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of the Western Chinhae Bay in Summer

진해만 서부해역의 하계 수질의 시간변동 특성

  • Cho Hyeon-Seo (Divsion of Ocean System, Yosu National University) ;
  • Lee Dae-In (Divsion of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Yoon Yang-Ho (Divsion of Ocean System, Yosu National University) ;
  • Lee Moon-Ok (Divsion of Ocean System, Yosu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Myung (Divsion of Environmental System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조현서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 이대인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 윤양호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 이문옥 (여수대학교 해양시스템학부) ;
  • 김동명 (부경대학교 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4.02.01

Abstract

Temporal changes of Chl-α,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were investigated by diurnal observation at 2-hour interval at three fixed stations in the western Chinhae Bay from 12 Aug. to 13 Aug. 1999. Difference of dissolved oxygen between surface and bottom layer was maximum when the thermocline were strong. Organic distribution such as COD was affected by the growth of phytoplankton. Limitting factor was nitrogen, that is, inorganic nitrogen plays a significant role on regulating the algal growth. Surface distribution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was very low compared to bottom layer by uptake of organisms. Maximum value of Chl-α at station C2 and C11 were observed from subsurface layer, ranges of which exceeded possibility concentration of red tide outbreak, 10 mg/㎥. On the other hand, that of C15 exist at surface layer. In this area, DIN and DIP concentrations increased by input sources such as rainfall and benthic flux before the bloom of phytoplankton. Accumulation of phytoplankton occurred at subsurface layer by the rapid uptake of DIN, especially nitrate ion, when strong thermocline existed as approach to the afternoon, which led to the increase of organics in water column and oxygen deficiency water mass at bottom layer until late at evening. Since then, DIN increases gradually as water temperature decrease to minimum. The quantitative understanding of nitrogen of fluxed to and from the various sources i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진해만 서부해역의 세 정점에서 2시간 간격으로 연속관측에 의해서 적조발생 전후의 수질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표ㆍ저층간에 수온차가 큰 시간에 저층의 용존산소가 최소를 나타내었고,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세 정점 모두 표층에서 해역수질기준 II등급을 초과하였다. 용존무기질소 분포는 저층에서 유기물분해로 인한 재순환에 의해 고농도로 존재하였고, 표층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존재형태별로는 표층에서는 암모니아가 대부분 차지하였고, 저층에서는 C2 정점에서는 질산질소가, C11과 C15 정점에서는 암모니아가 주종을 이루었다. 용존무기인은 C2정점의 표층에서 8월 12일 오후 4시에서 밤 8시 사이에 고농도를, 야간에 최소를 보여주었다. C11과 C15 정점에서는 표층과 저층의 차이가 컸으며, 아침이후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N/P 분석결과, 대부분의 시간대에서 질소가 생물성장의 제한인자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Chl-α 분포는 C2와 C11 정점에서는 극대층이 표층아래인 3∼5 m층에 형성되었고, 적조발생가능농도인 10mg/㎥을 초과하는 고농도를 나타냈다. C15정점의 극대층은 표층에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Chl-α는 일사량이 강한 오후에 고농도를 형성해서 야간에도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가 새벽에 최소분포를 나타냈고 아침이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적조가 관측된 C2 정점에서는 적조발생전에 영양염류가 증가했으며, 수온성층이 최대가 되는 시간대에 식물플랑크톤이 고농도로 집적하면서 용존무기질소를 특히, 질산질소를 급격히 소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