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ye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of Chrysanthemum Boreale for Cotton and Silk Fabrics

국화지 면직물과 견직물에 대한 염색성, 항균성, 소취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ye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of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extracted solution from Chrysanthemum bore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ptimum conditions of dyeing temperature and time for the cotton fabrics were 90$^{\circ}C$ and 60minutes, while those of the silk fabrics were 60$^{\circ}C$ and 30 minutes respectively. 2. The K/S values of cotton fabric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ilk fabrics. The K/S values of both fabrics were slightly increased by mordanting with Cr but were decreased by mordanting with Cu and Fe 3. The colors of the cotton and silk fabrics changed from GY to Y. In both cases, the values of the fabric colors were lowered, and the values of the colors continued to be lowered with Cu and Fe. The chroma and color difference of both fabrics were high and were further increased by mordanting with Cu. 4. The fastness to dry-cleaning and rubbing of the cotton and silk fabrics was very good. The fastness to washing of both fabrics was good except when mordanted with Fe. The fastness to perspiration of both fabrics was fairly good, but the fastness to acid perspiration was poorer than that to the alkaline perspiration. The fastness to light of both fabrics was very poor. 5. The cotton and silk fabrics showed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Both fabrics mordanted with Cu showed perfect antibacterial activity. 6. The deodorization of the silk fabrics was very good, and that of the silk fabrics mordanted with Cu and Al was excellent, while the deodorization of the cotton fabrics was fairly good.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숙, 송화순, 유효선, 이정숙, 정혜원(2001). 염색의 이해. 교문사, 178
  2. 김병희, 송화순(2000). 꽃을 이용한 천연 염색(II)-국화의 염색성 및 향균. 소취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2(3), 43-48
  3. 김병희, 송화순(2000). 삼백초의 염색성 및 향균성, 대한가정학회지, 38(3), 1-9
  4. 김병희, 송화순(2001). 관중의 염색성 및 향균성. 한국의류학회지, 25(1), 3-12
  5. 김병희, 송화순(2001). 매염제 농도에 따른 계피의 염색성 및 향균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3(2), 162-167
  6. 김종운(1984). 국화와 야국의 효능에 관한 비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태정(1996). 한국자원식물. 서울대학교 출판부, 255
  8. 남성우(1999). 고부가가치 천연염색 관련 제품. 산업자원부, 86
  9. 남창우, 손성군(2001). 가공기술 및 가공제의 최근 개발 동향, 섬유기술과 산업(특집 21, 21C 염색기술전망). 한국섬유공학회, 205-224
  10. 박숙경(1997). 치자를 이용한 천연염색의 염색 견뢰도와 향균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11. 박영희, 남윤자, 김동헌(2000). 쑥 추출액을 이용한 염색 직물의 향균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67-76
  12. 배정숙, 김성숙 (2000). 괴화추출물에 의한 견섬유의 염색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2(3), 25-33
  13. 변성원, 임대영(2003). 6T 접목 차별화 섬유소재. 섬유기술과 산업, 7(1), 3, 1-17
  14. 서명희, 신윤숙(2000). 면섬유에 대한 홍차색소의 염색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2(3), 34-42
  15. 신윤숙, 최 희(1999), 녹차색소의 특성과 염색성 (제1보) -녹차색소의 성분과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23(1), 140-146
  16. 오화자(2002). 치자의 염색성, 향균성, 소취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1)
  17. 용광중, 김인희, 남성우(1995). 황벽 추출물에의한 면 염색물의 향균성, 소취성. 염색가공학회지, 11(1), 9-15
  18. 우지형(1985). 섬유제품의 향균 방취 가공과 그 효력 검사 (1). 직물검사, 15
  19. 유혜자, 이혜자, 임재희(1998). 밤의 외피에서 추출한 염료를 이용한 직물염색. 한국의류학회지. 22(4)
  20. 육창수(1990). 원색 한국 약용식물도감. 아카데미 서적, 536
  21. 이현숙(1998). 정향 추출물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성 및 향균. 소취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집
  22. 장상문, 최 정, 김정원, 박병윤, 박선동(1996). 한약지원식물학, 478-479
  23. 장준곤(1999). 산야초 동의보감 아카데미부계, 48
  24. 정근영(1996). 한국생약학회지, 27, 15
  25. 조경래(1995). 염색이론과 실험. 형설출판사. 447
  26. 주영주, 소황옥(1996). 울금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3), 429-437
  27. 차옥선, ralthgus(1999). 천연염료의 매염의 따른 염색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 -소목과 꼭두서니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3(6), 768-7999
  28. 최석철, 조경래(1997). 피복위생학. 형설출판사, 251-268, 341
  29. 최순화, 조용석(2001). 은행나무 수피 추출물에 의한 천연섬유염색(1).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3(6), 1-9
  30. 최영희, 권오경, 문제기(2003). 느릅나무껍질 추출액에 의한 섬유의 염색성 및 항균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5(3), 14-19
  31. 한국 산업 표준 심의회(1993. KS.KS.K0700)
  32. 한명희(2000). 자초 추출물에 의한 견섬유의 염색성 및 향균 소취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2(5), 29-35
  33. 한명희 (2000). 코치닐 추출물에 의한 견섬유 염색.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2(2), 51-59
  34. T/N(2003). Azo 염료의 섬유사용금지. TIN. 3, 17, 5
  35. T/N(2002). 천연 향균 사용증대. TIN. 12, 4
  36. Cabaud P.G. and Wooblewski F. (1958). Colorimetric Measurement of LDH Activity of body Fluids. Am. J. Clin, 30, 234-236
  37. Karmen A. J. Wr blenwski F. and La Due J. S. (1955). Transaminse Activity in Human blood. J. Clin. Invest, 34,126-131 https://doi.org/10.1172/JCI103055
  38. KITECH (2001). Study on the European Environmental Requriement and Eco label certification on Textile Products. KITECH's Final Report to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39. 近蘇一夫(1979 ). 染色の 科學, 建線社. 55
  40. 緊田. 永井(1961). 植物雜誌, 30,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