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il Deterioration and Managerial Strategy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 A Case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실태와 관리방향 :남덕유산-소사고개 구간을 대상으로

  • 권태호 (대구대학교 생명환경학부) ;
  • 이준우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 ;
  • 김동욱 (대구대학교 대학원 자연자원학과)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y are raising the necessity to prepare the conservational management strategy for the trail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where deterio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along the trail as the rapid increase of visitors to the Baekdudaegan.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ed after the Kwon and Lee(2003), is to research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on the Baekdudaegan. To accomplish the purpose, not only trail condition such as altitude, entire width, bare width, maximum depth and slope of trail, but also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surveyed at the total 182 points for 32.3km in length. Furthermore, impact rating class, which could be effective means to check the step and extent of deterioration process, was judged on each points of trail. Results informs us that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is not reached the level of grave concern yet, but some points and sections of trail are in urgent need of the integrated and organized maintenance. And some managerial strategies of trail were proposed in connection with the maintenance for trail on the Baekdudaegan ridge.

최근 산행인구의 급증과 함께 주변 자연환경의 훼손이 심화되고 있는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에 대한 보전적 측면에서의 관리전략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지리산 만복대에서 복성이재까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권태호와 이준우, 2003)의 후속 연구로서 남덕유산에서 소사고개까지의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지형조건을 고려하여 7개구간으로 구분된 총 32.3km, 182개 측점에서 등산로 상태를 조사한 바 평균노폭 100cm, 평균나지폭 67cm, 평균침식깊이 13cm, 평균물매 23%로 나타났다. 훼손유형별 발생빈도는 암석노출(48%), 뿌리노출(41%), 종침식(19%)등의 순이었고, 건전한 지점의 출현빈도는 33%로 그리 높지 않았다. 또한 훼손발생지점의 등산로 상태는 건전한 지점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등산로 주변으로 확산되는 훼손의 진행단계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환경피해도는 3등급이 2.1m, 4등급 0.4m, 5등급 0.4m, 6등급 0.1m로 환경피해도 등급이 높을수록 훼손폭이 좁았다. 4등급 이상의 폭은 0.9m이었고, 삼봉산∼소사고개 구간이 가장 넓었다. 이 지역의 마루금 등산로의 훼손상태는 우려 할 만한 수준은 아니나 일부 지점들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비 복구가 필요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관리 방향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호(1999) 우리나라 주요 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실태와 복구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과학기술연구 5(5): 403-416
  2. 권태호(2004) 숲탐방 활동에 의한 숲길 훼손실태 및 정비 방안. 생명의숲. 산림청 주최 2004년 자연친화적 숲탐 방문화 정착을 위한 심포지엄,23-53쪽
  3. 권태호, 오구균(2001) 국립공원 탐방로 훼손. 세굴유형 분석과 복원대책에 관한 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용역 보고서, 161쪽
  4. 권태호, 오구균, 권순덕(1991)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주변환경 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5(1): 91-103
  5. 권태호, 이준우(2003)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및 주변환경의 훼손실태 :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65-474
  6. 권태호, 최송현, 유기준(2004) 백두대간 관리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II): 준산악형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1): 62-74
  7. 녹색연합(2001)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실태조사 및 관리 방안. 산림조합중앙회 용역 보고서, 177쪽
  8. 산림청,한국환경생태학회(2003) 백두대간의 관리범위 설정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연구, 252쪽
  9. 조선일보사(2002) 실전 백두대간 종주산행, 180쪽
  10. Cole, D.N.(1983) Assessing and monitoring backcoun-try trail conditions.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303, 10pp
  11. Frissell, S.S.(1978)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erness campsite. Journal of Forestry 76: 481-483
  12. Wenger, K.F.(ed.)(1984) Forestry Handbook(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33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