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ing Using Storage Function Method

저류함수기법을 이용한 격자기반의 강우-유출 모형 개발

  • 신철균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 조효섭 (일신하이텍 기술연구소) ;
  • 정관수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재한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According to the report of hydrologic modeling study, from a quantitative point of view, a lumped model is more efficient than a distributed model. A distributed model has to simplify geospatial characteristics for the shake of restricted application on computer calculation and field observation. In this reason, a distributed model can not help having some errors of water quantity modelling. However, considering a distribution of rainfall-runoff reflected spatial characteristics, a distributed model is more efficient to simulate a flow of surface w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odeling of spatial rainfall-runoff of surface water using grid based distributed model, which is consisted of storage function model and essential basin-channel parameters( slope, flow direction & accumulation), and that procedure is able to be executed at a personal computer. The prototype of this model is developed in Heongseong Multipunose Dam basin and adapted in Hapchon Multipurpose Dam basin, which is larger than the former about five times. The efficiency coefficients in result of two dam basin simulations are more than about 0.9, but ones at the upstream water level gauge station meet with bad result owing to overestimated rating curves in high water leve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asily implemented that spatially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GIS, and geo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tchment, hereafter it is anticipated that this model is easily able to apply rainfall data by real time.

수문학적 모델에 대한 연구보고에 의하면 유출량 모의 측면에서 집중형 모형은 분포형 모형보다 적용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 분포형모형은 컴퓨터 계산환경 및 현장 실험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지형인자를 단순화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양적인 오차를 가진다. 하지만 공간적 지형인자를 고려한다는 측면에서 분포형모형은 지표수 흐름을 분석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흐름의 특성을 결정짓는 최소한의 지형인자(흐름경사, 방향, 누적도)를 고려한 저류함수를 이용하여, 격자기반의 공간적 강우-유출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러한 작업의 과정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이루어진다 모형의 원형은 비교적 작은 유역인 횡성다목적댐을 대상으로 개발하여, 유역면적이 비교적 넓은 합천댐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댐지짐에 대한 유역유출 모의결과 Nash J.E. 와 Sutcliffe J.V.가 제안한 효율계수는 약 0.9를 상회하였으나, 유역내 상류 수위관측소에 대한 효율계수는 양호하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이유는 대상댐 유역에 대하여 산정된 수위-유량 곡선식의 고수위부분이 과추정 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유역의 공간적으로 분포된 유역특성을 고려한 강우-유출모형은 GIS를 이용하여 손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 향후 강우레이더와 같이 공간적으로 분포된 강우량의 실시간 취득이 범용화되면, 본 연구의 분포형 모형을 직접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준 (2001). '분포형 수문.수질 모델링의 최근 동향과 활용방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4권, 제6 호, pp. 33-45
  2. 범진온 (1985). 산업기지개발공사, 다목적댐 홍수유출 해석연구, pp. 96-100
  3. 선우중호, 건설교통부 (1985). 충주다목적댐 건설에 따른 홍수예경보 프로그램 개선 보고서
  4. 신사철 (1996).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의한 유출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29권, 제6호, pp. 131-139
  5. 조홍제, 조인률 (1998). '분포형 유출모형을 이용한 홍수 유출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1권, 제2호, pp. 199-208
  6. 최우회, Brian E. Skahill, 김민환 (2003). '기상레이더와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 유역모 형의 개발과 검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6권, 제2호,pp. 285-300
  7. 한국수자원공사 (2003). KOWACO 홍수분석모형 개발 (Final Report)
  8. Burrough P. A. (1986).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Land Resources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50
  9. 木村俊晃 (1958). '洪水流出の推定法に關する硏究(I) - 貯留關數に關する一 考察 -.' 土木硏究所報告, 102號, pp. 9-16

Cited by

  1. A Study on the Runoff Parameter Estimation in the Distributed Model vol.16, pp.3,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3.55
  2. Spatial Extension of Runoff Data in the Applications of a Lumped Concept Model vol.46, pp.9,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9.921
  3. Coupling Simulation with Multi-dimensional Models for River Flow vol.33, pp.1,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1.137
  4. Development of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for Flood Forecasting on the Large-Scale Basin vol.44, pp.1, 2011, https://doi.org/10.3741/JKWRA.2011.44.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