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valuative Study on the 7th National Elementary-school Science Curriculum Implementation

제7차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was implemented at science classrooms. Data from surveys with 140 elementary schools, 18 science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u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instruction. Based on the data, I explored (1)how science curriculum is operated in terms of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school science, and (2)how student-centeredness and localization themes are reflected on the reconstructed school science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t the teacher level was minimal. And most of the elementary teachers followed the directions and contents of the science textbook and teacher's guidebook regardless of their own local situations. For most teachers, restructuring science curriculum meant reordering the sequences of the contents, and adding or deleting some units or topics. I also examined why elementary teachers have difficulty in reconstructing science curriculum at the classroom level. The necessity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at the teacher level is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 수준에서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3개 시도의 140개표집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7개 학교를 방문하여 18시간의 과학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후 심층 교사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 자료를 기초로 과학과 교육과정의 각 구성요소별로(즉, 목표, 내용, 방법 및 평가)(1)운영(재구성) 실태와 (2)재구성 내용에 반영된 학습자 중심 및 다양화 특성화 측면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교사 차원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어려운 이유 및 개선점을 점검하였다. 대부분의 초등 교사들은 과학과 수업목표는 물론 내용, 방법 및 평가의 모든 측면에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그대로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었으며, 재구성 시도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에게 있어서 교육과정 재구성이란 내용 제시 순서를 바꾸거나 일부 단원이나 주제를 첨삭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이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언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충렬 외(2000). 7차 교육과정의 지역화 . 개별화 실천방안 연구, 교육부
  2. 교육부(1997). 초 . 중등학교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3. 교육부(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1. 총론). 서울 : 교육부
  4. 교육인적자원부(2001).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 운영 자료(III)-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 운영의 실제. 교육과정 자료 번호 78(2001. 9).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5. 박순경,이광우,김경희,손민호(2002). 제7차 초 . 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연구(ll):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 운영 .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 1
  6. 이화진, 허경철, 조덕주, 소경희, 부재율, 김성기(2000). 제7차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후속 지원 연구-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 방안을 중심으로한국교육과정평가원교육정책연구 2000-일-23
  7. 조난섬, 김성환, 김영일, 노병곤, 정미경(2001b). 제7차 교육과정 정착을 위한 초 중학교 교육과정 싶천 방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01-4
  8. 조난심, 양종모,유정애, 정미경, 강연자, 김수천, 김희란(2001a).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1-10
  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3).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운영실태 분석(I)-초등학교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3-3-3
  10. McREL(1999). Exemplary teaching practice: a roadmap to professional practice. McREL. Colorado Statewide Systematic Initiative for Mathematics and Science. Denver. CO: Author
  11. Schmidt. W. H.(1998). The implications of TIMSS for teacher quality. In Shaping the Profession that Shapes the Future. Speeches from the AFI'INEA Conference on Teacher Quality. Available at www.aft.org/edissues/downloads/tqspeech.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