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R (Do-Not-Resuscitate) Order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t Hospice Ward

호스피스 병동에서 시행되는 말기 암 환자의 DNR (Do-Not-Resuscitate) 동의

  • Shim, Byoung-Yong (Departments of Medical Oncology and Hospice Ward,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
  • Hong, Seok-In (Departments of Medical Oncology and Hospice Ward,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
  • Park, Jin-Min (Departments of Medical Oncology and Hospice Ward,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
  • Cho, Hong-Joo (Departments of Medical Oncology and Hospice Ward,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
  • Ok, Jong-Sun (Departments of Medical Oncology and Hospice Ward,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
  • Kim, Seon-Young (Departments of Medical Oncology and Hospice Ward,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
  • Han, Sun-Ae (Departments of Medical Oncology and Hospice Ward,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
  • Lee, Ok-Kyung (Departments of Medical Oncology and Hospice Ward,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
  • Kim, Hoon-Kyo (Departments of Medical Oncology and Hospice Ward,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 심병용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종양내과, 호스피스병동) ;
  • 홍석인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종양내과, 호스피스병동) ;
  • 박진민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종양내과, 호스피스병동) ;
  • 조홍주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종양내과, 호스피스병동) ;
  • 옥종선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종양내과, 호스피스병동) ;
  • 김선영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종양내과, 호스피스병동) ;
  • 한선애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종양내과, 호스피스병동) ;
  • 이옥경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종양내과, 호스피스병동) ;
  • 김훈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종양내과, 호스피스병동)
  • Published : 2004.12.04

Abstract

Purpose: DNR order is generally accepted for cancer patients near the end of life at Hospice Ward. It means not only no CPR when cardiopulmonary arrest develops but no aggressive meaningless medical interventions. Usually on admission, we discuss with the patients' family about DNR order at the Hospice Ward. Recently, we experienced a terminal lung cancer patient who had been on the ventilator for two months after pulmonary arrest. CPR and artificial ventilation were performed because patient's family refused DNR order. There is no consensus when, who, and how DNR order could be written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Korea, yet. Methods: Hospice charts of 60 patients who admitted between Jan and Jun 2003 to Hospice Ward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median age was 66(range $31{\sim}93$) and there were 31 males and 29 females. Their underlying cancers were lung (12), stomach (12), biliary tract (7), colon (6), pancreas (4) and others (19). The persons who signed DNR order were son (22), spouse(19), daughter (16) and others (3). But, there was no patients who signed DNR order by oneself. Thirty families of 60 patients signed on day of admission and 30 signed during hospitalization when there were symptom aggravation (19), vital sign change (4), organ failure (3) and others (4). There were 13 patients who died within 5 days after DNR order. Most of patients died at our hospice ward, except in 1 patient. The level of care was mostly 1, except in 2 patients. (We set level of care as 3 categories. Level 1 is general medical care: 2 is general nursing care: 3 is terminal care.) Conclusion: We have to consider carefully discussing DNR order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future & values on withholding futile intervention.

배경: 보편적으로 호스피스 병동에서 말기 암 환자에 있어서, DNR 동의가 흔하게 취득되고 있다. 그러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현황과 실태 분석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드문 현실이다. 최근 저자 등은 보호자가 DNR 동의를 거부하여 심폐소생술 후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행하여 2개월 간 중환자실에서 치료 후 사망한 환자를 경험하면서 지금 까지 진행된 DNR 동의의 현 실태와 앞으로 시행될 DNR 동의의 보완점을 마련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 동안 성빈센트병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과 DNR 동의서를 조사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나이, 성별,진단명, DNR 동의 시간, 사망까지의 시간, DNR 동의에 참여한 보호자, DNR 결정 당시 환자 상태, 사망장소, DNR 결정 당시의 치료와 DNR 결정 전후 치료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치료 단계는 3단계로 분류하였다. 결과: 중앙 연령은 66세($31{\sim}93$세) 였고 남자가 31명, 여자가 29명이었다. 폐암 12명, 위암 12명, 담낭암 및 담도암 7명, 대장암 6명, 췌장암 4명, 기타 19명이었다. DNR 동의서에 서명한 사람은 아들이 22명, 배우자가 19명, 딸이 16명, 기타가 3명이었다. 이 중 환자가 DNR 동의서에 동의한 경우는 한 명도 없었다. 60명 중 30명이 입원 시에, 30명은 입원 기간 중에 DNR 동의서에 서명하였다. 입원 기간 중에는 증상의 악화 19명, 활력 증후 변화 4명, 다기관 기능부전 3명, 기타 상태 4명 등으로 DNR이 결정 되었다. DNR 동의 후 사망까지의 시간은 13명이 5일 이내에 사망하였다. 사망 장소는 60명 중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원이었다. DNR이 시행되었을 당시 치료 단계는 2명을 제외하고 1단계였고 2단계와 3단계가 각각 1명씩이었다. 결론: 환자의 존엄성과 권리라는 측면에서 DNR 동의의 환자 참여가 국내에서도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겠다. 또 이를 위해 DNR 동의의 의미, 경과, 동의 철회 등의 사항이 포함된 문서화된 동의서에 의해서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되어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