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Writing by 11th Grade Students on the Theme of L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Task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In physics education, language is an fundamental learning tool as in other subjects. In writing activity, students can get fair opportunities to express their own ideas during the class.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styles of writing, students are usually supposed to make a report in their science classes.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on the tasks and features of student's science writing. In this research, different styles of writing tasks were designed for science classes, and students' writing was analysed in terms of conceptual and emotional aspects. Also the usefulness of each task type was discussed relating to school physics education. Four types of writing, i.e. , , , and writing were developed, and 'The reflection of light' was selected as the theme and given to students. Four types of writing were analysed in this paper. In each type of writing, students showed different features in their conception. They also showed emotional expressions in imaginative writing types, that is, and typ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in physics teaching various types of writing need to be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aim of a particular lesson.

다른 교과와 마찬가지로 물리교육에서도 언어는 기본이 되는 학습 도구이다. 쓰기 활동은 무엇보다 참여한 학생 모두에게 자신의 언어로 생각을 표현할 기회를 동등하게 부여한다는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과학 수업에서 쓰기 활동이 보고서와 같은 획일적인 양식인데 비해, 학생들은 다양한 양식의 쓰기 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국내에서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적절한 과학 쓰기 과제나 특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먼저 본 연구는 본질적으로 추상적이어서 이해하기 어려운 물리 개념인 빛을 주제로 학생들이 다양한 양식의 글쓰기를 수행하도록 과제를 설계하였다. 이어 이를 학생들에게 제시한 뒤 학생들의 쓰기 자료로부터 드러나는 특성을 개념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각각의 쓰기 과제 유형이 주는 물리교육적 유용성을 탐색하였다. 쓰기 과제는 <존재이입형>, <인식전환형>, <경험근거형>, <지식근거형>의 4가지 유형을 선정하여 이를 수행한 학생들의 글쓰기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개념적 측면의 분석 결과, 학생의 개념이 과제 유형별로 상이한 특성 보였으며, 정서적 표현은 상상적 형태의 쓰기 유형인 <존재이입형>과 <인식전환형>유형에 나타났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물리교육에서 과학 쓰기는 수업의 목표에 따라 다양한 과제유형이 구안되고 적절하게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행, 김동환, 김종철, 김중신, 우한용, 정병헌, 정재찬, 윤여탁(2000).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 권성기, 김영민, 김익균, 김진만, 박종원, 송진웅, 장병기, 정용재(2000). 학생의 물리개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물리교육과 물리학습연구실
  3. 이정우(2003). 상식, 과학기술, 형이상학 - 베르그송과 바슐라르를 중심으로. 철학아카데미 홈페이지 http://www.acaphilo.or.kr
  4. 삭제해주세요
  5. 정혁(2003). 물리개념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학글쓰기 분석 - 쓰기 과제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조희형(1994). 잘못 알기 쉬운 과학 개념. 전파과학사
  7. Bachelard, G.(1934). Le nouvel esprit scientifique. 김용선 역 (1990). 새로운 과학정신, 인간사랑
  8. Gamow, G.(1993). Mr. Tompkins in paperback. 승용조역(2001). 조지 가모브, 물리열차를 타다. 승산
  9. Halliday, M. A. K. & Martin, J. R(1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The Falmer Press: London
  10. Hodson, D.(1998).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owards a personalized approach, 154-167. Open University Press: Buckingham & Philadelphia
  11. Keys, C. W.(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ce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 115-13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15::AID-SCE2>3.0.CO;2-Q
  12. Martin, N.(1976). Language across the curriculum: A paradox and its potential for change. Educational Review, 2, 206-19
  13. Rivard, L. P.(1994). A review of writing to learn in scienc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69-983 https://doi.org/10.1002/tea.3660310910
  14. Vygotsky, L. S. (1962). Thought and language. 신현정역(1985). 사고와 언어. 성원사
  15. Watts, D. M. & Gilbert, J. K.(1983). Enigmas in school science: Students' conceptions for scientifically associated words.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v1 n2, 161-171 https://doi.org/10.1080/0263514830010204
  16. Wellington, J. & Osborne, J.(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Buckingh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