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 Members in the Keunjeongjeon Hall of Kyungbok Palace

경복궁 근정전 목부재의 수종분석

  • Park, Won-Kyu (Wood and Paper Sciences, School of Forest Resour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Se-Jong (Dongwha Total Interior System Co, Ltd.)
  • 박원규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 목재.종이과학전공) ;
  • 김세종 (동화TIS 생산팀)
  • Received : 2003.09.16
  • Accepted : 2003.11.15
  • Published : 2004.01.2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ecies of wood members used in the Keunjungjeon Hall, main building of the Kyungbok palace in Seoul. The total 144 samples consist of 52 from pillars and 92 from other wood members. Only two species were identified, which were Abies holophylla Max. (needle fir) and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Japanese red pine). For the pillars, A. holophylla were more abundantly used than P. densiflora. Among 20 outer pillars ('Pyeongju'), 11 were A. holophylla, and 9 were P. densiflora. Among 12 inner pillars ('Naejinkoju'), 7 were A. holophylla, and 5 were P. densiflora. Among 4 inner corner pillars ('Gwikoju'), 3 were A. holophylla and 1 was P. densiflora. For 92 other wood members, only 2 purlins were A. holophylla and the others were all P. densiflor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mon opinion 'Palace buildings of Korea are made from red pine woods' should be corrected. We think that fir logs might be used for the pillars instead of pines because long and straight pines were not available during 1860s due to heavy utilization of pines as construction and fuel materials in the late Chosun period.

경복궁의 정전 건물인 근정전에 쓰인 목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보, 도리, 창방, 박공 등 총 144점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소나무와 전나무 두 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은 1층의 경우 평주 20개 중 11개가 전나무, 9개가 소나무, 내진고주는 12개 중 7개가 전나무, 5개가 소나무, 그리고 귀고주는 3개가 전나무, 1개가 소나무로 식별되어 소나무보다 전나무가 차지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2층 기둥 16개는 모두 소나무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둥 이외의 다른 부재는 총 92개 중 도리 2개만이 전나무였고, 나머지는 모두 소나무였다. 우리나라 궁궐의 목재가 소나무로 만들어졌다는 통설은 사실과 다르며 재료 수급에 따라 다른 수종도 사용되었음이 밝혀졌다. 조선말 소나무 장대재(長大材)가 고갈되어 강도가 떨어지는 전나무로 기둥을 많이 쓸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를 위한 시료채취에 협조해주신 문화재청 궁원문화재과와 진강건설(주)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근정전 기둥 실측자료를 제공하여준 삼성건축 장순용 소장님께 감사드립니다. 근정전 현장조사는 충북대학교 산림과학부의 한상효, 박만복, 김상규, 김문성과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한수원의 도움으로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