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af Spot of Kudzu (Pueraria lobata) Caused by Alternaria tenuissima

Alternaria tenuissima에 의한 칡 점무늬병

  • 김자문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이정숙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 ;
  • 송완엽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 ;
  • 이숙경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 ;
  • 김형무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 ;
  • 서병수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In July of 2002, leaf spot disease was found on kudzu (Pueraria lobata) leaves in Jeonbuk province. A small leaf spot was appeared on leaves as a typical symptom and the spot was then surrounded by chlorotic halo. The lesions were expended and coalesced and the infected leaves became yellow leaf and later fall out. A causal fungal pathogen was isolated and the colony of the pathogen was light gray green to dark green on PDA. The pathogen produced mostly the single conidium but rarely long chain of 3 to 8 conidia. The conidia were dark brown in color, long ellipsoid or oval and 20-60 ${\times}$ 10-25 ${\mu}{\textrm}{m}$ in size. Their septa were 4-8 transverse and 1-2 longitudinal or oblique. The pathogen was, therefore, identified as Alternaria tenuissima based on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leaf spot of kudzu caused by A. tenuissima in Korea.

2002년 7월 전북지방에 야생하는 칡의 잎에 점무늬병이 발병하였다. 잎에 처음에는 작은 점무늬증상이 나타나고. 이 점무늬 주변에 황색의 halo가 형성되는 것이 전형적인 특징이었다. 병반들이 점차 확대되어 융합되어 잎 전체가 황색으로 변색되며 결국 낙엽이 된다. 병원균이 분리되었으며 본 병원균의 균사집락은 PDA 배지에서 밝은 회녹색에서 암갈색이었다. 분생포자는 대부분 단생이며 드물게 3-8개 포자가 연쇄상으로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암갈색이며 긴 난형 또는 곤봉형이고 크기는 20-60${\times}$10-25 $\mu\textrm{m}$이었다. 격막은 4-8개의 횡격막과 1-2개의 종격막을 형성하였다. 칡의 잎에 발생한 병징과 본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Alternaria tenuissima에 의한 칡 점무늬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Farris, J. and Reilly, C. C. 2000. The biological control of kudzu (Pueraria lobata). Proceeding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Washington, D.C. 116: AB2
  2. Honda,Y., Ranhaman, M. Z., Islam, S. Z. and Muroguchi, N. 2001. Leaf spot disease of broad bean caused by Alternaria tenuissima in Japan. Plant Dis. 5: 95
  3. 김병수. 1992. 칡을 침해하는 역병균 Phytophthora sp.의 동정과 칡의 생물학적 방제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자유공모과제 연구보고서
  4. 김희석. 1997. 칡의 방제현황과 칡 역병균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의 실용성. 경북대 농업개발대학원 석사논문
  5. 김태정. 1996. 한국의 자원식물 II. 서울대학교 출판부
  6. 권진혁, 박창석. 2002. Alternaria tenuissima에 의한 잠두 점무늬병. 식물병연구 8(2): 117-119 https://doi.org/10.5423/RPD.2002.8.2.117
  7. Rahman, M. Z., Honda, Y., Islam, S. Z., Muroguchi, N. and Asase, S. 2002. Leaf spot disease of broad bean (Vicia faba L.) caused by Alternaria tenuissima A new disease in Japan. J. Gen. Plant Pathol. 68: 31-37 https://doi.org/10.1007/PL00013049
  8. 산림청. 1990-1997. '90-97년도 산림시책
  9. 신현동. 1997. 유용 자원식물의 진균성 신병해(IV). 한국식물병리학회지 13(5): 276-278
  10. 유승헌. 2001. Korean species of Alternaria and Stemphylium. 농업과학기술원 pp. 1212
  11. Zidack, N. K. and Backman, L. P. 1996. Biological control of kudzu (Pueraria lobata) with the plant pathogen Pseudomonas syringae pv. phaseolicola. Weed Science 44: 645-649

Cited by

  1. Halo Blight of Kudzu Vine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phaseolicola in Korea vol.22, pp.2, 2006, https://doi.org/10.5423/PPJ.2006.22.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