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Employee Feeding Operations of Jeonnam and Chungchong Area

전남과 충청지역 사업체 급식소의 급식관리 실태 조사 비교연구

  • 서희영 (여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정복미 (여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employee feeding operations of Jeonnam and Chungchong area.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mailed to 160 dietitians with management in employee foodservice of Jeonnam and Chungchong area.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124 dietitians with a response rate of 77.5%.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ge, work experience, concurrent position and work time of dietitia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hungchong area than those in the Jeonnam area. Times of meals and amount of meals served per day in the Chungchong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Jeonnam area. The type of menu by foodservice operation was high non-selective menu in both areas, especially non-selective menu was high in self-operated place whereas selective menu was high in contract management. Period of cycle menu was 10-15 days in Jeonnam area, but that was 7 days in Chungchong area and so cycle menu of both area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01). Most considerable factor in menu planning was preference in Jeonnam area and was cost in the Chungchong area. Food purchasing method was used mostly by automatic computerized order in the Jeonnam area whereas telephone or mail order was high in the Chungchong area.

전남지역과 충청지역에 위치한 사업체 급식소에 소속된 영양사들을 대상으로 급식소의 운영현황, 식단작성 및 구매 관리, 다량 조리 생산 및 배식 관리, 조리작업중의 위생관리, 영양사 업무 실태 등 전반적인 급식소 운영 및 관리실태를 조사하여 두 지역 급식소의 관리실태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사의 연령분포와 근무경력은 전남지역에 비해 충청 지역이 높았으며, 근무시간 역시 전남지역에 비해 충청지역에 근무하는 영양사가 더 길었고, 영양사의 겸직유무에서 전남지역에 비해 충청지역에서 영양사 고유 업무를 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1일 급식횟수는 전남지역에서는 1일 3회, 충청지역은 1일 4회 급식하는 곳이 가장 높게 나타나 두 지역 간에 유의적인(p < 0.001) 차이를 보였다. 급식인원 수는 전남지역은 급식인원이 200∼500명, 충청지역의 경우 500명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나 전남 지역에 비해 충청지역의 급식규모가 크게 나타나 두 지역 간에 유의적인(p < 0.001) 차이가 있었다. 두 지역 급식소의 순수 식 재료비는 모두 1,500∼2,000원이 가장 높게 나타나 차이가 없었으며, 급식소의 운영형태 역시 차이가 없었다. 두 지역에서의 급식운영형태에 따른 식단의 유형은 두 지역 모두 단일 식단을 많이 실시하였고, 급식운영형태별로 보면 두 지역 모두 직영일수록 단일식단이 많았으며, 위탁일수록 복수식단이 많았다. 식단주기는 전남지역은 10∼15일 주기, 충청지역은 1주일 주기가 가장 높게 나타나 전남지역 영양사들이 식단주기를 길게 작성하여 유의적인(p<0.001) 차이를 나타냈다. 두 지역 간의 급식운영형태에 따른 식단작성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두 지역 모두 비용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전남지역의 경우 직영과 위탁 모두 기호를 중시하였으며, 충청지역은 직영의 경우는 조리시설 및 기술을, 위탁의 경우는 영양을 더 고려하였다. 식품구입방법은 전남 지역은 54.5%가 전산시스템 자동발주, 충청지역은 전산자동발주보다 전화 및 메일 발주를 더 많이 이용하여 유의적인 차이 (p < 0.01)를 나타냈다. 식품구입 대상은 전남지역에서는 중간상인, 충청지역은 도매시장을 많이 이용하여 유의성(p < 0.001)이 있었다. 다량 조리 생산 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조리방법, 노동력 분배, 기구 및 설비배치 순이었으나 지역간 차이는 없었다. 배식 시 1인분의 양 결정방법은 충청지역이 전남지역에 비해 배식 시 저울을 많이 사용하여 지역간에 차이를 나타냈다(p < 0.001). 급식음식의 품질 평가 여부는 전남지역에 비해 충청지역이 품질 평가를 더 자주 하는 것으로 차이를 보였다(p < 0.001). 급식소의 급식운영 형태에 따른 식기세척 방법은 충청지역에서는 세척기를 주로 이용하였고, 특히 직영에 비해 위탁급식에서 세척기를 더 많이 이용하였고, 전람 지역에서는 위탁에 비해 직영일 경우 두 가지 방법을 더 많이 병행하였다. 영양사의 주된 업무로 전남지역에서는 영양관리, 충청지역에서는 위생관리가 높게 나타나 유의성 (p < 0.001)이 있었으며, 영양사로서 가장 힘든 사항은 두 지역 모두 예산부족 및 시설이 높았으나, 다음으로 전남지역은 인간관계, 충청지역은 과다한 업무로 두 지역 간에 유의적인(p < 0.01) 차이를 나타냈다. 직업의 만족도는 전남지역에서는 영양사라는 직업에 대체로 만족하는 반면, 충북지역에서는 대체로 불만족치 비율이 높아 지역 간에 유의성(p <0.001)이 있었고, 대학전공과목 중 꼭 필요한 과목은 두 지역 모두 경영 및 인사관리와 조리과학 및 실습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순히 전남, 충청 지역의 급식관리실태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두 지역의 급식운영형태와 급식규모면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을 제외하고 전남과 충청지역의 영양사 업무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n JY, Lee HS (2002):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plate waste generated in school foodservice in Kyungbuk area. J Korean Diet Assoc 8(3): 311-317
  2. Babcock CG (1947): Psycholog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the nutrition review. J Am Diet Assoc 23(1): 8-10
  3. Cha JA (1997): Role of dietitian of industry foodservice and development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od Industry and Nutr 2(2): 14-23
  4. Cha JA, Yang IS (1997): Analysis on job specification characteristics of dietitians in self-operated vs. contracted employee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3(2): 141-158
  5. Cho SK (1997): Menu status of Industrial Foodservice, Symposium of Korean Dietetic Association, pp.255-278
  6. Chun HJ (1993): Assessment for management of the foodservice industry in Seoul through the survey. Korean J Soc Food Sci 9(3): 247-256
  7. Chun JW (1994): Raise method of nutrition service in employee well-being of company. Symposium of Korean Dietetic Association, pp.80-90
  8. Hong WS, Jang MR (1998): The assessment of dietitian's role perfor-mance and importance. Korean J Soc Food Sci 14(1): 124-131
  9. Hagsted DM (1970): Nutrition requirement in disease. J Am Diet Assoc 56(4): 303-307
  10. Hoover LW (1970): Enhancing managerial effectiveness in dietetics. J Am Diet Assoc 56(4): 303-307
  11. Jang MR (1995): Improvement of nutrition service in industry foodser-vice. Yonsei University Doctoral Thesis
  12. Jang MR, Kwak TK (1997):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the employee feeding operations according to type of workers. J Korean Diet Assoc 3(1): 63-73
  13. Ji SH (1997): Study of meal management for employees in pusan and kyngnam areas. masters degree thesis, Pusan Women's University
  14. Kim DS, Kim KS, Yu KT, Byun JW (1997): Foodservice management. Kwangmunkak, p.316
  15. Kim BK (1988): Role and trends of dietitian for well-being of Korean peoples, Symposium of Korean Nutrition Society, pp.16-27
  16. Kim JM, Song JH (2002): An analysi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characteristic for the dietitians who perform nutrition service in the field of industry foodservice. J Korean Diet Assoc 8(1): 33-41
  17. Kim JH (1984):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 in Korean hospital, masters degree thesis, Seoul University of Korea
  18. Kim YH (1989): Comparison of dietitian role of Korean and western in industry foodservice. Symposium of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 Mun HK, Jung HJ (1997):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dietician.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3(1): 121-136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7): Enforcement regulation of food hygiene
  21. Opatz JP (1970): Economic impact of worksite health promotion, Asso-ciation for worksite health promotion human kinetics published
  22. Palacio JP (1988): Harger V, Shugart G, Theis M: West's and Wood's Introduction to Foodservice. 7th ed., Macmillian publishing Co., New York
  23.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88): Survey of actual state grasping operation in foodservice group 88(7): 28-36
  24.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1): Report of practice program reducing garbage. Kukmim Yeongyang 26(2): 53-56
  25.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2): Prospect and preparation of Korean dietitian
  26. USDHHS (1993):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Public Health Service, Worksite Nutrition, 2nd
  27. Yang IS, Lee JM, Cha JA, Yoon JS (1997): Relationship among job satisfactio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ietitians in hospital, school and industry foodservices. J Korean Diet Assoc 3(1): 9-22
  28. Yang IS, Kim HA, Lee JM, Cha JA (1997): Performance and Importance analysis of dietitian's task in employee feeding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1): 66-78
  29. Yang IS, Kim HA, Lee JM, Cha JA (1995): Developing standardized dietetic staffing indices in employee foodservice by job analysis me-thodology. J Korean Diet Assoc 1(1): 79-88
  30. Yang IS (1996): The present status and growth of Korean contracted foodservice. Kukmim Yeongyang 4: 16
  31. Yang IS (1991) : Anticipation of dietitian role by change of foodservice industry. Kukmim Yeongyang 12: 132
  32. Yu JH (1993) A study on the industry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 in Chonbuk province, Korean J Soc Food Sci 9(2): 109-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