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luoride-based Anti-stain Chemicals Made from industrial By-product (I) - Anti-mold Effectiveness, Iron Corrosivity and Hygroscopicity -

산업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플루오르화합물계 목재 방미제의 특성 (I) - 목재 방미효력 및 철부식성과 흡습성 -

  • Lee, Jong-Shin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종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Received : 2004.02.05
  • Accepted : 2004.03.10
  • Published : 2004.03.25

Abstract

To develope of the inexpensive anti-stain chemicals,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iveness of mycelial growth and anti-mold effectiveness against test fungi causing surface mold of wood, iron corrosivity and hygroscopicity of six fluoride-based chemicals made from industrial by- product.Among the six chemicals. RNF-3 and RNF-4 were the most effective with respect to a mycelial growth control and anti-mold effectiveness. For the wood treatment with these chemicals, the optimum concentration was about 2%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chemicals between wood species. The wood treated with synthesized chemicals showed a relatively high iron corrosion rate for corrosive F component whereas, in the treatment with RNF-3 and RNF-4, there was no difference from the untreated wood when the concentration was less than 2%. The hygroscopic property of wood was not effected by treatment of these chemicals. To prove the feasibility for practical using of RNF-3 and RNF-4 chemicals, it is necessary to test of anti-mold effectiveness in the sawmill by field test.

저가의 국내산 목재 방미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산업부산물인 플루오르화암모늄(NH4F)으로부터 합성한 6종의 플루오르화합물계 약제를 사용하여 목재에 오염을 일으키는 표면오염균의 생장억제 효과, 소나무, 잣나무 및 라디에타소나무에 대한 목재 방미효력, 목재의 철부식성 및 흡습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합성 약제 중에서 주요 성분이 F와 Cu인 RNF-3과 F 단독인 RNF-4가 처리 PDA 배지 및 목재에서 보존 균주의 생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가장 우수한 균의 생장 억제 및 목재 방미효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약제의 최적 처리 농도는 2%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목재 수종에 따른 방미효력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약제 처리 목재는 높은 철부식비를 보였으며 이것은 약제 중에 함유되어 있는 F의 강한 부식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농도 2% 이하의 RNF-3과 RNF-4를 처리한 목재의 철부식비는 무처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합성 약제가 목재 흡습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약제의 실용화 검토를 위해서 침엽수 제재목 생산 현장에서의 야외 시험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국과학재단 특정기초연구(2000-2-317-002-2) 지원으로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