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Its Causal Factors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별 과학 선호도와 인과 요인 분석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PS) and its causal factors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 and to suggest the way to improve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ts causal factors was specially designed by researchers. It was administered to 429 boys and 449 girls in eight high schools. The average score of the PS was 3.16 of 5.00 which was not high, but the PS scores of students who had wanted to be engaged in jobs related to science or medical field, were higher than the students who would be in other field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oys' PS scores and girls', but the average scores of causal factors were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Path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indicated that the pathways showing how causal factors made effects on each category of the boys' PS were simpler than those of girls. Particularly, while educational factors made indirect effects on three categories of the boys' PS, they did direct effects as well as indirect effect on the girls' PS. This means that the girls' PS is possible to be improved by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s specially developed for girls.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선호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 요인을 조사하고,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 분석을 통해 과학 선호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등학생의 진로 선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질 수 있도록 과학 선호도를 감정 반응, 행동 의지, 가치 확립 등의 세 범주로 구분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 요인은 개인적, 교육적, 사회적 요인 등의 세 범주로 구분한 다음, 각 범주를 평가할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8개 고등학교의 남학생 429명과 여학생 449 명에게 설문 조사를 한 결과, 과학 선호도 점수는 3.16으로 그다지 높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 분야와 의약학 분야의 진로를 선택하고자 하는 학생의 과학 선호도는 다른 학생들에 비해 높았다. 과학 선호도는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인과 요인의 평균 점수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변량 구조 분석을 이용하여 과학 선호도에 대한 인과 요인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좀더 단순한 경로를 나타냈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에 교육 요인이 과학 선호도의 세 범주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데 비해, 여학생의 경우는 교육 요인이 간접적 영향 이외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육적 요인이 학생들에게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과학 선호도를 높이는데 기여함을 시사하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에 과학 선호도 증진을 위해 교육적 요인의 개선이 더욱 필요함을 나타낸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성기(1995). 중학생의 에너지 개념 변화에서 지적 흥미의 역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김계수(2001).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고려정보산업
  3. 김재연, 최경희(1996).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서 나타나는 성차의 원인. 제7차 과학교육과정 개정방향에 대한 세미나 및 하계 학술 논문 발표회. 대구: 경북대학교
  4. 노태희, 최용남(1996). 남녀 혼성반 학생들의 과학 수업환경에 대한 인식의 성별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01-409
  5. 박승재, 김희백, 박종윤, 유준희, 윤진, 임성민, 전우수(2002a). 초.중등 학생의 과학선호도 증진 정책 연구. 대통령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용역 연구 최종 보고서. 대통령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6. 박승재, 서혜애, 송진웅, 이규석, 이면우, 이양락, 이혜숙, 임성민, 현종오(2002b). 청소년 과학교육 내실화 종합 방안. 과학기술부 과학교육발전위원회 총괄 중간보고서. 한국과학재단
  7. 임성민(2002).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선호도와 인과요인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92-905
  8. 임성민, 박승재 (2001). 중학생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의 다차원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491-504
  9. 윤혜경(1998). 확장적 과학탐구가 탐구 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최경희(2001). 과학교과에서의 양성 평등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자료개발 방안. 한국교육학회지, 21(1), 213-230
  11. 허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 교과에 대한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2. Gardner, P. L.(1996). The dimensionality of attitude scales: A widely misunderstood ide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8), 913-919 https://doi.org/10.1080/0950069960180804
  13. Gardner, P. L. & Tamir, P.(1989). Interest in biology, part I: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5), 409-423 https://doi.org/10.1002/tea.3660260506
  14. Jones, M. G., Howe, A., & Rua, M. J.(2000). Gender differences in students' experiences, interests, and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scientists. Science Education, 84, 180-192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200003)84:2<180::AID-SCE3>3.0.CO;2-X
  15. Jones, M. G. & Wheatley, J.(1990). Gender differences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in science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9), 861-874 https://doi.org/10.1002/tea.3660270906
  16. Joneson, S.(1987).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parallels in interest, experience and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9(4), 467-481 https://doi.org/10.1080/0950069870090405
  17. Kahle, J. B. & Lakes, M. K.(1983) The myth of equality in science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2), 131-40 https://doi.org/10.1002/tea.3660200205
  18. Klopfer, L. E.(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 S. Bloom, J. T. Hastings and G. F. Madaus (Eds,) Handbook of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London: McGraw-Hill Book Company
  19. Lehrke, M., Hoffmann, L. & Gardner, P. L.(1985). Interests i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2th IPN symposium proceedings
  20. Osborne, J.(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https://doi.org/10.1080/0950069032000032199
  21. Simon, S.(2000). Students' attitudes towards science. In M. Monk, & J. Osborne (Eds.), Good practice in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has to say.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22. Simpson, R. D. & Oliver, J. S.(1985). Attitude toward sci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profiles of male and female science students in grades six through ten. Science Education, 69(4), 511-526 https://doi.org/10.1002/sce.3730690407
  23. Simpson, R. D. & Oliver, J. S.(1990). A summary of the major influences on attitude toward and achievement in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Science Education, 74(1), 1-18 https://doi.org/10.1002/sce.3730740102
  24. Weinburgh, M.(1995) Gender difference in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a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from 1970 to 1991.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4), 387-398 https://doi.org/10.1002/tea.3660320407
  25. Whitehead, J. M.(1996). Sex stereotypes, gender identity and subject choice at A level. Educational Research, 38(2), 147-160 https://doi.org/10.1080/0013188960380203
  26. Yager, R. E. & Penick, J. E.(1986). Perception of four age groups toward science classes, teachers, and the valu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0(4), 355-363 https://doi.org/10.1002/sce.37307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