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Learning Material Including SF Movies

SF 영화를 활용한 과학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 Lee, Yong-Gyu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Guk, Dong-Sik (Graduate School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이용규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 국동식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4.12.31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velop the web-contents for web based instruction (WBI) with the Science Fiction Movie (SF)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to the science lear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cience fiction movies for the earth science classes of middle school were selected, that is the Armageddon, the Apollo13 and the Total Recall. They are related to the chapters, the Earth and the Stars in the 8th grade science textbook. 2) The developed WBI materials were applied to the science classes of the 2nd grade in middle school through the Internet Line. and then the changes of attitude on science and recognition on using the science fiction movies to the clas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cience fiction movies have so much related to the contents of science learning and the developed WBI materials are effective to the science classes(p<0.05), but no meaningful (p>0.05) to the attitude on the science excluding the students' interest to science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SF(Science Fiction)영화를 활용한 교육용 웹 콘텐츠를 개발하여 과학 수업에 적용함으로서 학습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 중 “지구와 별” 단원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SF영화 3종류, “아마겟돈”, “아폴로13”, “토탈리콜”을 선정하고 영화의 내용 중 과학 하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WBI용 웹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개발된 학습 자료를 2대 학습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고 ‘SF영화를 수업에 활용하는 데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와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업 전보다 수업 후에 ‘SF영화는 과학 교과 내용과 관련된 것이 많고 웹을 이용한 과학 수업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나(p<0.05),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학생들에게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웹을 이용한 학습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쉽게 과학에 접근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방법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초 . 중등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47 p
  2. 김동조, 1998, 중학생 과학흥미도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p
  3. 김민성, 2002, 영화를 활용한 중등과학 수업 자료 개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73
  4. 노현남, 2001, 학습 환경변인이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학위논문. 87 p
  5. 박상준, 1992, 멋진 신세계. 서울현대정보문화사, 69 p
  6.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1999,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356 p
  7. 박성익, 홍순정, 1999, 교수학습이론과 매체. 서울한국방송 대학교 출판부, 339 p
  8. 정완호, 권재술, 김효남, 정진우, 최병순, 허명, 1999, 과학과 수업모형. 서울교육과학사, 444 p
  9. 정재승, 1999,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서울동아시아, 124 p
  10. 최원석, 2001, SF영화를 활용한 과학교육 방안 탐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7 p
  11. 황윤진, 1999, 중학 과학에서의 SF영화 활용가능성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6 p
  12. Hoban, C.F., Hoban, Jr. and Zisman, S., 1944, Visualizing The Curriculum. 258 p
  13. Marks, G. H., 1978, Teaching biology with science fiction.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325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