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reshwater Ichthyofauna of Deogyusan National Park, Enclosing Baekdudaegan

백두대간에 포함되는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 수계의 어류상에 관하여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A study of freshwater ichthyofauna was conducted in order to clarify its significance at 14 upstream sites in Muju, Jangsu, Geochang and Hamyang districts in Deogyusan National Park, enclosing Baekdudaegan. The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Park was measured at the 14 sampling locations from May 2003 to September 2003. The fifteen species gauged included four Korean endemic species and or subspecies (Squalidus japonicus coreanus, Iksookimia longicorpa, Coreoperca herzi, Odontobutis platycephala). Fourteen species were found in the Keum River and seven species in the Nakdong River. However, common species were Punchocypris, Rhynchocypris oxycephalus, Zacco temmincki, Misgurnus anguillicaudatus, Coreoperca herzi, and Odontobutis pzatycephala. The dominant species of these regions were Zacco temmincki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Past studies conducted in Baekdudaegan mostly concernedflora and vegetation. In the future, new study concepts for stream corridors involving both animal and plant should be introduced.

백두대간 중 덕유산 중심의 무주군과 장수군, 거창군과 함양군 일원에서 발원하는 낙동강 및 금강 수계의 상류에 서식하는 어류상을 조사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2003년 5월부터 9월까지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14개 지소에서 담수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한국고유종 및 아종인 몰개, 왕종개, 꺽지, 동사리를 포함한 5과 15종의 담수어류를 확인하였다. 금강수계에서는 14종이, 낙동강 수계에서는 7종이 분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어종은 돌고기, 버들치, 갈겨니, 미꾸리, 꺽지 그리고 동사리로서 6종이었다. 이들 중 우세종은 갈겨니와 버들치였다. 기존의 백두대간에 관한 연구는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향후 동ㆍ식물이 하천통로에 공존하는 새로운 개념의 해석을 제시코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國立公園管理公圑(1994) 韓國の國立公園, 國立公園管理公圑, pp. 70-75.
  2. 국토연구원(2000) 백두대간의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 (1차연도) -국토 연구원, 1-63쪽
  3. 권태호(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조사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산림청, 1-305쪽
  4. 권태호(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산림청, 1-279쪽
  5. 김익수, 박종영(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1-465쪽
  6. 김익수(1988) 한국담수산 골표상목과 극기상목 어류의 분류. 전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생물학분과 생물학 연구연감8: 83-173
  7. 김익수(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 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1-629쪽
  8. 김익수(1999)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무주.거창.덕유산 일대의 담수어류). 환경부
  9. 심재환(2002) 태백산 일대 계류의 어류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 401-407
  10. 안홍규(2003) 생태공학. 정문각, 1-398쪽
  11. 이승휘(1994)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에서 확인된 몇 종의 담수어 척추골수에 관하여. 응용생태연구 7(2): 192-206
  12. 정재욱(2002) 자연형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 국립장재연구소 용역보고서 행정자치부, 1-146쪽
  13.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1990) 원색 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1-277쪽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역(2002) 하천수변 국세조사 매뉴얼[하천판](생물조사편). 건설교통부, 9-101쪽
  15. 한국동물분류학회(1997) 한국동물명집. 아카데미서적, 1-489쪽
  16. McNaughton, S. J.(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168-169
  17. Nakabo T.(2002) Fishes of Japan I Tokai University Press, 1-866pp
  18. Nakabo T.(2002) Fishes of Japan II Tokai University Press, 868-1633pp
  19. Nelson, J. S.(1994)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1-523 pp
  20. Pielou E. C.(1966) Shannon' 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disuse. Amer. Nay. 100: 463-465
  21. US Dapartment of Commerce(1998) Stream Corridor Restoration-Principles, Processes, and, Practices, Federal Interagency Stream Restoration Working Group,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Springfield, VA, USA. 1-1 - A-30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