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h Model for Adolescents' Internet-Related Delinquencies and Related Variables

청소년의 인터넷관련비행과 관련변인간의 경로분석모델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adolescents' self-esteem, impulsiveness, departments of school, perceived communications with mothers and peer support on internet-related delinquencies. The study consisted of 555 second-year students from a vocational, academic oriented girl's high schools that were located in Busan. Data analysis was made through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by using SPSS WIN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internet-related delinquencies were committed by male students more than by female students. Second, problematic communications with mothers was most directly influenced by internet-related delinquencies of high school students of both sexes and was indirectly influenced by self-esteem and impulsiveness. Third, impulsiveness was directly influenced by internet-related delinquencie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male students, their school departments indirectly influenced internet-related delinquencies by way of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peer support, self-esteem, and impulsiveness. In female students, school departments directly influenced on internet-related delinquencies and indirectly by way of peer support, self-esteem and impulsiveness. Internet-related delinquencies by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not directly influenced by peer support and self-esteem. But peer support did have indirect effects on internet-related delinquencies by way of self-esteem and impulsiveness, and self-esteem also had indirect effects by way of impulsiveness.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주(1990).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능력지각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혜진(1993). 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석사학위논문
  3. 김선미(2000).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과 자존감 및 정서 부적응 행동간의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성일,김남희(2001).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75-89
  5. 김성중(2000). 또래집단의 영향이 청소년들의 네트워크 컴퓨터 게임 이용과 충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양숙(1995).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내외통제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희화.김경연(2000). 청소년의비행과 자아존중감간의 인과적 관계에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5), 15-24
  8. 김희화,김경연(2000). 청소년의 비행과 자아존중감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5),15-24
  9. 라민오(2000). 충동성, 인터넷 중독 경향과 청소년의 사이버 관련 비행의 관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민하영(1991). 청소년의 비행 정도와 부모-자녀간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나영(2002).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 아산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석사학위논문
  12. 박시혜(2002). 인터넷중독 청소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방희정,조아미(2002).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행동 간의 관계. 한국발달심리 학회 2002 춘계 심포지움. 77-110
  14. 서순미(2002).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집단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유형 및 자기개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서울:학지사
  16. 심응철(1992). 심리적 성장환경과 자아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양돈규(1997). 부모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우울과 배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양돈규(2000). 청소년의 감각 추구성향과 인터넷 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 간의 상관성. 청소년학연구. 7(2), 117-136
  19. 윤재희(1999).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감각추구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경님(2002). 청소년의 애착. 자아 존중감 및 충동통제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8), 191-206
  21. 이경님(2003). 청소년의 애착과 우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2(1), 1-13
  22. 이곤섭(2001). 컴퓨터 중독과 충동성,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미경(1995).충동성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은주(1998).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9(2), 115-137
  25. 이혜진(2001). 청소년 인터넷 중독과 개인, 가족, 학교 및 또래 환경변인과의 관계 연구. 카톨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해경(2002). 인터넷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중독을 예측하는 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4), 55-79
  27. 조남근, 양돈규(2001).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와 인터넷 중독 경향 및 인터넷 관련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4(1), 91-111
  28. 조해연(2001).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성격특성 변인 연구-자기효능감, 자기통제감, 공격성, 충동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최인경(2001).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Barratt, E., Patton, J., Olsson, N., & Mconaghy,N.(1997). Impulsivity in pathological gambling: the antisocial impulsivity. Addiction, 92(1):75-87. https://doi.org/10.1111/j.1360-0443.1997.tb03639.x
  31. Barnes, H. L. & Olson, D. H.(1985).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circumfiex model. Child Development, 56, 438-447 https://doi.org/10.2307/1129732
  32. Berndt, T.J.(1989). Friendshi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W. Damon(Ed). Child Development today and tomorrow. San Francisco: Jossy-Bas
  33. Edwards, W. J.(1996). A measurement of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sample: What are the implication? Adolescence, 31(12), 974-989
  34. Eysneck, H. J. & Eysneck, S. B. G.(1985). Personality and individual science approach. New York: Plenum Press.
  35. Flynn, T.M.(1984). Affective characteristics that predict preschool achievement in disadvantage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 Care, 16(34), 251-263 https://doi.org/10.1080/0300443840160308
  36. Gray, J. A.(19877). Perspectives on anxiety and impulsivity: A commentar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1, 493-509 https://doi.org/10.1016/0092-6566(87)90036-5
  37. Harter,S.(1983). Th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revision of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manual. university of Denver
  38. Logue, M.(1995). Self-control. New York: Prentice Hall
  39.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40. www.chosun.com(2003.5.22). `인터넷 동호회 여성 3명 동반자살`
  41. http://www.chosun.com/w21data/html/news
  42. http://www.chosun.com/w21data/html/news
  43. www.donga.com(2000.10.11). `청소년 5명 중 1명 꼴 음란채팅경험`
  44. http://www.donga.com/fbin/searchview
  45. www.kukminilbo.co.kr(2000. 12. 28). `원조교제 16세가 가장 많아`
  46. http://search.kmib.co.kr/ gisa-search.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