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Beef Peptide 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HR)

우육 단백질에서 추출된 펩타이드가 자연발증 고혈압쥐의 혈압과 혈중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4.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ptide 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concentration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HR). This peptide was extracted from beef muscle hydrolysates and identified as hexapeptide, V-L-A-Q-Y-K. This peptide showe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c(ACE) inhibition activity in vitro experimentation$(IC_50: I38.34{\mu}\ell$/ml). Diets containing 0.2g. 0.5g. and 1.0g of the peptide per kg body weight were fed to SHR every day for 8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ed on a diet and lml of drinking water instead of the pept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of the treatment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diet feeding group. The significant suppress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was shown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eptide supplement. especially by 3 weeks of feeding. although it started fluctuating la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ptide may beneficially affect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by the 3-week administration.

본 연구는 우둔 단백질에서 분리한 헥사펩타이드, VLAQYK의 자연발증 고혈압쥐의 혈압, 중성 지질, 그리고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헥사 펩타이드는 in vitro에서 138.34${\mu}\ell$/ml의 $IC_{50}$ 값을 보였던 것으로 농축하여 체중 kg당 각각 0.2g, 0.5g, 1.0g의 농도가 되도록 스테인레스 존데를 이용하여 경구투여한 후 혈압의 변화와 지질 수준을 살펴보았다. 실험기간동안 사료의 섭취량의 변화는 대체로 대조구와 처리구 사이에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8주차에 이르러서는 대조군보다 세 처리구 모두 사료의 섭취량이 22 ${\sim}$ 24%로 감소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랫트의 체중의 변화는 비교적 저속적으로 증가하였지만 사료섭취에 대한 체중의 증가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여 경구 투여한 펩타이드에 대한 체중 증가는 없었다. 체내 중요 기관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간, 염통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신장과 비장, 고환의 중량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신장의 중량은 0.2g과 0.5g의 헥사펩타이드 처리군에서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며(P < 0.001), 비장은 대조군보다 오히려 중량이 증가 하였고(P < 0.05), 고환도 대조군보다 처리에 따라 중량의 증가를 보였다(P < 0.05). 헥사펩타이드를 체중 kg당 10.g의 농도로 투여한 군은 3주가 되자 대조군의 혈압보다 - 55.9mmHg로 저하되어 가장 강한 혈압 저하율을 보였으나(P < 0.05) 그 이루호는 6주째에 체중 kg당 0.2g의 농도로 투여한 구가 가장 높은 혈압 저하율을 보였다(P < 0.05). 실험 종료 후의 혈액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0.2g, 0.5g, 1.0g의 헥사펩타이드의 모든 처리군에서 각각 대조군보다 25.4%, 23.5%, 23.7% 수준으로 더 낮은 농도를 보였다(P <0.001). 성인병 발병의 원인인 중성지질의 함량도 처리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113.3 ${\pm}$ 1.5mg 이었던 중성지방이, 0.5g/kg B.W의 헥사펩타이드 급여군에서는 93.6 ${\pm}$ 2.5mg의 수준으로 . 감소함을 보였다. 하지만 1.0g/kg B.W.의 헥사펩타이드의 급여군에서는 중성지질의 함량이 108.3 ${\pm}$ 1.5mg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보다 모든 처리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군 사이에서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LDL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바다 처리량에 따라 유의적으로(P <0.001) 감소하여 대조군에서 61.3 ${\pm}$ 1.7 이었던 것이 1.0gcjflrns에서는 36.4 ${\pm}$ 1.4mg의 함량으로 큰폭으로 감소하였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in vitro 상에서 ACE 억제 효과가 있었던 헥사펩타이드는 in vivo 상에서 농도 의존적인 혈압저하 효과를 보이지 못했지만 실험 개시후 3주에 가장 높은 혈압저하 수준을 보였고, 성인병의 발병지표로서 사용되는 LDL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40.6%감소시켰다.

Keywords

References

  1. Astawan, M., Wahyuni, M., Yasuhara, T., Yamada, K., Tadokoro, T. and Maekawa, A. 1995. Effects of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substances derived from indonesian dried-salted fish on blood pressure of rats. Biosci, Biotech. Biochem., 59(3):425-429.
  2. Bailey, P. D. 1990. An introduction to Peptide Chemistry. John Wiley & Sons Ltd., Bafins Lane, England. p1.
  3. Cheung, H. S., Wang, F. L., Ondetti, M. A, Sabo, E. F. and Cushman, D. W. 1980. Binding of peptide substrates and inhibitor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55:401-407.
  4. Friedwald, W. T., Levy, R. I. and Fredrickson, D. S. 1972. Estimation of plasma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concentration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499.
  5. Goldberg, I. 1994. Fuctional foods;Desighner foods, phannafoods, nutraceuticals. Chapman & Hall.Inc, pp. 249-256.
  6. Hata Y., Yamamoto, M., Ohni, M., Nakajima, K., Nakamura, Y. and Takano, T. 1996. A placebocontrolled study of the effect of sour milk on blood pressure in hypertensive subjects. Am. J. Clin. Nutr. 64:767-771.
  7. lwami, K. Sakakibara, K. and Ibuki, F. 1986. Involvement of post-digestion hysrophobic peptides in plasma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dietary plant proteins. Agri. Biol. Chem., 50:1217.
  8. Katayama, K., Fuehu, H, Sugiyama, M., Kawahara, S., Yamauch, K., Kawamuura, Y. and Mugururna, M. 2003. Peptic hydrolysates of porcine crude myosin has many active fractions inhibiting angiotensin 10converting enzyme. Vol. 16, No. 9:1384-1389.
  9. Kawasaki, T., Seki, E., Osajima, K., Yoshida, M., Asada, K., Matsui T. and Osajima, Y. 2000. Anti-hypertensive effect of Valyl-Tyrosine, A short chain peptide derived from sardine muscle hydrolysates, on mild hypertensive subjects. J. Human Hypertens. 14:519-523.
  10. Kim. H. S., Ham, J. S., Jeong, S. G., Yoo, Y. M., Chae, H. S., Ahn, C. N. and Lee J. M. 2003. Production of angiotensin-l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hydrolysates from egg albumen. Asian-Aus. J. Anim. Sci. Vol. 16, No. 9:1369-1373.
  11. Korhonen, H., Pihlanto-Leppala, A, Rantamaki, P. and Tupasela, T. 1998. Impact of processing on bioactive proteins and peptides. Trends Food Sci. Technol. 9:307-319.
  12. Martin, D. S., Breitkopf, N. P., Eyster, K M. and Williams, J. L. 2001. Dietary soy exerts an antihypertensive effect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female rats. Am. J. Physiol. Regulatory Integrative Comp Physiol. 281:R553-R556 https://doi.org/10.1152/ajpregu.2001.281.2.R553
  13. Mattson F. H. and Grundy S. M. 1985. Comparison of effects of dietary saturated, monounsaturate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ids and lipoproteins in man. J. Lipid Res 26:194-202.
  14. Nakamura, Y., Yamamoto, N., Sakai, K., Okubo, A., Yamazaki, S. and Takano, T. 1995.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giotensin l-converting enzyme inhibitors from sour milk. J. Dairy Sci. 78:777-783.
  15. Rudel, L. L. and Morris, M. D. 1973.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using o-phthalaldehyde, J. Lipid. 364-366.
  16. SAS. 1999-2000.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7. Schaefer E. J., Levy R. I., Ernst N. D., Van Sant V. and Brewer H. H. 1981. The effects of low cholesterol, high polyunsaturated fat and low fat diets o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in normal and hypercholesterolemic subjects. Am. J. Clin. Nutr. 34:1758-1763.
  18. Schanbacher, F. L., Talhouk, R. S., Murray, F. A., Ghennan, L. I. and Willett, L. B. 1998. Milk-borne bioactive peptides. Int. Dairy. Journal 8.393-403.
  19. Schlirnme, E. and Meisel, H. 1995. Bioactive peptides derived from milk proteins. Structural, physiological and analytical aspects. Die Nahrung 39:1-20.
  20. Sugano, M., Goto, S., Yamada, Y, Yoshoda, K., Hashimoto, Y., Matsuo, T. and Kimoto, M. 1999. Cholesterol lowering activity of various undigested fraction of soybean protein in rats. J. Nutr., 120:977.
  21. Wyvratt, M. J. and Pachett, A. A. 1985. Recent developments in the desig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in medical research reveiws 5:485-531
  22. Ymamoto, N., Maeno, M. and Takano, T. 1999.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hypertensive peptide from a yogurt-like product fermented by Lactobacillus helveticus CPN4. J. Dairy Sci. 82:1388-1393.
  23. 고진복. 2000. 발효홍차 음료가 흰쥐의 혈정과 간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 영양학회지 33(5):497-501.
  24. 신미경, 한성희. 2001. 검정콩(phaseolus vulgaris)추출물이 고지방 및 콜레스테롤 식이 투여 흰쥐의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3. No. 1. pp. 113-116
  25. 오세종, 김세헌, 김상교, 백영진, 조경현. 1997. k-casein의 chymosin, pepsin 및 trypsin 가수분해물에 대한 안지오텐신 변환효소 저해 효과의 탐색.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9, No. 6. pp.1316-1318.
  26. 유리나, 박수아 ,정대균, 남희섭, 신재익. 1996. 대두 가수분해물에서 분리한 UF-peptide가 in vivo에서 자발성 고혈압 흰쥐의 혈압강하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6):1031-1036.
  27. 정후길, 김응률, 예현수, 최성진, 정진영, 진석락. 2000. 유산균 발효유의 콜레스테롤 저하기능. 식품산업과 영양 5(2):29-35.
  28. 최진호, 박수현, 김대익, 김정민, 김창목, 김광포. 유용버섯 Lentinus tuber-regium이 비만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Korean J. of Mycology. Vol. 29, No. 1. p. 47-51.

Cited by

  1. Bioactive Peptides from Muscle Sources: Meat and Fish vol.3, pp.12, 2011, https://doi.org/10.3390/nu3090765
  2. Food-Originating ACE Inhibitors, Including Antihypertensive Peptides, as Preventive Food Components in Blood Pressure Reduction vol.13, pp.2, 2014, https://doi.org/10.1111/1541-4337.12051
  3. Meat protein based bioactive peptides and their potential functional activity: a review pp.09505423, 2019, https://doi.org/10.1111/ijfs.14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