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of Grain Quality and Grain Filling Rapidity Milyang 23 / Gihobyeo Recombinant Inbred Lines

벼 밀양 23호$\times$기호벼의 재조합 자식계통에서 초기급속등숙과 미질 특성

  • 곽태순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여준환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basic informations regarding the varietal variations fo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fatty acid content, grain quality values and color properties such as lightness value, chroma and hue for the 164 recombinant inbred lines(RILs) of Milyang 23 and Gihobyeo(M/G) at the experimental farm in the Sangji Universit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heritability study were conducted for this experiments. The rapidity of grain filling(RCF) for the 164 M/G RIL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such as slow maturing group less than 41%, mid-slow maturing group 41∼60%, fast maturing group 61∼80% and very fast maturing group more than 81% based on the rapidity of grain filling rate. The slow maturing group of RGF showed a little bit higher protein content 9.1%, compared to the other RGF groups. However, the amylose content of all the RGF groups revealed the same content by the groups. The very fast maturing group of RGF showed longer grain length in brown rice compared to other RGF varietal groups, in case of grain width in brown rice showed shorter than any other groups. The alkali digestive value which was so much related to gelatinization temperature showed 3.40 degree at fast maturing group of RGF in M/G RILs. However, the very fast maturing group of RGF revealed 4.31 degree of alkali digestive valu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chemical and color properties such as quality value,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alkali digestive value, fatty acid content, lightness value, chroma and hue for M/G RIL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able to explained upto 36% to total informations. It was corresponded to quality value, protein content, amylose content, fatty acid content, lightness value and a-value(green -1 red). The characters regarding grain quality showed high heritable properties more than 75% of heritability, but color characters appeared relatively lower heritability compared to grain quality.

벼 M/G RIL 162 계통에 대한 초기급속등숙율에 대한 이화학적특성 및 색차색도특성 변이에 대한 주성분분석 및 유전력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급속등숙율이 41% 이하인 계통군은 164계통중 74계통이었으며, 41∼60%의 계통군에는 32계통이 있었다. 또한, 초기급속등숙율이 빠른 계통군에 속하는 61∼80%사이에는 24계통이 있었으며, 초기급속등숙율이 매우 빠른 계통군으로 분류되는 81% 이상인 계통은 32계통이 있었다. 2. 벼 M/G RIL 164계통에 대한 품종군별 이화학적특성을 보면, 초기급속등숙을이 40% 이하인 계통군이 단백질 함량이 9.1%로 가장 높았으며, 지방산함량은 초기급속등숙율이 61∼80%의 계통군에서 26.5KOHmg/100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곡립형태에 있어서 현미길이는 41∼60%사이의 초기급속등숙율을 보인 계통군이 5.40mm로 가장 짧았으며, 81% 이상인 계통군이 1.80mm로 현미두께가 가장 두꺼웠으며, 현미의 형태를 나타내는 현미 길이/넓이 비에 있어서는 41∼60%사이의 계통군이 2.18로 나타났다. 3. 호화온도와 깊은 관련이 있는 알카리붕괴도에 있어서는 초기급속등숙율이 61∼80%사이가 3.40으로 가장 붕괴가 되지않는 계통군으로 나봤으며, 81%이상인 계통군은 4.31로서 붕괴가 가장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나 81%의 계통군이 호화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화학적특성, 색차색도특성 및 알카리붕괴도를 이용한 벼M/G RIL 164 계통에 대한 주성분분석의 결과 제 1주성분은 약 3.6개의 형질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제 2주성분은 약 2.1개의 형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제 1주성분은 전체 변동에 대한 기여율은 약 36%이었으며, 제 4주성분까지의 전체 변동에 대한 누적 기여율은 86.4%로서 설명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5. 벼 M/G RIL 164 계통의 품질평가치, 단백질함량, 아밀로오스함량, 지방산함량, 명도, a-value, b-value, 채도, 색상 및 알카리붕괴도 등의 형질에 대한 유전력 검정의 결과, 품질평가치의 유전력은 87.89%로 가장 높은 유전력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함량 > 알카리붕괴도 > 지방산함량 > 아밀로오스함량 > 색상 > 명도 > a-value > b-value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채도의 유전력은 30.62%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동삼.1995. 벼의 생리와 생태, 停年退任記念., 향문사 335-350
  2. 조수연, 전병태, 최해춘. 1986. 실용품종에 도입되고 있는 유용형질 벼의 유전과 육종. 서울대 출판부. 259-312
  3. Eggum, B. O. 1979. The nutritional value of rice in comparison with other cereals. ChemicalAspects of Rice Grain Quality. IRRl. pp. 91-114
  4. Jennings, P. R., W. R. Cobbman, and G. E. Kauffman. 1979. Rice improvement. IRRl. pp. 113-118
  5. Juliano, B. O. 1985. Criteria and tests for rice grain qualities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Chemists, U.S.A. p749
  6. Juliano, B. O. 1979. The chemical basis of rice grain quality. Chemical Aspects of Rice Grain Quality, IRRl. pp. 69-90
  7. Juliano, B. O., M. B. Nazareno, and N. B. Ramos. 1969. Properties of waxy and isogenic nonwaxy rices differing in starch gelatinization temperature. J. Agr.Food Chem. 17 : 1364-1369 https://doi.org/10.1021/jf60166a062
  8. Kang,H. J., Y. G. Cho, Y. T. Lee, M. Y.Eun, J. U. Shim,and S. Y. Lee. 1999a. Identification of QTL associated with yield and its components based on molecula rmap in rice.Korean J. Breed.31(1) : 40-47
  9. Kang, H. J., Y. G. Cho, Y. T. Lee, M. Y. Eun, J. U. Shim, and H. S. Kim. 1999b. Detection of putative QTL conferring grain size and shape in rice.Korean J. Breed 31(4) : 330-335.
  10. 곽태순. 2002. 몇 가지 벼품종에 대한 주요 작물학적 특성의 유전분석 국제 농업개발학회지 14(4) : 284-289
  11. 곽태순. 2003. 국제미작연구소에서 Germplasm Utilization and Value Added(GUVA) 주요 벼 계통의 수량관련 형질의 유전분석. 국제농업개발학회지 15(1) : 24-30
  12. 김광호,오세만. 1992. 쌀 알칼리붕괴반응의 品種間 變異와 湖化溫 度 및 水分吸收率과의 關係. 한국작물학회지 37(1) : 28-36
  13. 김광호, 채제천, 임무상, 조수연, 박래경. 1988. 쌀品質의 硏究現況, 間題點 및 方向. 한국작물학회지 33(別號) : 1-17
  14. 이병영, 김영배, Matuskura Ushio, Chikubu Shinjiro. 1989. 통일형과 일반형 쌀의 형태적 특성연구. 한국작물학회지 34(4) : 384-389.
  15. 이희자, 이현주, 변시형, 김형수. 1988. 현미와 백미의 지질함량 및 중성지질의 조성에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0(4) : 585-593
  16. 허문희 , 서학수. 1975. 수도 단백질 계통육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VI, 미립내 단백직과 Amylose 함량의 재배시기 및 년차에 따른 변이. 한국작물학회지 20 : 142-147
  17. Pi, J. S., Y. S. Kwon,K. M. Kim, Y. S. Cha,M. Y. Eun,and J. K. Sohn. 2001. Analysis of QTLs associated with seeding vigor in rice (Oryza sativa L.). Korean J. Breed 33(3) : 186-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