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of Mentally Retarded Persons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이 정신지체장애인의 자기주장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박민희 (동신대학교 산업용가속기이용생물연구센터) ;
  • 차영주 (동신대학교 산업용가속기이용생물연구센터) ;
  • 유영원 (전라남도장애인종합복지관) ;
  • 부희옥 (동신대학교 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터) ;
  • 이숙영 (동신대학교 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터)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hased horticultural therapy(HT) program on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 therapy and the development of job and social integration in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In this study,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participated in HT program were chosen in disabled person's welfare institute of Jeonnam. HT program was performed twice a week with 1 hour activity for 4 months. As a results,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participated in HT program showed high interest of horticulture and improvement of self-respect and the high satisfactory degree of HT program. Therefore,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were showed the experience of both physical and mental therapy, improvement of self-esteem scale and sociality in HT program. Also, the application of HT program with continuously interest will be showed high improvement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entimental. In the course of this HT program progress, horticultural therapist and social welfare officer were showed the limitation of role. Therefore the leaders of group for successful HT program be required the comprehensive plan of more efficient HT program and induced technique of continuously up-phased improvements in HT program progress.

본 연구는 원예 치료프로그램 종결 이후에 정신지체 장애인이 자조모임을 구성하는 것에 있으며, 의도적인 집단원예 활동을 통해 개인의 심리적 치료를 경험하게 하고, 사회부적응문제를 치료하여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생활태도를 가지도록 지원하며 자조모임을 형성하여 직업개발과 사회통합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기 간은 2003년 1월 4일부터 2003년 5월 27일까지였으며 모집기간 중에 선발된 정신지체장애인 10명 중 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프로그램은 정신지체장애인의 사랑과 나눔의 재활공동체인 자조모임형성을 목표로 설계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으로서, 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접촉, 시행단계의 원예활동(2단계)과 자조모임을 위한 원예활동(1단계)을 적절히 배치하였으며 , 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원예에 대한 기초 조사표, 원예에 대한 기초적인 흥미 진단표, 자아존중간척도(Self-Esteem Scale), 원예치료평가표, 클라이언트 만족도, 자체 설문지를 치료 전, 후로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원예에 대한 기초조사표 평가결과 원예에 대해 꽃가꾸기를 좋아하고, 원예 활동 중 마음이 평 화롭고 편안하다고 대답하였다. 선호하는 색깔은 파란색, 분홍, 노란, 흰색이었고 선호하는 꽃은 장미, 국화, 진달래, 백합 순으로 답하였으며, 채소는 무, 상추와 시금치, 배추 순이었고 과일은 배, 사과, 감과 밀감 순으로 조사되었다. 원예에 대한 기초적인 흥미 진단표 평가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해 본적이 있거나 해 보고 싶다고 답을 했다 특히 정원수, 자생식물, 허브, 화단, 정원 가꾸기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 보아 원예활동이 주는 정신적 안정을 느끼고, 기능의 재활이나 회복, 취미 생활로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사전사후검사로 실시 한 자아존중감(Self-Esteem Scale)평가결과는 대상자 6명 모두에서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 된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원예활동을 하면서 스스로 심고 가꾸는 것을 통해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느끼게 되고, 실시한 성과물을 집에 가지고 가게 함으로써 정신지체장애인의 자아 존중 감에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된다 사후검사로 실시한 클라이언트 만족도 척도의 평가한 결과 대부분이 정신지체장애인이 본 프로그램에 상당한 만족 도를 보였다. 원예 치료평가표 결과는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 운동지각능력에서 모두에서 증가를 보였고 그 중 참가성 ,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 4개의 측정항목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효과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원예 치료 실시 후의 자체설문지 평가결과 원예 활동을 통해서 달라진 점은 개인적으로 가족, 이웃 간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원예프로그램이 인상깊었다고 하였으며 다음진행에 추가적으로 야외에서 진행할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표출되었다. 이것을 통해 개인적 치료경험과 가족, 이웃 간의 지지망 형성이 중요하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과 야외 활동을 조화롭게 적용한다면 성공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도움을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정신지체장애인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원예에 대한 관심이 높고 자아존중 감이 향상되었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원예치료에 대한 참가성, 흥미성, 지속성, 대인관계성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여 치료프로그램의 개입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 볼 때 의도적인 원예치료활동을 통해서 심신의 치료를 경험하$\infty$I 자존감이 향상되며 회원 상호관계를 통한 사회부적응문제를 치료하여 사회성이 향상될 것이라는 목표에 대한 높은 달성정도를 볼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이고 흥미를 유발하는 원예치 료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심리적, 신체적, 정서적 치료효과가 높은 향상을 보이고 자신감과 성취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의 한계점은 원예치료사와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주도성의 일부를 성원들에게 이전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이다. 집단내 성원을 리더로 세우고 권한부여를 통한 독립적인 자조모임을 이끌 수 있도록 하여 사회복지사는 조력자로, 원예치료사는 프로그램 진행 자로서 역할을 축소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리더를 세우기 위한 시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는 참여자의 대부분이 선천적장애인이었고 선천적장애인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대부분이 적극성과 주도성에 제한되었음을 고려하지 못하고 기간 내에 목적을 수행 하고자 했던 것이 부정 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것을 알 수 있다. 성공적인 자조모임의 모형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원예치료프로그램 자체의 효과성과 동시에 집단지도자는 장기적이고 세밀한 개입을 계획하여 점진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기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Allen, S. 1975. Horticulture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Ager. Education. 47:287
  2. Bayley, M. 1973. Mental handicap and community care. Routledge and Kegan paul. London
  3. Boyatzis, D.J and R. VahsesDelisa, J. A. and B. M. Gans. 1998. Rehabilitation medicine. Lippincott-Raven publishers 3rd edition. P. 1165-1240 1994. Children's emotional associations with colors. J.Genet Paychol. 155(1): 77-85
  4. Fizibbons, L. and R.F. Simons. 1992. Affective respnse to color-slide stimuli in-subjects with physical anhedonia: a three-systems analysis. Psychophysiology 29(6): 613-620 https://doi.org/10.1111/j.1469-8986.1992.tb02036.x
  5. Jones, B. and W.F. Branden. 1978. Harvest of hope: Gardening for the handicapped. Extension review. 49(1): 10-11
  6. Jordan. M.B. 1969. Orchid growing as therapy in rehabilitation. American orchid society bulletin. 33: 753-754
  7. Livesay, J.R. and T. Porter.1994 EMG and cardiovascular response to emotionally provocative photographs and text. Percept Mot skills 79:579-594 https://doi.org/10.2466/pms.1994.79.1.579
  8. Matsuo. E. 1991. Hort-therapy 1. Green joho 12(5): 50-51
  9. Mayer, J.D., M. DiPaolo. and P. Salovey. 1990. Perceiving affective content in ambiguous visual stimuli: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J. Pers. Assess54(3-4):772-781 https://doi.org/10.1080/00223891.1990.9674037
  10. Naemura A., Tsuda K, and Suzuki N. 1993. Effects of loud noise on nasal skin temperature. Lancet 64(1): 51-54김홍영. 1998. 정신지체아에 대한 원예치료의 적용. 한국원예과학기줄지. 16(3) 414
  11. Relf, P. D. 1981. The use of horticultur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124:
  12. Relf, D. 1991. The role of horticulture in human wellbeing and social development: A national symposium.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13. Relf, D. 1992. The role of horticulture in human wellbeing and social development : A national symposium. D. Relf (eds). Timber press, Inc., Portland, Oregon, p.1-254
  14. Shairo B. A. and M. J. Kaplan. 1998. Mental illness and horticulture therapy practice: Horticultural as therapy. The Food Products Press. New York
  15. Ulrich, R. S. and F. S. Robert. 1986. Recovery from stress during exposure to everybody outdoor environments. pp. 112-115. In: Wineman. J. R. Barnes and C. Zimiring (eds). The costs of not knowing. Proceeding 17th Annual Conference of the Environment Design Research Association. EARA. Washington D.C
  16. Vera R. and C. S. Martha. 1998. Documentation. Program Evaluation, and Assessment: Now York
  17. 고언희. 2000. 원예치료가 정신 및 지체장애인의 재활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나무영, 김현주, 하영란, 이선실, 고언희, 손기철. 1999. 뇌손상 환자에 있어서의 원예치료.예비연구-,p.149-155. 원예치료의 적용과 실제. 한국원예치료연구회. 도서출판 서원, 서울
  19. 박석근, 정경진, 1997. 한국민속채소의 효능과 이용
  20. 송지현. 1997.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장매희, 김보경, 이종석. 1997. 허브(Herb) 식물의 수경 재배시 질소의 형태와 농도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韓國화훼연구회지. 2: 37-44
  22. 최영애. 2000. 아동을 위한 원예치료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홍성아. 1998. 치료레크레이션이 뇌졸중 노인의 심리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