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Use of Concept Map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Formation in the Sea Water

개념도 활용 수업이 중학생들의 '해수'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Da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Seob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He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 Bae, Ju-Hyeo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상달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용섭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김종희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배주현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promote meaning ways of leaning and observe the influence of concept map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formation with regards to the topic of the 'sea water'. Concept map is one way to examine a leaner's conceptual formation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classes within the first grade students of a Busan middle school, which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concept map teaching and the ordinary teaching group. This study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class, examining the science leaning achievement, self-directed leaning characteristics, and awareness change on the concept map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leaning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use of concept maps. Second, the teaching method with concept map was more effective self-directed leaning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rdinary one. Third, concept map teaching was a positive reaction to conceptual 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유의미 학습을 촉진시키고 학습자들이 나름대로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인 개념도를 이용하여 중학생들의 ‘해수‘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중학교 1학년 4개 학급 128명을 대상으로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 전-후에서 과학 학업 성취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 및 개념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은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이 개념 형성에 궁극적인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향란, 1990, 중학교 생물 교수 전략으로서의 개념도 적용.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3 p
  2. 김기대, 2001, 개념도 작성을 통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날씨 변화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p
  3. 김상달, 김종희, 2003, 지구과학 교수-학습론. 만수출판사, 66 p
  4. 박수경, 한정화, 김광휘, 2002, 해양단원 개념도 활용 수업이 과학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 (6), 461-473
  5. 박승재, 조희형, 1994, 학습론과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p. 218
  6. 성상현, 2000, 초등학교 자연과 수업에서 화산 개념의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개념도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p
  7. 장옥화, 1992, 과학 교수 전략으로서의 개념도 활용에 관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0 p
  8. 정완호, 차희영, 최진복, 1992, 교사들이 제시한 학생들의 생물 오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 (1), 23-33
  9. 정재구, 2000, 개념도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암석 단원 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p
  10. 정재구, 위수민, 장명덕, 정진우, 2003, 초등학교 암석 단원에서 개념도를 활용한 수업의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4 (5), 1-7
  11. 정재구, 성상현, 위수민, 정진우, 2003,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화산 개념의 이해 증진을 위한 개념도 활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4 (7), 1-11
  12. 허성범, 1996, 개념도 활용이 중학생의 분자운동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p
  13. Ausubel, D., Novak, J.D. and Hanesian, H., 197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tive view (2nd ed.).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62-93 p
  14. Guglielmino, L.M., 199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8 p
  15. Ross, B. and Munby, H., 1991, Concept mapping and misconception: A study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acids and bases. International Journal Science Education, 13, 11-23 https://doi.org/10.1080/0950069910130102
  16. Novak, J.D., 1981,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in junior high school science. Ithca, NY: Conmell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00 437)
  17. Novak, J.D., Gowin, D.B. and Johansen,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 (5), 625-645 https://doi.org/10.1002/sce.3730670511
  18. Novak, J.D. and Gowin, D.B., 1984, Learning how to learn. Carnbrige Univ. 1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