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 Use of Water Resources Through Conjunctive Use - (II) Application

지표수-지하수를 연계한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 - (II) 적용

  • 김수민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현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수자원부) ;
  • 이상일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 김병찬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Conjunctive use of surface and ground water has drawn much attention as a promising means to solve water shortage problems. Characterized by its maximum utilization of region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njunctive us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coming era.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ology for conjunctive use developed in the companion paper (this issue). The method consists of the entire process of conjunctive use, including site assess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enario development based on drought analysis, and evaluation of benefits obtained. Sokcho City was chosen as the study area, and the application of derived operation scenarios for surface and subsurface reservoirs revealed that water of 4.9∼7.4 million cubic meters a year can be attainable additionally. The developed methodology enables one to devise management schemes and to quantify their effectiveness, which makes the method useful for water resources planners as well as practitioners.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에 관한 연구가 최근 국내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다. 지역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동시에 친환경적인 지표수와 지하수 연계이용은 통합적인 수자원 관리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논문에서 개발된 방법론 즉,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이 시행되어야 할 지역의 선정, 가뭄분석을 통한 물 공급 시나리오 도출, 연계이용 결과 얻어지는 추가 수자원확보량 산정까지 전과정의 현장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적지분석을 통해 속초시가 대상지역으로 선정되었고, 도출된 운영 시나리오를 적용한 결과, 가뭄빈도에 따라 약 490만∼740만 ㎥/year의 수자원이 추가적으로 확보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개발된 방법론은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의 방안과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물 관리 계획수립시 유용한 판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1),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 p. 17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1988), 지표수 및 지하수 연계사업 기본조사
  3.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1), 지하수조사연보
  4.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2), 지하댐 개발방안 수립조사 보고서
  5. 기상청 홈페이지 (2004), http://kma.go.kr/index.html
  6. 김수민 (2003), 지표수-지하수 연계이용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pp. 49-63
  7. 노재경(1999), '가지야마 월유출량 공식의 일반화,'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21-226
  8. 박창근, 신유창, 박재현 (2002), '지하댐에 의한 추가 수자원 확보 가능량 평가.' 한국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703-709
  9. 속초시 (1998), 속초시 쌍천취수원 개발에 따른 수리 지질연구 용역 보고서
  10. 속초시 (2001), 속초통계연보
  11. 속초시 홈페이지 (2004), http://sokcho.gangwon.kr/section/water/main.html
  12. 이상일, 김병찬, 김수민 (2004), '지표수-지하수를 연계한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 - (I) 방법론,' 한국수자원학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0호, pp.789-798 https://doi.org/10.3741/JKWRA.2004.37.10.789
  13. 이재응, 위희상, 유동훈, 박창근 (2000), '지표수와 지하수의 최적 연계운영,'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495-500
  14. 임형준 (2003), 지하댐이 있는 유역의 지하수 흐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pp. 64-79
  15. 홍영하 (1983), '저수지 유효저수용량 결정에 있어서 가지야마의 월유출고공식 사용의 문제점 제기,'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16권, 제1호, pp. 30-35
  16. Emch, P.G., and Yeh, W.G. (1998). 'Management Model for Conjunctive Use of Coastal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4, No.2, pp. 129-139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8)124:3(129)
  17. Fredericks, J.W., Labadie, J.W., and Altenhofen, J.M (1998). 'Decision Support System for Conjunctive Stream-Aquifer Management.'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24, No.2, pp. 69-78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8)124:2(69)
  18. Muhammad, S.E., and Richard, C.P. (1995). 'Maximizing Conjunctive Use of Surface and Ground Water under Surface Water Quality Constraint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18, No.2, pp. 67-75 https://doi.org/10.1016/0309-1708(95)00004-3
  19. Saaty, T. L. (1999). 'The Seven Pillar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Kobe, Japan
  20. Walton, G., and Tomas, F. (1996). Visual MODFLOW User's Guide, Waterloo Hydrogeologic

Cited by

  1.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GOI with Snowmelt Effect in Ssangchun Watershed vol.39, pp.2, 2006, https://doi.org/10.3741/JKWRA.2006.39.2.121
  2. Understanding of Surface Water-Groundwater Connectivity in an Alluvial Plain using Statistical Methods vol.22, pp.2, 2012, https://doi.org/10.9720/kseg.2012.22.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