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Labor Workers at the Cement Manufacturing Company

시멘트 사업장 생산직 남자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HPB) of the labor workers at the cement manufacturing company based on the Health Promotion Model by Pender(1996).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180 blue workers at the 2 cement factories under the permission of data collection and cooperation with managers in the factorie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PC + 10.0 version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s for the HPB, consisted of 6 subdimensions was 2.74. The highest mean score was 2.88 in 'Exercise' and the lowest on was 2.58 'Responsibility of health'. 2. The score of the HPB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p<.00l), perceived health status(p<.00l) and satisfaction of working environment(p<.05). 3. HPB was positively related to age(p<.05), perceived health status(p<.00l), job satisfaction(p<.05), and satisfaction of working environment(p<.05), while i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level(p<.01).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ing HPB wer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education level explained 20.3% of variance. From this research findings, we need to different approach in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 of Cement manufacturing company workers and focusing on improvement to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working environ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우, 남철현. 산업근로자의 건강증진 및 행위에 관한 관련요인분석.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7;14(2):17-42
  2. 김수근, 사업장 건강증진 사업의 현황과 대안에 대한 논평. 건강보장연구 1999;3: 95-99
  3. 김양목. 서둘러야 할 근로자 건강증진사업. 산업보건 2000;4: 2 -4
  4. 김영란. 산업장 생산직 근로자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9
  5. 김윤신, 정문희, 이숙희, 유인영. 근로자의 작업중 신체적활동량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999;13(2): 131-142
  6. 김현숙. 1개 제조업체 근로자의 건강실태와 의무실 이용 실태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87
  7. 남철현. 보건교육과 건강증진. 계축문화사, 1998
  8. 노동부. http://www.molab.go.kr/
  9. 박명숙. 영동지역 시멘트 제조회사 근로자들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0. 박영주 등. 건강증진 설명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2000;30(4):836-846
  11. 박인숙.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12. 박정숙, 박경민.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중년기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콜레스테롤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02;14(2):194-204
  13. 박종, 김혜향, 김신월. 일부 미용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2004; 21(2 ):117- 131
  14. 박현숙, 이가언. 일부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지역 사회간호학회지 1999;10(2):347-361
  15. 법제처. http://www.moleg.go.kr/산업안전 보건법
  16. 서문자, 박영임, 유재순, 김인자. 건강증진과 건강교육. 수문사,2000
  17. 송연이, 장정희.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999;8(2):115-129
  18. 오윤정.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산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9;10(2):307-319
  19. 윤순녕, 김정희.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분석.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999; 8(2):130-140
  20. 윤진.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21. 이광옥. 산업간호 사업활성화를 위한 산업간호 인력의 실태와 업무현황에 대한 조사. 대한간호협회 단행본, 1987
  22. 이미영, 최미혜, 정연강, 허은희. 중년기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계연구.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1999;10(1):140-153
  23. 이태화.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24. 이선혜.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일개 대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중앙의학 1996;61(12):981-994
  25. 전경자. 산업장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26. 전정자, 김영희.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6;8 (1):41-54
  27. 정인숙. 교사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도와 관련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2):179-196
  28. 정해관 등. 시멘트분진에 폭로된 지역주민의 건강 장애에 대한 조사. 한국역학회지 1992;14(1):59-69
  29. 조정민, 김분한. 산업체 근무 생산직 근로자의 건강에 대한 개념분석. 2000;30(2)272-281
  30. 조천희. 우리 나라 기반시설의 현황과 발전방향-충청북도-5. 충북지역 건설업 및 시멘트 회사 현황과 발전방향. 대한토목학회지 1990; 38(4):66-68
  31. 최재욱. 사업장 건강증진사업의 현황과 대안. 건강 보장연구 1999;3:65-93
  32. 한국양회공업협회 . http://www.cement.or.kr/
  33. Alexy B. Workplace health promotion and the blue collar worker. AAOHN J, 1990;38(1): 12-16
  34. Bagwell MM, Bush HA.. Improving Health Promotion For Blue-Collar Workers.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0;14(4):65-71 https://doi.org/10.1097/00001786-200007000-00010
  35. Healy ML. Management strategies for an aging work force. AAOHN J, 2001;49(11): 523-529
  36. Klitzman S, Stellman JM. The impa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ffice workers. Soc Sci Med. 1989;29(6):733-742 https://doi.org/10.1016/0277-9536(89)90153-6
  37. Lusk, S. L. et al. Health-Promoting Lifestyles of Blue Collar, Skilled Trade, and Whitecollar Workers. Nursing Research 1995; 44(1):20-24
  38. Pender N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ew York, Appleton Century-Crofts. 1982
  39. Pender, N. J., Walker, S. N., Sechrist, K R., & Stromborg, M. F.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workplace. Nursing Research 1990;39(6):326-331
  40. Settersten L, Lauver DR. Critical think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articipation in health behaviors. Nurs Res. 2004;53(1): 11-18 https://doi.org/10.1097/00006199-200401000-00002
  41.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https://doi.org/10.1097/00006199-198603000-00004
  42. Weitzel, M. H. A test of the Health promotion model with Blue collar workers. Nursing Research 1989;38(2):99-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