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the Preference to Luminous Colors by Trichromatic LED Module

3원색 LED 광원 모듈을 이용한 광색 선호도 조사

  • Published : 2004.05.01

Abstract

Recently the examples of a lighting design with LED source have increased rapidly,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that are related to selecting luminous colors by LED. The research is that respondents operated color blender and got preference colors according to what they made, the colors were measured by chroma meter and marking CIE 1931 chromaticity diagram.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s made group preference for luminous colors. From now on, not only does it seem capable of using a designing a building-lighting to which LED but it will be actively applied to controlling with a digital technology for lighting design.

최근 LED 광원에 의한 컬러조명 연출사례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LED에 의한 광색 선택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3원색 LED를 사용한 광색 생성기를 제작하여 복수의 응답자로 하여금 스스로 조각하여 선호하는 컬러를 만들게 하고 이를 디지털 색채색차계로 측정하여 CIE1964색도도표에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일정한 광색 선호도 그룹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향후 LED를 사용하는 조명설계 뿐 만 아니라 디지털로 제어되는 컬러 조명연출 설계시 적용되어 활발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S. Nakamura, M. Senou and T. Mukai : 'P-CaN/N-InCaN/N-CaN Double Heterostructure Blue-Light-Emitting Diodes',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32-1A/B, pp.L8-L11 (1993) https://doi.org/10.1143/JJAP.32.L8
  2. 中村修ニ:'靑色發光ダイオ-ド. ダづルへテ口構造で 1cd實現'. 日経工レクトロニクス. 602. pp.93-102(1994)
  3. 여인선 외12, '고휘도 LED를 이용한 조명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연구기획 사업보고서, pp.1-2, 2000.8.31
  4. 이정욱, 한달영, 김훈, 'LED를 이용한 가변색 광원의 개발',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91-98, 1999.11.6
  5. 박준석, 깅광헌,여인선, 'LED조명 광원의 광학적 배치 및 광색 제어에 관한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지제15권2호, pp.7-12,2001년3월
  6. 정강화, 이제는 색이다!-색이 만드는 미래, 도서출판 국제, 2002, pp.212-220
  7. 이진우, 색공간의 정의,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제17권2호, pp.50-54

Cited by

  1. Digital Light Color Control System of LED Lamp using Inverse Tri-Stimulus Algorithm vol.25, pp.1, 2011, https://doi.org/10.5207/JIEIE.2011.25.1.001
  2. The Analysis of Fatigueness and Preference for Three Appearance Attributes of LED Light Color vol.25, pp.1, 2011, https://doi.org/10.5207/JIEIE.2011.25.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