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 Effective Time Scheduling Mechanism of the Structural Framework for the High-rise Apartment Housing -Focusing on One Cycle Time Scheduling Mechanism of Typical Floor-

아파트 골조공사의 공기단축 및 효과적 공정운영 방안 -기준층 사이클 공정분석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4.08.01

Abstract

The construction duration in apartment construction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project cost. Henceforth, the time shortening is essential to retrench project cost and project risk when there adopt Five-Day Workweek and introduce apartment sales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osely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duration of framework which forms about $40\sim50\$ percent of total time in apartment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schedule mechanism of typical floor and to show the reasonable time shortening methods by case study. The shown schedule mechanism and basic schedule table can utilize as a guideline in case of scheduling of framework in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Also, the shown time shortening methods by three case studies will guide the direction and process of time shortening while there need time shortening in many-sided projects.

건설공사에서 공기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건설사업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선진국들은 공기단축을 통한 건설사업비 절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공기단축의 필요성을 절감함으로써 공기단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그 효과는 아직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향후 주 5일 근무제가 시행되고, 후분양제가 도입될 경우, 건설사업비 절감이나 리스크 관리측면에서 공기단축은 필수불가결한 요인이 될 것이다. 공기를 효과적으로 단축하기 위해서는 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과 공정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사항들이 규명될 때 효과적인 공기단축이 가능해져 건설사업비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건설공사에서 공기의 $40\sim50\%$를 차지하는 골조공사의 기준층에 대한 공정메커니즘을 분석하여 골조공사의 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사례 분석함으로써 합리적인 공기단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주택공사, '아파트 공사의 공기단축을 위한 효율적인 공사관리 방안 연구', 2001.5
  2. 대한주택공사, '동절기 공사불능기간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2003.6
  3. 대한주택공사, '주요 공종별 공정 및 생산성 분석', 1994. 9
  4. 대한주택공사, '주택건설전문시방서', 2003
  5. 대한건축학회, '건축표준시방서', 2003
  6. 콘크리트 학회,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2003
  7. CI Committee 209, 'Prediction of creep, shrinkage, and temperature effects in concrete structures',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