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lection of Building Registration Method to Construct the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Cadastral Map

3차원정보지적도 모형 구축을 위한 건물등록 방법 선정

  •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오이균 (신흥대학 지적부동산정보과) ;
  • 유영걸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 천기선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Recently, in a field of cadastre, a computerization of cadastral map is in progress with great growth of GSIS field. Also, the needs fer the integration of land and building information are widely increasing for integral-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of various land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revision of cadastral laws to replace the existing 2D-Cadastre with the 3D-Cadastre, a legal basis to register the position of buildings and facilities is prepared in the governmental or civil fields. This paper presented 3D-Cadastre theory that has been studied on Europe and surveyed building position directly with Totalstation at cadastral control point after choosing pilot test area, Also, the most efficient surveying method of registering building in a cadastral map is presented with comparing and analyzing building position after surveying digital orthophoto and digital map. And it is constructed a 3D information cadastral map model that can make the integral management of land, building, connecting land recorders, building management ledgers, building titles, building pictures, and related attribute information.

최근 지형공간정보 분야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지적 분야에서도 지적도면 전산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토지관련 정보의 통합관리 및 활용을 위하여 토지정보 및 건물정보의 통합에 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3차원지적제도 구축에 있어 기본이 되는 건물의 지적도 등록 시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수많은 건물을 일일이 지상측량방법을 통하여 지적도에 등록하는 것은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3차원지적제도의 이론을 고찰하고 실험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지적기준점에서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건물위치를 직접 측량하였고, 수치지형도와 수치정사영상을 제작하여 건물위치를 측량한 후 건물좌표들을 비교 분석하여 지적도에 건물등록 시 가장 효율적인 측량 방법을 제시하고 지적도에 건물을 등록한 후 등록된 건물에 기존 토지지번과는 별도로 새로운 건물번호를 식별자로 부여하여 지적도를 제작하였고, 건축물관리대장과 건물등기부 및 관련 속성정보와 건물사진 등을 연계하여 토지와 건물관리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3차원정보지적도 모델을 구축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석 (2003), 지적불부합지의 정리를 위한 실험측량 분석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1권 제3호, pp. 269-275
  2. 국립지리원 (1998), 지형 . 지적정보의 연계 활용 연구, pp. 100-104
  3. 대한지적공사 (2002), 3차원 지적측량 구현방안, pp. 12
  4. 양인태, 오이균 (2001), 건축물등록을 위한 3D-Cadastre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17권 제2호, PP. 53-65
  5. Billen, R. and Zlatanova, S. (2001), 3D spatial relationship model: a useful concept for 3D cadastre?, International Workshop on 3D cadastre, Delft, pp. 223-241
  6. Elayachi, M. and Semlali, E.H. (2001), Digital cadastral map : A multipurpose too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atial Inform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Nairobi, pp. 1-8
  7. Stoter, J.E. and P.J.M, van Oosterom (2001), Cadastral Registration of Rea) Estate Objects in 3D, URISA Journal, pp. 4-5
  8. Stoter, J.E, and H.D. Ploeger (2002), Multiple use of space: Current practice of registration and development of a 3D cadastre, In proceedings UDMS 2002, Prague, Tsjech Republic, pp. 1-16
  9. Stoter, J.E. and M.A. Salzmann (2002), Toward a 3D Cadastre, FIG XXII International Congress, Washington, D.C. USA, pp.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