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nsitive Image of Pattern Applied Color & Formative Types of the Traditional Jokakbo

전통조각보의 색채, 면구성을 응용한 패턴의 감성이미지 연구

  • Received : 2004.03.26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This study is on the sensitive image of pattern expressed in the color & formative types of traditional Jokakbo(scraps of cloth).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Korean traditional scraps of cloth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is study is to be classified into 10 formative types like square type 1, square type 2, diagonal type, diamond type, many color striped type, concentric circle type, pinwheel type, vertical line type, cintamani pattern type, and free style type to apply the design of Jokakbo to Korean design. And color group is divided into vivid tone and pale tone. And it constitutes 17 patterns from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types. As for the factors of constitution of scraps of cloth, it consists of factors like revelation, attraction, temperature sense, abstract, and rigidity. In the emotional image in the patterns, both vivid tone and pale tone showed dynamic and warm emotion together. Also, the factors of revelation and attraction were evaluated as opposite images, and it evaluated the plain and dim emotion as more attractive emotion. They preferred the pale tone to the vivid tone. They preferred the cintamani pattern in the vivid tone, and the diamond pattern in the pale tone most. From the research result above, this study made the abstract image of scraps of cloth standardized and prepared for a basis to execute it essentially.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make traditional Korean image spotlighted in the world fashion markets as well as it will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pattern design for the scraps of cloth essentially.

Keywords

References

  1. 고유섭 (1963) '한국미술사급 미학논고'. 통문관, 서울, pp.3-13
  2. 금기숙 (1994) 복식에 표현된 한국 고유색에 대한 연구. 홍익논총, 26, 253-275.
  3. 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윤경. 이경희 (2000) 의복무늬의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6), 861-872.
  5. 김윤희 (1997) 한국 복식의 미적 가치에 대한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21(5), 946-955.
  6. 김희정 (1999) 현대패션에 나타난 동양적 복식디자인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금옥 (1996) 색채와 무늬에 따른 직물의 시각적 이미지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수진. 조경자. 장준익. 김길남 (1997)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 어휘 모형. 한국감성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63-68.
  9. 양현주. 권영숙 (2001) 한국 여자 전통 혼례복식에 나타난 미적 감성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1), 19-32.
  10. 은소영. 주소현. 이경희 (2002) 의복배색의 시각적 감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5), 715-726.
  11. 이경희 (2001) 패션감성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5(3), 537-547.
  12. 이혜숙 (1997) 복식색과 색조합의 이미지 지각 '여자 저고리의 치마를 중심으로 한 준 실험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장수경 (1997) 모티프의 표현방법, 모티프와 배경과의 명도대비에 따른 시각적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5(2), 159-172.
  14. 장수경 (1999) 한국전통문양의 종류, 표현유형, 구성형식 및 적용대상에 따른 감성이미지와 선호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정시화 (1983) 한국인의 색채의식에 관한 연구.조형논총 , 5, 65-79.
  16. 정은영 (2001) 원피스 드레스의 디자인에 관한 감성공학적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조현승. 이주현 (2000) 소비자 감성을 기반으로 한 꽃문양 스카프디자인의 레이 아웃 기법제안: 제2보. 감성과학회지, 3(1), 53-62.
  18. 최세완. 김민자 (1993)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 복식의 전통미. 한국의류학회지, 17(1), 103-117.
  19. 허영화 (1985) 색채 Image 분석에 관한 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加藤雪枝 (1984) 衣服の形態と色彩效果に關する一連の研究. 纖維製品 消費科學誌, 25(9), .
  21. 加藤雪枝. 倡山藤子 (1982) ブラウスのイメ-ヅに及ぼす形狀及び色の效果. 纖維製品消費科學誌, 23(4), 159-164
  22. 吉岡徹 (1985) 被服における圖柄のイメ-ヅ(第1報)槁柄の色彩におけるイメ-ヅの計量. 家政學雜誌, 36(10), 793-802