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w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of Cosmeceuticals with Use Advanced Materials Resources

신소재 자원을 활용한 기능성화장품의 신기술 개발전략

  • Kim Ju-Duck (Graduate School of Distance loaming Department of Cosmetic & Beaut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김주덕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향장미용전공)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Cosmeceuticals products we not the products simply for moisturizing and protecting skin but the ones for encouraging to make improvements on wrinkles and helping to whiten, tan, and protect skin against ultraviolet light. In a broader sense, they refer to products with aiming to maintain healthy condition of skin such that skin troubles could be improved or aging of skin could be delayed. However, cosmeceuticals should not have any side effects because they are applied to the whole body for a long period of time differing from medical products which are used on specific areas for a short time. The number of such cosmeceuticals has increased from 500 in 2001 to 2300 in 2003. In order to develop and broaden the scope of cosmeceuticals, the concept of cosmetics needs to be changed from caring skin to delaying aging of the skin and reviving cells. For this purpose, high-value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basic researches related to the biological function of skin, in vivo experiment and reaction of skin in response to various stimuli using biotechnologies and bioengineering methods.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proceeded to develop new nano materials for overcoming skin barriers and transfer matericals for helping to absorb effective substances and maintaining stability.

기능성화장품이란 이전의 단순한 피부 보습, 피부 보호의 차원에서 벗어나 피부의 주름개선, 피부의 미백에 도움, 피부를 곱게 태우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을 말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피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이 피부의 상태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피부의 이상 및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을 말한다. 그러나 기능성화장품은 의약품과 달리 일정기간 특정한 부위에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인체 전체를 대상으로 사용하는 물품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이런 기능성화장품이 200l년 500품목에서 2003년에는 230여 품목으로 증가되었다. 기능성화장품의 개발과 기능성화장품의 범위확대를 위해서는 화장품의 개념이 피부의 손질개념에서 피부노화 방지와 세포부활이라는 적극적인 개념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명과학과 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한 피부의 생리적 기능, 생체현상 연구, 각종 자극에 대한 피부반응연구 등의 피부기초연구와 관련기술의 극대화를 통하여 고부가가치 원료가 개발되어야 하고 피부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나노 신소재, 피부 안전성과 효능물질의 제어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전달체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화장품공업협회, 화장품 관련 법규집 2004, 안정림, 86 (2004)
  2. 주간 화장품신문, 기능성화장품 3년간 3,000품목 승인, 제621호, 김래수, (2004)
  3. 산업자원부 한국산업기술재단, 산업자원부 연구보고 2002-03-04 Technology Roadmap 생리활성, 정밀화학, 247 (2002)
  4. Dr. Wilfried umbach, Cosmeceuticals-The Future of cosmetics?, J Cosmetics & Toiletriss, 110(11), 33 (1995)
  5. 김주덕, 기능성화장품의 현황과 전망, 한국피부장벽학회, 8(1), 45 (2004)
  6. 산업자원부, 산업자원부 연구보고 2002-15-126, 정밀화학부문 산업분석(도료, 접착제, 화장품), 109 (2002)
  7. S. H. McNamara, FDA regulation of cosmeceuticals, J Cosmetics & Toiletriss, 112(3), 41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