of the yoghurt starter.

Chlorella 추출물을 첨가한 yoghurt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chlorella 추출물의 첨가가 yoghurt starter의 산 생성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tr. themophilus, Lac. acidophilus, Lac. casei, Lac. bulgaricus를 단독 균주 및 혼합 균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균 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단독 균주의 경우 chlorella 추출물 분말의 첨가 농도(0.5%, 1.0%, 2.0%, 3.0%)를 달리 하였을 때 Str. thermophilus, Lac. casei와 Lac. bulgaricus는 chlorella 추출물 분말 0.5% 첨가 시 9시간 배양에서, 그리고 Lac. acidophilus는 1.0% 첨가 시 15시간 배양에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 Lac. casei가 0.5% 첨가 시 배양 9시간에 3.63${\times}$$10^{9}$ CFU/mL로 가장 높은 생균 수를 보였다. 또한 이들 유산균의 산 생성도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5% 첨가하였을 때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혼합균주의 경우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25%, 0.5%, 1.0%, 2.0%로 첨가하였을 때 저농도(0.25∼0.5%)의 chlorella 추출물 분말 첨가에 의해 모든 유산균 혼합 균주의 증식이 촉진되었고, pH가 크게 하락하였으며 적정산도가 크게 상승하였다. Str. thermophilus와 Lac. casei를 혼합 배양하였을 때 chlorella 추출물 분말 0.25% 첨가 시 12시간 배양 후 1.13${\times}$$10^{8}$ CFU/mL로 생균수 가 가장 높아 4.12 의 log cycle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hlorella 추출물 첨가 yoghurt 제조 시 chlorella 추출물 분말을 0.25% 첨가하여 혼합 starter로 Str. thermophilus와 Lac. casei 혼합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림 : 발효조와 유사 노지 환경에서 배양된 chlorella powder의 물리적 성질 비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0)
  2. 윤동훈 : Chlorella 세포질이 유산균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80)
  3. 김창한 : 무기물이 클로렐라 생육에 미치는 영향, 건대학술지, 28. 245-251(1984)
  4. 이유경,이흥금 ; 조류(Algae)의 산업적 이용, 생물산업, 15(2). 19-24(2002)
  5. 한재갑, 강기권, 김진국, 김상환 : 클로렐라 추출물 현황 및 전망, 식품과학과 산업, 35(2). 64-69(2002)
  6. 백승화 : Chlorella ellipsoidea 첨가 식이가 흰쥐의 혈청 지질 성분 및 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89)
  7. 박민경, 이재민, 박찬현, 인만진 : 클로렐라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2). 225-229(2002)
  8. 박민경, 인만진, 정영철 : 프락토올리고당과 클로렐라가 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1(5). 760-764(2002) https://doi.org/10.3746/jkfn.2002.31.5.760
  9. 박신인 : Chlorella growth factor 첨가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8(4). 356-364(2003)
  10. Vanderzant, C.H. and Splittstoesser, D.F. :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3rd ed., American Health Association, P.80(1992)
  11. 한만숙 : 유산균 발효유의 적정 산도 측정에 관한 연구, 동대논집, 9(1). 221-231(1979)
  12. 신용국, 이경욱, 백승천, 김수광 : 성장 촉진제에 의한 유산균의 성장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낙농학회지, 20(1). 69-74(1998)
  13. Madigan, M.T., Martinko, J.M. and Parker, J. :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0th ed., Prentice Hall, pp.504-506(2003)
  14. 이신호, 구영조, 신동화 : L. bulgaricus와 S. thermophilus의 단독 및 혼합 배양에 의한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0(2). 140-147(1988)
  15. 정은자, 방병호 : 다시마 추출물이 요구르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6(1). 66-71(2003)
  16. 임광세 : 유산균의 건강 증진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6(1). 93-103(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