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Herbal Plant Mixture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Laying Hens under Heat Stress

고온 스트레스 환경내 산란계에 있어 생약제의 급여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민병준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 이원백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 권오석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 손경승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 홍종욱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 조진호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 김인호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herbal plant mixture on the performance in laying hens under heat stress. One hundred ninety two 54-weeks-old ISA Brown commercial layers, were used in 56 d experimental assay. Dietary treatments included CON (control; basal diet), HPM0.05 (basal diet + 0.05% herbal plant mixture), HPM0.1 (basal diet + 0.1% herbal plant mixture), and HPM0.2 (basal diet + 0.2% herbal plant mixture). For overall period, the hens fed with HPM0.1 and HPM0.2 diets showed lower in the hen day egg production than the hens fed with CON diet(P<0.05).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egg weight was heavier in HPM 0.1 treatment than in CON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in egg shell breaking strength, egg shell thickness, Haugh unit, and yolk color unit.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yolk tended to decrease as the level of herbal plant mixture in the diet increased. Total protein of blood was higher in the hens fed with herbal plant mixture than in the hens fed with CON diet (P<0.05). Albumin concentration of blood was increased in HPM0.05 and HPM0.1 treatments compared with CON(P<0.05). Red blood cell (RBC) and white blood cell (WBC) concentrations in serum were increased in HPM0.1 and HPM0.2 treatments compared with CON treatment (P<0.05). In conclusion, dietary herbal plant mixture in laying hens under heat stress adversely affected egg production but increased total protein, albumin, RBC and WBC in blood.

본 연구의 목적은 고온 스트레스 환경내의 산란계에 있어 생약제의 급여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사양시험은 54주령 ISA Brown 갈색계 192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사료(CON; 기초사료), 기초사료에 생약제를 0.05%(HPM0.05; 기초사료 + 0.05% herbal plant mixture), 0.1%(HPM0.1; 기초사료+0.1% herbal plant mixture), 그리고 0.2% 첨가한 구(HPM0.2; 기초사료+0.2% herbal plant mixture)의 4개 처리로 구성되었다. 56일간의 총 사양시험기간 동안, 생약제를 0.1%와 0.2% 첨가한 처리구의 산란율이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시험종료시의 난중은 HPM0.1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생약제의 첨가는 난각강도, 난각두께, Haugh unit 및 난황색에 대해서는 별로히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량은 생약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 내 전체 단백질함량에 있어서는 생약제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액 내 Albumin의 함량은 생약제를 0.05%와 0.1%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P<0.05). 혈청 내 RBC와 WBC는 HPM0.1 처리구와 HPM0.2 처리구에서 대조구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고온 스트레스에 노출된 산란계에 있어 생약제의 급여는 난중의 개선과 혈액 내 전체 단백질함량, Albumin의 함량 및 혈청 내 RBC와 WBC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양교육의 실시가 아동들의 편식교정 및 기호도 변화와 영양지식 수용 등에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으나 식습관과 식생활태도 전반에 걸쳐 유의적인 변화를 가져오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는 반복적인 교육을 통하여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육이 단기간에 그치거나 지식전달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형태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0.0%)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60${\mu}$sec 1회(18.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돼지 난자의 경우 융합율은 30${\mu}$sec 1회(48.1%), 2회(45.2%)및 60${\mu}$sec 1회(48.6%)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분할율은 30${\mu}$sec 1회(78.4%)와 60${\mu}$sec 1회 (79.4%)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30${\mu}$sec 2회(53.6%)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종간 핵이식란의 체외발달에 있어서 수핵란이 소 난자의 경우 상실배와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이 22.6%로써 단위발생란 30.6%와 차이가 없었으며, 돼지 난자의 경우는 이종간 핵이식란이 5.1%로써 단위발생란 37.4%보다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산양의 체세포를 이용한 이종간 핵이식 복제수정란의 생산을 위하여 수핵란으로 소와 돼지를 사용하여 복제수정란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종간 핵이식에 있어서 수핵란, 공여세포, 융합, 활성화 및 배양조건 등 아직 초보 수준에 있으며, 앞으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면 멸종위기

Keywords

References

  1. World's Poult Sci v.49 A role for sodium bicarbonate supplements for growing broiler at high temperatures Balnave,D.;Gorman,I. https://doi.org/10.1079/WPS19930021
  2. Poult Sci v.76 Improving eggshell quality at high temperatures with dietary sodium bicarbonate Balnave,D.;Muheereza,S.K. https://doi.org/10.1093/ps/76.4.588
  3. Poult Sci v.72 Broiler water balance and thermobalance during thermo neutral and high ambient temprature exposure Belay,T.;Teeter,R.G. https://doi.org/10.3382/ps.0720116
  4. Br Poult Sci v.39 Influence of high dietary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and plasma characteristics in hens subjected to heat stress Bollengier Lee S;Mitchell,M.A.;Utomo,D.B.;Williams,P.E.;Whitehead,C.C. https://doi.org/10.1080/00071669889466
  5. Br Poult Sci v.40 Optimal dietary concentration of vitamin E for alleviating the effect of heat stress on egg production in laying hens Bollengier Lee S;Williams,P.E.;Whitehead,C.C. https://doi.org/10.1080/00071669987917
  6. Poult Sci v.65 Use of ammonium chloride and sodium bicarbonate in acute heat exposure of broilers Branton,S.L.;Reece,F.N.;Deaton,J.W. https://doi.org/10.3382/ps.0651659
  7. Poult Sci v.72 no.Suppl.1 Dietary oats produces beneficial effects on egg productiion during heat stress Brown,T.M.;Beck,M.M.;Douglas,J.H.;Scheldeler,S.E.
  8. Can J Anim Sci v.51 Nutritional and physiological implications of saponins; A review Cheeke,P.R. https://doi.org/10.4141/cjas71-082
  9. Biometrics v.11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Duncan,D.B. https://doi.org/10.2307/3001478
  10. Poult Sci v.60 Effect of ambient temperature on mineral retention and balance of the broiler chicks E.I.Husseiny O;Creger,C.R.
  11. Br Poult Sci v.40 Sodium bicarbonate and potassium bicarbonate supplements for broilers can cause poor performance at high temperatures Hayat,J.;Balnave,D.;Brake,J. https://doi.org/10.1080/00071669987539
  12. Nutrient Requirements of Swine(10th Edi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13. Poult Sci v.37 Dietary saponin, a factor which may reduce liver and serum cholesterol levels Newman,H.A.I.;Kummerow,F.A.;Scott,H.M. https://doi.org/10.3382/ps.0370042
  14. Polut Sci v.80 Effects of vitamin E and C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in vitro lymphocyte proliferation, and antioxidant status of laying hens during heat stress Puthpongsiriporn,U.;Scheideler,S.E.;Sell,J.L.;Beck,M.M. https://doi.org/10.1093/ps/80.8.1190
  15. Poult Sci v.51 Effects of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on heat prostration of broiler chickens Reece,F.N.;Deaton,J.W.;Kubena,L.F. https://doi.org/10.3382/ps.0512021
  16. Poult Sci v.30 Methods for measuring yolk index Sauter,E.A.;Stadelman,W.J.;Harns,V.;Mclaren,B.A. https://doi.org/10.3382/ps.0300629
  17. Poult Sci v.65 High chronic chronic ambient temperature stress effects on broiler acid base balance and their response to supplemental ammonium chloride, potassium chloride, and potassium carbonate Teeter,R.G.;Smith,M.O. https://doi.org/10.3382/ps.0651777
  18. Poult Sci v.64 Chronic heat stress and respiratory alkalosis: occurrence and treatment in broiler chicks Teeter,R.G.;Smith,M.O.;Owens,F.N.;Arp,S.C.;Sangiah,S.;Breazile,J.E. https://doi.org/10.3382/ps.0641060
  19. SAS User's guide(Release 6.12 edition) SAS
  20. 한국축산학회지 v.41 고온스트레스하에서 chromium picolinate 및 riboflavin 첨가가 육계생산성적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권순관;안병기;강창원
  21. 한국가금학회지 v.25 no.3 황기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의 성상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류경선;강창원;송근섭;백승운
  22. 한국가금학회지 v.26 당귀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류경선;송근섭
  23. 농업산학협동논문집 v.37 당귀와 시호의 가축 사료첨가제 이용연구 박상일;조성구
  24. 한국가금학회지 v.25 no.4 건지황 첨가각 육계의 성장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성진;박희성;유성오
  25. 한국영양사료학회지 v.21 부존자원으로서의 한약재 부산물이 육계에 대한 사료가치 평가 박재현;송영한
  26. 한국가금학회지 v.26 no.3 한약재 부산물 첨가가 육계의 성장과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성진;유성오
  27. 사료가공단기과정 생균제의 첨가가 가축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백인기
  28. 한국식품양양학회지 v.11 장내 질환의 치료와 관련된 한약재의 장내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 이갑상;김성효;김선숙;박성수;전주연;신용서
  29. 한국영양식량학회지 v.23 생약제가 면역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이인선;하영득
  30. 한국가금학회지 v.22 사료 섬유질이 고온 스트레스를 받는 수탉 성계의 수분 출납, 혈액의 산염기 평형, 체온 및 대사율에 미치는 영향 이지훈;이봉덕;이수기;유동조;현화진
  31. 한국영양학회지 v.28 한국산 야생식용식물이 당뇨유발 흰쥐의 혈당 및 간과 근육내 에너지원 조성에 미치는 영향 임숙자;김수연;이주원
  32. 건강식품 생약 지형준
  33. 본초학 한국생약학교수협의회
  34.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v.43 no.5 생약제제(Miracle$20^ \copyright$)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홍성진;남궁환;백인기
  35. 한국가금학회지 v.28 고온 스트레스하에서 한방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계의 계란품질 및 혈청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홍종욱;김인호;권오석;이상환;이제만;김용철;민병준;이원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