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imate Change Impacts on Meteorological Drought and Flood

기후변화가 기상학적 가뭄과 홍수에 미치는 영향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김웅태 (고려대학교 부설 방재과학기술연구센) ;
  • 유철상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Recent increase of green house gases may increase the frequency of meteorological extremes. In this study, using the index and meteorological data generated by the Markov chain model under the condition of GCM predictions, the possible width of variability of flood and drought occurrences were predicted. As results, we could find that the frequency of both floods and droughts would be increased to make the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more difficult. Thus, it is recommended to include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the related policy making.

최근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한 극기상현상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연구된 여러가지 GCM 모의결과와 마코프 연쇄를 이용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문자료의 모의발생을 실시하였다. 또 적절한 지수를 이용하여 미래시점의 가뭄과 홍수 발생의 변동 가능폭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시나리오에 따라 극심한 가뭄과 홍수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상태보다 수자원의 계획과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닥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수자원 정책에는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Blake, R., Khanbilvardi, R., and Rosezweig, C. (2000) 'Climate change impacts on New York city's water supply system.', Journal of AWRA, Vol. 36, No. 2, pp. 279-292 https://doi.org/10.1111/j.1752-1688.2000.tb04267.x
  2. Budykom M.I., (1982). 'The Earth's Climate: Past and Future. International Geographics Series.' Academic Press, New York, Vol. 29, pp. 307-308
  3.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1990). 'Climate Change.' The IPCC Scientific Asses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4. Jones, K.H. (1984). 'An evaluation of the Palmer Drought Index in Southern Saskatchewan.' Scientific Services Regina, Saskatchewan, NO. CSS-R84-01
  5. Lettenmaier, D. P., and Sheer, D. P. (1991). 'Climatic Sensitivity of California Water Resource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17, No. 1, pp. 108-125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1)117:1(108)
  6.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U.S. Weather Bureau research paper, NO. 45
  7. Rind, D. (1993). 'Models see hard rain, drought if $CO_2$ doubles.' Climate Alert Newsletter, Vol. 6, No. 2, pp. 120-125
  8. Rowntree, P. (1993). 'Climate Change and extreme weather events.' Workshop on Socio-Economic Aspects of changes in Extreme Weather Events, Free University, Amsterdam. pp. 15-18
  9. Weatherld, R.T., and Marabe, S. (1975). 'The effects of changing the solar constant on the climate of a general circulation model'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 Vol. 32, pp. 2044-2059 https://doi.org/10.1175/1520-0469(1975)032<2044:TEOCTS>2.0.CO;2
  10. 강인식 (1993). '기온변화 예측.'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포지움, 기상청, pp. 3-33
  11. 김상민 (1999). 우리나라 주요 지점에 대한 가뭄지수의 산정과 비교.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류재희 (2000).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3. 안재현 (1995).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4. 오재호, 홍성길 (1995). '대기중 $CO_2$ 증가에 따른 한반도 강수량 변화.'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3호, pp. 143-157
  15. 유철상, 이동률 (2000).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일수 및 강수강도의 변화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0권, 제4-B호, pp. 535-544
  16. 이동률 (1999). 한국과 미국대륙의 가뭄에 대한 엘니뇨의 영향,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기연 98-078, pp. 10-20
  17. 정관영, 송명덕, 엄원근, 홍성길 (1997). '남한지역 연평균 면적강수량 추정.' 기상연구논문집, 기상학회, 제14권, 제4호, pp 41-46
  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수자원계획의 최적화 연구(IV) :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계획의 영향 평가.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pp. 344-347
  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5). 지구환경감시 및 기후변화 예측 기술 :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 연구. 제1단계 3차년도 단계보고서, 환경부, 과학기술처, pp. 120-122

Cited by

  1. An Analysis of Temporal Characteristic Change for Various Hydrologic Weather Parameters (II ) - On the Variability, Periodicity - vol.43, pp.5, 2010, https://doi.org/10.3741/JKWRA.2010.43.5.483
  2. Modeling Downstream Flood Damage Prediction Followed by Dam-Break of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vol.52, pp.6, 2010, https://doi.org/10.5389/KSAE.2010.52.6.063
  3. A Study on Mid-term Prediction of Hydrological Factors based on Non-scenarios on Han River vol.12, pp.6, 2012, https://doi.org/10.9798/KOSHAM.2012.12.6.325
  4. Coping with Climage Change through Coordinated Operations of the Andong & Imha Dams vol.46, pp.12,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12.1141
  5. Trend Analysis of Extreme Precipitation Using Quantile Regression vol.45, pp.8, 2012, https://doi.org/10.3741/JKWRA.2012.45.8.815
  6. Analysis of Future Hydrological Cycle consider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Hydraulic Structures in Geum River Basin vol.14, pp.5,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5.299
  7. Impact of rainfall intensity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a mountain stream under the East Asian monsoon climate vol.33, pp.1, 2018, https://doi.org/10.1080/02705060.2018.1476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